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모기가 높이 날지 못하는것은 위로 올라갈수록 압력을 버티지 못해서 그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모기는 날기위해서 날개짓을 해야하므로 바람이 없는 장소에서 날개짓만으로는 7~8m만 날 수 있습니다.작지만 어찌되었든 무게가 있으므로 날개짓을 하지 않으면 떨어집니다.그래서 계속 날개짓을 해야하고 이 동안 날 수 있는 높이가 7~8m정도입니다.하지만 가볍기 때문에 상승기류를 타면 더 높게도 이동할 수 있습니다.20층 높이의 아파트라도 모기는 발견되는데 엘리베이터나 사람의 짐에 섞여서 들어와 활동합니다.모기도 물론 아주 적은 기압에서는 생존할 수 없겠지만, 고층 건물의 높은 층에서도 발견되기 때문에 압력을 버티지 못해서 10m이상 날 수 없는 것은 아닙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날벌레 중에서 하루살이라는 벌레는 정말 하루만 살다가 죽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하루살이는 성체의 짧은 수명으로 인해 하루만 산다는 의미의 이름을 가지게 되었지만, 실제로 하루만 사는 것은 아닙니다.하루살이 성충의 수명은 종에 따라 몇시간~2주 정도 살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로 짧은 수명이지만,하루살이는 물속에서 유충시기를 1~2년정도 보내기 때문에 실제 수명은 1~2년정도라고 할 수 있습니다.하루살이가 성충이 되면 입이 사라져 먹이를 먹을수 없고 이것이 원인이되어 오래살지 못하고 죽게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메뚜기 때는 왜 발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메뚜기도 환경이 좋으면 개체수가 쉽게 늘어날 수 있는 곤충입니다.메뚜기는 특정 페로몬으로 소통을 할 수 있습니다.페로몬 농도가 낮을 때는 메뚜기들이 단체행동을 하지 않습니다.하지만 페로몬 농도가 일정 농도 이상이되면 메뚜기들이 모두 같은 방향으로 떼를 지어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납니다.메뚜기가 생기기 시작한 초반에는 메뚜기들이 각자 먹이를 먹고 각자 행동하지만,어느순간 메뚜기의 수가 늘어나 일대의 페로몬 농도가 일정수준을 넘어서면 메뚜기가 떼를지어 이동하며 지나가는 길의 식물에 엄청난 피해를 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먹다 남은 유제품에는 왜 초파리가 잘생기나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시중에 파는 유제품은 멸균되고 관리된 제품으로 안에 초파리 알이 있을 수 없습니다.초파리는 과일같은 곳에 알을 낳으며, 성체는 과일을 비롯한 다양한 음식을 먹을 수 있습니다.시큼한 요거트나 설탕이 많이 든 아이스크림 같은 유제품은 초파리가 매우 선호하는 먹이입니다.초파리는 크기가 매우 작아서 방충망을 잘 통과할 수 있습니다.초파리는 후각이 매우 뛰어난 곤충이기 때문에 유제품의 냄새를 맡고 이를 찾아올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벌매는 어떻게 벌들의 공격을 견딜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벌매는 깃털이 매우 빼곡하게 배치되어 있어서 벌이 이를 뚫고 찌르기가 매우 힘듭니다.깃털이 없는 다리부분의 피부도 매우 질긴 비늘로 되어있습니다.또한 벌이 찌르더라도 벌독에 내성이 있어서 벌매는 별다른 피해를 입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침팬치는 사람으로 어떻게 진화하는 거죠?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침팬지는 사람으로 진화하지 않았습니다.이는 사람들이 진화라는 개념에서 흔히 오해하는 부분입니다.침팬지는 사람과 유연관계가 가까울 뿐 침팬지가 사람으로 진화한 것은 아닙니다.진화는 계통수로 나타낼 수 있는데 계통수는 일종의 요약된 가계도로 볼 수 있습니다.유연관계가 가깝다는 말은 일종의 친척관계로 볼 수 있습니다.침팬지가 사람으로 진화했다는 말은 당신의 사촌동생에게서 당신이 태어났다는 말처럼 이상한 말입니다.사람과 침팬지는 공동의 조상을 가집니다.해당 조상으로 부터 대가 이어오면서 해당 자손들은 서로 갈라져 교류가 없게 되었고 각자 계속 대를 이어오게 됩니다. 이들은 교류가 없기 때문에 오랜시간 서로 유전자 교환이 일어나지 않았으며돌연변이가 일어나고 각자의 환경에서 생존과 번식에 적합한 경우만 살아남는 것이 반복되어 결국 서로가 너무 달라져 종이 분화 됩니다. 이것이 진화가 일어난 것입니다. 침팬치와 사람뿐 아니라 모든 생물은 현대에서 각 종에서 가장 진화한 종들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돌고래에서 돌 글자는 암석의 돌이 아니라는데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돌고래의 돌은 돝 이라는 말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돝은 돼지의 옛 이름입니다.돌고래의 크기가 돼지만하다는 의미에서 물돼지, 바다돼지 등으로 불렀는데 돝고래 라는 말이 시간이 지나면서 돌고래로 바뀌어 정착되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최근들어서 우리나라 앞바다에 해파리가 자주 출몰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해파리가 자주 발견되는 이유는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온도의 상승 때문입니다.지구온난화로 인해 해수의 온도가 상승하면서 적도부근의 따뜻한 바다에서 살던 수중생물들이 점점 북상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고 있습니다.우리나라의 해수도 해마다 따뜻해지고 있으며 이 때문에 저위도의 바다에 살던 해파리들이 점점 북상하여 개체수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러브버그때문에 난리인데요. 왜 생기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러브버그는 붉은등우단털파리라는 종의 곤충으로 2018년에 발견되고 2022년 부터 대발생이 해마다 관찰되었습니다.항구를 통해 해외에서 유입되었을 거라는 예상도 있지만 어디에서 왔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고우리나라에서 발견되는 러브버그는 동남아와 중국 일본 등 지리적으로 가까운 곳에서 자주 발견되는 종이기 때문에 해당 지역에서 유입된 것으로 예상됩니다. 러브버그의 대발생 원인은 여러가지가 꼽히는데 지구온난화로 인한 이상기후가 원인이라는 의견이 가장 우세합니다.러브버그는 주로 남쪽의 더운지방에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 온난화로 인해 국내의 여름 기온도 상승한 것이 원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우리나라의 경우 러브버그가 대발생을 시작하고 2주정도 현상이 지속되다가 사라지는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러브버그 성체의 수명이 일주일 정도이기 때문에 집단으로 대발생하고 짝짓기를 끝낸 후 모두 죽게됩니다.올해의 대발생도 비슷한 기간동안 지속되다 끝날 것으로 예상합니다.대발생하기 때문에 징그럽고 여러 불편함을 주지만, 러브버그 유충은 썩은 나뭇잎과 곰팡이 등을 먹고 살기 때문에 익충으로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명과학 항상성 혈당량 조절 인슐린? 글루카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인슐린은 혈당이 높을 때 혈당을 정상 범위로 줄이기 위해서 분비되어 혈당을 체내 세포로 들어가게 하고 세포가 당을 많이 사용하게 합니다. 글루카곤은 반대로 혈당이 낮을 때 분비되어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포도당으로 분해하도록 하여 혈당을 증가시킵니다.그래서 혈당이 80mg/mL 로 낮을 때 많이 분비되는 A가 글루카곤혈당이 높을 때 많이 분비되는 B가 인슐린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818283848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