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은 증산작용을 통해 체내온도를 조절한다는데 겨울에는 어떻게 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겨울은 기온이 낮은 점과 건조한 기후로 물을 구하기 힘들다는 점이 증산작용이 오히려 불리한 기능이 되게 합니다. 겨울이 되어 기온이 떨어지면 식물은 우선 기공을 닫아 수분이 손실되지 않게 합니다.또 잎에서 물과 영양분이 순환하지 않도록하여 잎이 낙엽이 되어 떨어지게 합니다.그래서 겨울철에는 잎이 유실되어 기공이 대부분 사라지므로 증산작용이 거의 일어나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토끼가 당근을 좋아하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토끼의 주식은 건초같은 풀 계통의 식물입니다.당근의 경우 이런 풀보다 당을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그래서 건초보다 단맛이 강해 토끼가 선호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당분이 많은 만큼 많이 섭취하게 되면 토끼에게 비만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사람에 비유하자면 토끼에게 당근은 사람에게 초콜릿이나 사탕같은 간식의 느낌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내분비계 교란물질이 어떻게 교란을 일으키는 지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우리 몸의 여러 기능은 호르몬에 의해 조절됩니다. 이런 호르몬을 생성하는 조직들과 여기에 반응하여 몸의 대사나, 반응, 성장 등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조직이나 기관 계통들을 내분비계라고 합니다.내분비계 교란물질은 분자구조가 우리 몸에서 분비하는 호르몬과 비슷한 구조를 하고 있습니다.그래서 내분비계 교란물질은 호르몬을 인식하는 수용체에 호르몬 대신 붙을 수 있습니다.이들이 호르몬 대신 작용해서 몸에서 특정 기능을 과도하게 일어나도록 할 수도 있으며, 반대로 수용체에 붙어만 있고 기능을 하지 않아 호르몬이 수용체에 붙는 것을 방해하여 기능을 차단할 수도 있습니다.그래서 우리 몸은 이런 물질에 의해 내분비계에 의한 몸의 기능조절에 교란을 받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등학교 생명과학에서 다인자 유전을 설명할 때, 대립유전자의 대문자의 수로 형질이 결정된다고 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대립유전자는 발현에 우선순위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예를 들면 ABO식 혈액형에서 적혈구의 항원 발현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대립유전자의 조합이 AO라면 A유전자는 적혈구 표면에 A항원을 만들고, O유전자는 만들지 않습니다.그래서 결국 혈액형은 A형으로 발현됩니다.혈액형이 O형이 되려면 이 대립유전자 조합이 OO가 되어 항원을 전혀 만들지 않아야 합니다.대립유전자 중에서 AO 처럼 헤테로 접합일 때 한쪽의 유전자 형질만 나타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 나타나는 형질인 A같은 유전자를 우성인자라고 합니다. 그리고 O처럼 A유전자에 가려 형질이 나타나지 않는 유전자를 열성인자라고 합니다.(이름이 열성인자일 뿐 좋지 않은 유전자인 것은 아닙니다.)일반적으로 한 형질의 대립유전자들 중 우성인자를 대문자로 쓰며 열성인자를 소문자로 씁니다. 그래서 Aa Bb같은 상동대립유전자 조합은 우성유전자와 열성유전자의 조합인 것이며 대문자로 표시한 유전자의 형질이 주된 표현형으로 나타납니다.피부색이 대립유전자도 대문자를 우성인자, 소문자를 열성인자로 표현한 것으로 보이며 어두운 피부색을 만드는 유전자는 멜라닌 색소를 생성하도록 하는 유전자이며,밟은 피부색을 만드는 유전자는 멜라닌 색소를 만들지 않는 유전자입니다.그래서 피부색을 어둡게 하는 유전자를 우성, 밝게하는 유전자를 열성으로 봅니다. 그래서 대문자인 유전자의 수가 많을 수록 멜라닌 색소를 많이 생성하게됩니다.AABBDD의 조합을 가진다면 가장 어두운 피부를 가질 것이며 aabbdd의 조합을 가진다면 멜라닌 색소를 거의 만들지 않아 가장 밝은 피부를 가질 것입니다.ABD의 유전자가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양이 같다면 대문자인 유전자의 갯수가 같을경우 동일한 피부색일 것이며 그 수가 많을수록 피부가 어두운 색을 띨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길 가에 핀 이름 모를 꽃 이름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사진에 보이는 꽃은 닭의장풀로 보입니다.영어이름은 Dayflower입니다. 습지나 물가 등에서 흔하게 볼 수 있고 푸른색의 하트모양 꽃이 피는 것이 특징입니다. 1년생 풀로 습지에서 오염된 물과 토양을 정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을 이루는 계는 몇개로 나뉘어져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과거에는 식물계와 동물계만으로 나누기도 했지만 이 두 그룹만으로는 생물의 특성을 반영하여 구분짓는 것이 불가능하였기에 더 세세한 계로 나누어지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면 세균이나, 단세포 생물, 곰팡이 등은 식물계나 동물계의 특징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이 그룹에 속할 수 없습니다. 현대의 분류체계에서는 계는 총 6개로 나눕니다. 세균계, 고세균계, 원생생물계, 균계, 식물계, 동물계 의 6계 체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생물학적인 연구에 의해 각 생물들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더 세세하게 구별되었기 때문이고, 연구의 진행에 따라 이 6계체제에서 더 늘어날 수도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6계 체제를 그 특징에 따라 묶기 위해서 '역'이라는 상위분류 개념을 도입하였고 이 경우 역-계-문-강-목-과-속-종의 분류 단계를 사용합니다.역은 3가지 역으로 세균역, 고균역, 진핵생물역으로 나눕니다.세균역 하위에는 세균계, 고균역 하위에는 고세균계, 진핵생물 하위에는 나머지 4개의 계가 속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지문이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일란성 쌍둥이도 지문은 다릅니다.지문의 형성에는 크기나 간격같은 큰 틀에서는 유전적 요소가 작용하지만 세부적인 요소에는 환경에 영향을 받습니다. 이런 세부적인 부분은 태아의 위치나 자세 크기 등 수많은 요소 영향을 받습니다.이런 요소는 쌍둥이라 할지라도 같을 수가 없기 때문에 지문의 형태는 달라집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식물을 키우는 방법 중에 '삽수'란 어떻게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삽수란 식물의 가지나 줄기를 잘라서 뿌리를 내리게 하는 방법입니다.흔히 이 방법을 삽목이나 꺾꽃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이 때 삽수는 사용할 가지를 말합니다.가지나 줄기 안쪽에 형성층이란 세포분열이 활발히 일어나는 층을 가진 식물은 삽목을 통해 개체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형성층은 분화가 될 수 있는 세포이기 때문에 조건이 잘 갖추어지면 뿌리로 분화하여 자랄 수 있습니다.그래서 특정 식물은 씨앗을 통하지 않고도 이 방법을 통해 개체수를 늘릴 수 있습니다.형성층이 뿌리로 빠르게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약품을 사용하여 성공률을 더 높힐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풀밭에 나는 잔디는 왜 녹색색깔 인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은 세포내 소기관인 엽록체에서 광합성을 하여 유기물을 합성합니다.엽록체에는 빛을 잘 모으기 위해서 광합성색소들이 존재하는데 이런 색소들 중 가장 비율이 높은 것이 엽록소입니다. 엽록소는 녹색이기 때문에 광합성을 수행하는 거의 대부분의 식물이 녹색을 가집니다.엽록소가 녹색이라는 것은 엽록소가 녹색 빛을 반사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이는 식물이 광합성에 녹색파장의 빛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실제로 식물은 광합성에 640~680nm정도의 붉은색파장과 430~450nm의 파란색 파장을 주로 사용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물학적으로 남자는 왜 아직도 젖꼭지가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젖꼭지가 있는 것이 성별이 정해지지 않았을 때부터 존재하는 기본 요소이기 때문입니다.배아에서 발달하는 과정에서 성별에 의한 차이가 생기기 전에는 남성이나 여성이나 몸의 구조가 같습니다.그래서 임신 후 초음파로 태아의 성별을 알려면 일정 기간이 지나야 합니다.어느정도 발달이 진행하면서 성염색체 조합에 따라 각 부위가 분화합니다. 이 시기 전에 이미 젖꼭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후에 여성의 경우 젖꼭지 부분이 젖을 생성할 수 있도록 분화하지만 남성에게서는 변화가 없습니다.남성에게서 젖꼭지가 큰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성분화전에 이미 생겨있는 젖꼭지를 생물학적 과정으로 제거하는 것도 굳이 필요한 현상은 아니기 때문에 남아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41424344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