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4년 8월 1일 작성 됨
Q.
지문이 생기는 과정이 궁금합니다. 태아 때 지문이 완성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태아시기에 발생을 거치면서 지문이 형성됩니다.지문을 형성하는 큰틀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지만 지문 선의 종류와 간격같은 큰 틀은 유전자의 영향을 많이 받지만세부 형태는 태아가 발생하고 있는 주변 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태아의 위치나 자세 움직임 등에 의해 양수의 흐름같은 요소가 변하고 이런 차이가 결국 수많은 경우의 수를 만듭니다.그 결과 개개인마다 모양이 다른 지문을 가지게되며 지문이 동일할 확률은 매우 낮습니다.
2024년 8월 1일 작성 됨
Q.
조류의 \조\는 새를 뜻하는데요, 해조류의 \조\는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해조류의 조는 '마름' 조(藻) 자이며 마름이란 마름모 모양의 잎을 가진 물에 떠서 살아가는 수생식물의 한 종입니다.결국 해조류는 바닷물에 떠서 살아가는 수생식물이라는 뜻의 단어입니다. 현대에 마름 조짜는 조류 자체를 말하는 한자로 사용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분류학상 조류는 식물에 포함되지 않고 별개의 분류군에 속하기 때문에 마름이라는 식물과 거리가 멉니다. 과거에는 조류의 특성이 식물과 비슷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조류를 물에 서식하는 식물의 종으로 생각하여 붙게된 이름으로 추정됩니다.
2024년 8월 1일 작성 됨
Q.
바다거북이는 왜 파충류로 분류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양서류로 분류되기 위해서는 피부를 통한 호흡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양서류의 경우 피부호흡을 하는 특성상 염분이 높은 해양환경에서 서식하는 것은 힘들며, 젤리형태의 알을 낳습니다.하지만 바다거북은 피부를 통한 호흡을 할 수 없고 물 속에서는 물 밖에서 들이마신 숨으로 버티는 것이며호흡하기 위해서는 육지로 나와야합니다.바다거북의 피부는 단단한 비늘로 덮혀있고, 질긴 껍질을 가진 알을 낳습니다.
2024년 8월 1일 작성 됨
Q.
암흑산소가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암산소라는게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산소는 주로 식물이나 조류의 광합성으로 생성됩니다.그래서 빛이 들지 않는 심해에는 광합성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산소가 거의 없을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그런데 특정 심해에서는 산소농도가 높게 측정되었습니다.여러 조사결과 심해에 있는 검정색의 다금속단괴에 의해 물이 수소와 산소로 전기분해 되어 발생한다고 추측하고 있습니다.이 검은 금속덩어리가 빛대신 전기로 산소가 생성하므로 이를 암흑산소라고 이름 붙혔습니다.현재 산소는 남세균이라는 광합성을 하는 세균이 나타나고나서 대량 발생했던 것으로 추측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이것이 산소로 호흡하는 생물의 등장을 가속화 시켰다고 봅니다.하지만 다금속단괴처럼 생명이 아닌 금속이 자연에서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어 높은 산소농도는 기존 예상보다 빠르게, 그것도 심해에서 발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습니다.그래서 산소를 사용하는 생명체의 기원에 대한 가설을 다시 검토해보아야할 필요성을 증가시켰습니다.다만 이것에 관한 연구는 많이 진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정지을 수는 없습니다. 조사 규모도 넓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규모로 어느정도의 산소를 생산하는지, 이것이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주고있는지는 더 많은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2024년 8월 1일 작성 됨
Q.
파충류와 양서류의 다른점은 무엇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양서류의 경우 폐를 가져 폐호흡을 하지만 피부로도 호흡할 수 있는 동물들입니다.피부호흡을 하기위해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해야하므로 부드럽고 촉촉한 피부를 가집니다.주로 물속에 부드러운 알을 낳습니다.파충류의 경우 단단한 비늘로 덮힌 동물들입니다. 양서류와 달리 피부로 호흡하지 않고 폐호흡만 합니다. 주로 탄력있고 물컹한 알껍질에 둘러싸인 알을 육지에 낳습니다.
81
82
83
84
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