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초식동물의 꼬리가 짧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토끼, 사슴, 가젤 같은 초식동물의 경우 사자나 호랑이 같은 맹수에 비해 꼬리가 짧은 종이 많습니다.아무래도 초식동물은 이런 육식동물에게서 도망치는 경우가 많은데, 꼬리가 긴 개체는 짧은 개체에 비해 육식동물에게 잡힐 확률이 높습니다.꼬리를 잡히거나, 긴 꼬리가 도망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이것이 일종의 선택압으로 작용하여 꼬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진화해왔다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비오 나방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나비와 나방은 둘 다 나비목에 속하여 서로 가까운 종들입니다.나비목에서 호랑나비상과, 미국나방나비과, 팔랑나비과에 속하는 종들을 나비라고 부르며나머지는 나방으로 부릅니다.같은 목에 속하는 곤충이기 때문에 여러 특징을 공유하는 경우가 있고 그래서 나비와 나방을 구별하는 절대적인 하나의 기준은 없습니다.보통 나비의 경우 가늘고 길며 끝부분이 뭉툭한 더듬이를 가지며, 나방은 수컷의 경우 두껍고 털이 많은 더듬이, 암컷은 가늘고 긴 더듬이를 가집니다.나방은 주로 야행성, 나비는 주로 주행성입니다.나비는 질기고 딱딱한 번데기를 가지지만 나방은 번데기 주변을 고치로 감싸 보호합니다.나비는 주로 날개를 접고 앉으며 나방은 주로 날개를 펴고 앉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혈액형을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ABO식 혈액형은 적혈구 표면의 항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되는 혈액형입니다.유전자에 따라 적혈구 표면에 서로 다른 조합의 항원을 가질 수 있습니다.A형의 경우 A항원, B형은 B항원, AB형은 A와 B항원 둘다가짐, O형은 A,B항원 둘 다 없음혈장에는 각 자신의 항원에 대응하지 않는 항체를 가지고 있습니다.그래서 서로 다른 혈액형이 섞이면 항체와 항원이 결합하면서 적혈구가 엉겨 응고됩니다. 그래서 수혈을 할 때는 동일한 혈액형만 하는 것이 원칙입니다.ABO식 혈액형 말고 Rh혈액형도 수혈에서 고려해야하는 요소입니다.Rh식 혈액형은 ABO식 혈액형과는 독립적으로 나타나는 혈액형으로, Rh+ A, Rh- A형 과 같이 ABO식 혈액형과 함께 표기합니다. 여러가지 항원에 의해 나타나지만 그중 D항원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D항원의 유무로 구별하여 D항원이 있으면 Rh+, 없으면 Rh-형으로 표기합니다.Rh식 혈액형도 같은 혈액형끼리 수혈하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특히 Rh-형에게 Rh+혈액형의 피를 수혈하는 것은 위험합니다. 그래서 수혈을 하려면 Rh혈액형과 ABO식 혈액형을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세계적으로 Rh+형이 85%를 차지하며 Rh-형은 15%만 존재해 Rh-형의 혈액형이 더 구하기 어렵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문이 생기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태아 때 지문이 완성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태아시기에 발생을 거치면서 지문이 형성됩니다.지문을 형성하는 큰틀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지만 지문 선의 종류와 간격같은 큰 틀은 유전자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세부 형태는 태아가 발생하고 있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태아의 위치나 자세 움직임 등에 의해 양수의 흐름같은 요소가 변하고 이런 차이가 결국 수많은 경우의 수를 만듭니다.그 결과 개개인마다 모양이 다른 지문을 가지게되며 지문이 동일할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조류의 \조\는 새를 뜻하는데요, 해조류의 \조\는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해조류의 조는 '마름' 조(藻) 자이며 마름이란 마름모 모양의 잎을 가진 물에 떠서 살아가는 수생식물의 한 종입니다.결국 해조류는 바닷물에 떠서 살아가는 수생식물이라는 뜻의 단어입니다. 현대에 마름 조짜는 조류 자체를 말하는 한자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분류학상 조류는 식물에 포함되지 않고 별개의 분류군에 속하기 때문에 마름이라는 식물과 거리가 멉니다. 과거에는 조류의 특성이 식물과 비슷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조류를 물에 서식하는 식물의 종으로 생각하여 붙게된 이름으로 추정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다거북이는 왜 파충류로 분류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양서류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피부를 통한 호흡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양서류의 경우 피부호흡을 하는 특성상 염분이 높은 해양환경에서 서식하는 것은 힘들며, 젤리형태의 알을 낳습니다.하지만 바다거북은 피부를 통한 호흡을 할 수 없고 물 속에서는 물 밖에서 들이마신 숨으로 버티는 것이며호흡하기 위해서는 육지로 나와야합니다.바다거북의 피부는 단단한 비늘로 덮혀있고, 질긴 껍질을 가진 알을 낳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암흑산소가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암산소라는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산소는 주로 식물이나 조류의 광합성으로 생성됩니다.그래서 빛이 들지 않는 심해에는 광합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산소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런데 특정 심해에서는 산소농도가 높게 측정되었습니다.여러 조사결과 심해에 있는 검정색의 다금속단괴에 의해 물이 수소와 산소로 전기분해 되어 발생한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이 검은 금속덩어리가 빛대신 전기로 산소가 생성하므로 이를 암흑산소라고 이름 붙혔습니다.현재 산소는 남세균이라는 광합성을 하는 세균이 나타나고나서 대량 발생했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이것이 산소로 호흡하는 생물의 등장을 가속화 시켰다고 봅니다.하지만 다금속단괴처럼 생명이 아닌 금속이 자연에서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어 높은 산소농도는 기존 예상보다 빠르게, 그것도 심해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그래서 산소를 사용하는 생명체의 기원에 대한 가설을 다시 검토해보아야할 필요성을 증가시켰습니다.다만 이것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조사 규모도 넓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규모로 어느정도의 산소를 생산하는지, 이것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고있는지는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파충류와 양서류의 다른점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양서류의 경우 폐를 가져 폐호흡을 하지만 피부로도 호흡할 수 있는 동물들입니다.피부호흡을 하기위해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해야하므로 부드럽고 촉촉한 피부를 가집니다.주로 물속에 부드러운 알을 낳습니다.파충류의 경우 단단한 비늘로 덮힌 동물들입니다. 양서류와 달리 피부로 호흡하지 않고 폐호흡만 합니다. 주로 탄력있고 물컹한 알껍질에 둘러싸인 알을 육지에 낳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까마귀가 사람을 빤히 보면서 도망도안가고 하면 조심해야합니까?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까마귀는 지능이 높은 대표적인 새로 차를 이용해 호두같은 것을 까는 행동을 보이기도 합니다.또 차가 도로를 지나는 패턴을 익힐 수 있습니다.까마귀의 수가 늘어나면서 도로 근처에서도 까마귀를 자주 목격할 수 있습니다. 까마귀는 일반적으로 사람을 먼저 공격하지는 않지만산란기나 새끼를 낳고 키우는 동안에는 둥지근처에 사람이 접근하면 공격할 수 있습니다. 봄~여름의 기간이 까마귀의 공격에 의한 피해가 늘어나는 기간입니다. 위협이 된다 판단되면 사람을 부리로 쪼는 등의 공격을 할 수 있습니다.까마귀는 기억력이 좋아 사람을 기억할 수 있으며사회성이 좋아 무리를 이루기 때문에 까마귀에게 위협을 가하면 여러 까마귀에게 공격을 당할 수 있습니다. 산란기가 지나면 공격성이 낮아지지만 그래도 주변을 지날 때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또한 먼저 위협을 가하는 행동은 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바다생물은 무엇을 먹고 살아가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바다에도 식물성플랑크톤이나 해조류가 광합성을 하여 유기물을 합성합니다.이것을 동물성 플랑크톤이나 작은 물고기나 새우같은 작은 동물들이 먹게됩니다.또 플랑크톤들을 물고기나 새우 게 등이 먹을 수 있습니다.작은 물고기와 작은 생물들은 큰 물고기나 고래같은 해양 포유류에게 먹히며 큰 물고기는 상어나 범고래 같은 더 상위 포식자에게 잡아먹힙니다. 죽은 사체나 그 찌꺼기는 다시 플랑크톤과 같은 생물에게 먹히며 순환됩니다.해양의 생태계도 육지의 생태계처럼 복잡한 먹이사슬을 이루고 있습니다.
41424344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