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에게 나라와서 부딪친 매미가 있는데 종류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사진에서 날개가 불투명한것으로 보아 유지매미라고 생각됩니다. 외형이 참매미와 비슷하지만 날개가 불투명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날개를 만지면 약간 기름기가 느껴지기도 합니다. 불투명한 날개가 나무의 색과 비슷해 보호색으로 작용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피부와 간만 재생이 가능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몸에서 피부와 간만이 재생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피부나 간은 재생이 잘 되는 조직인 것은 맞습니다. 몸의 세포는 각 조직에 따라 분화되어 있으며 세포분열 능력이 달라 조직재생능력이 다릅니다.불안정세포, 안정세포, 영구세포 등으로 구별할 수 있고 피부처럼 자극을 매우 자주 받아서 세포가 계속 죽는 조직은 불안정 세포로 재생능력이 매우 강합니다. 간의 경우 안정세포로 분류할 수 있고 자극이 없는 경우 세포분열을 잘 하지 않지만 손상이 일어나면 세포분열을 시작하여 조직을 재생합니다. 영구세포는 생성되어있는 것이 손상되면 다시 재생되지 않는 세포입니다. 뇌를 이루는 뇌세포가 손상되면 다시 재생되지 않는 세포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이사진에 있는 복숭아 종류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사진에 보이는 복숭아는 백도로 보입니다. 복숭아의 경우 크게 백도 황도 천도로 나누지만 새로운 품종이 개발되고 있으며 각 그룹에서 더 세세하게 다시 나눌 수 있습니다.백도의 경우도 좀더 세세하게 품종을 나눌 수 있고 품종에 따라서 과육과 껍질의 붉은색의 정도가 다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미꾸라지는 어떻게 모기를 잡아먹어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장구벌레는 모기의 유충으로, 모기는 산란기가 되면 물이 고인 습지나 웅덩이에 알을 낳고 알에서 장구벌레가 태어나며 이후 성체 모기가 됩니다.미꾸라지는 이런 장구벌레를 먹어 장구벌레가 모기가 되기 전에 제거하므로 모기의 개체수 조절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잠자리는 강한 소나기가오면 날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강한 비는 잠자리 뿐 아니라 대부분의 곤충들이 비행할 수 없도록 합니다.비가 올 경우 잠자리는 나무 아래 혹은 나뭇잎 뒤에 붙어서 비가 그칠 때 까지 휴식을 취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명의 기원인 자연발생설과 생물속생설은 어떻게 다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자연발생설은 생명체가 다른 생명체에서 기원하지 않고 환경만 맞으면 저절로 생겨난다는 설입니다.사과가 있으면 초파리가 그냥 생겨난다는 말을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하지만 실제로는 초파리가 저절로 생겨나는 것이 아닌 초파리가 과일에 낳아둔 알에서 태어나거나, 과일 냄새를 맡고 날아온 것 입니다. 자연발생설은 여러 실험으로 부정되어 왔고, 세균의 생성에서는 논쟁이 있었지만, 파스퇴르가 고안한 백조목 플라스크 실험에 의해 틀린것으로 증명되었습니다.생물 속생설은 생물은 생물로부터만 발생한다는 설입니다. 어떤 생물의 등장은 저절로 생겨난 것이 아니라 부모의 생물에서 기원하여 태어난다는 설입니다. 생물속생설은 최초의 세포가 등장한 과정은 설명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다만 최초의 세포 등장 후 모든 생물은 그 이전의 생물에게서 기원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최초의 세포는 현재는 화학진화론적 관점에서 설명됩니다. 이는 여러 분자들이 일련의 과정을 거쳐 생체분자가 되고 이것에서 세포가 기원한다고 설명합니다.이것은 얼핏 자연발생설로 생각할 수 있지만 자연발생설은 이런 화학작용의 결과로 생명체가 탄생한다고 설명하지 않고 별다른 이유없이 환경에 따라 생물이 발생한다고 말하기 때문에 자연발생설과는 다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일반적으로 식물은 태양빛으로 광합성을 하는데 파리지옥같은류의 식물은 왜 곤충섭취로 진화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은 광합성을 하여 물과 이산화탄소를 당으로 합성하여 영양분을 합성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식물이 광합성 만으로 살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식물의 생존에는 질소, 칼슘, 인, 철 같은 다른 많은 원소들이 필요합니다.이런 원소들은 보통 토양에서 뿌리를 통해 흡수합니다.식충식물은 주로 그늘진 습지에서 많이 살고 있습니다.습지의 경우 이런 원소들이 토양에 머물러 있기 힘들어 매우 부족합니다.식충식물은 이런 원소들을 곤충을 사냥하여 소화시켜 얻음으로써 보충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개구리의 피부는 왜 미끈미끈한 걸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개구리는 폐로도 호흡하지만 피부로도 호흡을 합니다.피부로 호흡하기 위해서는 피부 표면이 건조해서는 안되고 항상 점액질과 물로 촉촉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합니다.피부가 젖어있어야 피부 아래의 모세혈관이 산소를 받아들이기 쉽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포는 눈으로 어떻게 볼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생물을 구성하는 세포는 맨눈으로는 확인할 수 없을 정도로 작은 크기입니다.그래서 세포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현미경과 같은 세포를 확대해서 볼 수 있는 기기가 필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곤충들도 신제일부가 잘려나가도 다시 재생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곤충들은 종이나 성장시기에 따라 뒷다리 같은 부분이 다시 재생되는 경우도 있지만,바다의 갑각류들과 다르게 큰 손상은 재생이 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더듬이 같이 작고 국소적인 부분은 재생이 될 수 있는 반면 다리 전체의 유실같은 경우는 일반적으로 재생되지 않습니다.
464748495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