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7월 1일 작성 됨
Q.
베란다에 벌레가 나왔는데 개미보다 작은데 뭘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1mm 이하의 작은 크기라면 먼지다듬이로 추정됩니다.집에서 발견될 수 있는 해충이고 습한 환경을 좋아합니다.집을 지을 때 사용한 공사자제에 붙은 알에서 태어날 수도 있고오래된 책이나 종이상자 등에 붙어서 유입될 수 있습니다.방치하면 탈피껍질과 사체가 쌓여서 알레르기 혹은 천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집에 있는 오래된 종이상자나 오래된 책 같은 먼지다듬이가 서식하기 쉬운 물건들은 버리는 것이 좋고곰팡이가 생기는 곳에도 많이 모이기 때문에 곰팡이가 있다면 제거해주는 것이 좋습니다.집에 화분이 있다면 화분에도 먼지다듬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버리는 것이 좋습니다.파리나 모기잡는 살충제를 사용해서 제거할 수 있습니다.환기가 잘 되는 환경을 만든 후 많이 보이는 곳에 살충제를 사용해줍니다.보일 때 마다 꾸준히 살충하면 개체수가 많이 줄어들다 사라질 것입니다.퇴치후에는 계피나 피톤치드를 사용하여 어느정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생명체에게 물은 없어서는 안될 것 같습니다. 물을 먹지 않고 사는 동물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세포내에서 생명활동이 일어나기 위해서(여러 단백질이 이동하고 기능하기 위해서)는 세포질에 물이 차있어야 하기 때문에 물이 없으면 생명활동도 정지된다고 할 수 있습니다.그래서 물 자체가 몸에 없는 생물은 없을것이며, 건조된 경우 잠시 생명활동을 정지하고 수분이 있는 환경에서 다시 생명활동을 시작하는 미생물도 있습니다.물을 마시지 않는 것으로 알려진 동물들도 식물이나 수분함량이 높은 먹이를 먹으면서 수분을 획득합니다. 주로 건조한 기후에 서식하는 생물들이 체내 수분의 유실을 막는 기작들이 발달하여 이런 방식으로 생존할 수 있습니다.캥거루 쥐의 경우 물을 직접 마시지 않고 나무뿌리같은 먹이를 먹어 수분을 보충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문신이 몸에 새겨지는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문신은 바늘을 이용해 진피에 잉크를 넣어 새기개 됩니다.이 때 대식세포가 잉크를 외부 물질로 판단하여 잉크를 식세포작용으로 잡아먹습니다.하지만 대식세포가 잉크를 먹어도 대식세포에게는 잉크를 분해할 효소나 물질이 없습니다.그래서 잉크를 머금고만 있게됩니다. 오히려 잉크가 다른 곳으로 배출되지 않는 상황이 됩니다.이런 대식세포는 자신이 있던 진피 구역에서 벗어나지 않고 좁은 범위에서만 활동합니다.그래서 문신의 모양이 유지됩니다.대식세포가 죽으면 바로 다른 대식세포가 다가와 잉크를 먹습니다.그리고 같은 상황이 반복됩니다.그렇기 때문에 문신은 새긴 후에 지우는 것이 힘듭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습도가 높으면 더 덥게 느껴지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사람은 더울 때 땀을 발산합니다.땀의 수분이 증발하면서 열을 빼앗아가 우리 몸의 체온이 낮아지게 됩니다.습도가 높은 날은 수분이 잘 증발하지 않게됩니다.그래서 체온을 떨어뜨리는 것이 더 힘들어지고 같은 온도라도 더 덥게 느끼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불면증이 정신 정간에 어떤 악 영향을 끼치는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지속적인 불면증으로 인해 수면시간이 줄어들면 우울장애나 불안장애가 유발되기 쉽고집중력과 기억력 감소 및 여러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잠을 자는 동안 뇌의 신경세포들의 활동으로 생긴 여러 노폐물들을 청소하기 때문에 수면시간의 부족은 이런 노폐물들의 축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잠을 잘 때 혈압이 낮아지는데 잠이 줄어들면서 혈압이 낮은 시간이 줄어들고,불면증이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어 교감신경을 활성화 하게되고 맥박의 증가 혈압상승 등을 일으키며 결국 심혈관질환의 발생확률이 증가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부산 장산에 출몰한다는 장산범은 동물인가요? 정확히 어떤 존재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장산범은 실제 동물은 아니고 비교적 최근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괴담에 등장하는 요괴입니다.한 때 부산에서 목격되었다고 이슈가 되었지만 창작된 존재인 만큼 다른 것을 오인한 것으로 생각됩니다.흰 털을 가진 호랑이를 닮은 모습에 사람의 목소리를 따라하여 꾀어내는 요괴라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식물이 산소를 만든다고 하는데요. 그러면 지구상에 산소는 모두 식물이 만든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은 낮동안 광합성을 하여 산소를 만들어냅니다. 하지만 밤이되면 식물들도 산소를 생성할 수 없고, 호흡은 항상 하므로 산소를 소모하게 됩니다.식물들이 소모하는 산소보다 생성하는 산소가 더 많기는 하지만, 식물들이 만드는 산소만으로 지구상의 모든 생명이 호흡하기에는 부족합니다. 지구에 존재하는 산소의 절반 이상은 바다에서 생성됩니다.바다에서 생성되는 산소의 대부분은 바다에 서식하는 남세균을 비롯한 식물성플랑크톤이 생성합니다.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는 바다에 존재하는 엄청난 수의 식물성플랑크톤이 육상식물과 더불어 지구상 산소량 유지에 기여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말벌 유충들은 애벌레에 기생한다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모든 말벌이 애벌레에 기생을 하는 것은 아니고 기생을 하는 기생말벌 종들이 있습니다.우리 가 잘 아는 말벌과 장수말벌 등 애벌레를 사냥하여 잡아먹고 유충에게 고기경단을 만들어서 먹여 키웁니다.여러 기생말벌의 경우 다양한 벌레에 알을 낳아서 유충이 해당 벌레에 기생하게 합니다. 기생대상은 나비 뿐 아니라 여러 곤충과 애벌레 거미 등이 해당됩니다.농사에 피해를 주는 여러 벌레와 바퀴벌레 등에 기생하기 때문에 농업에 도움이 됩니다.해당 숙주의 몸 안이나 겉에 알을 낳으며 유충이 태어나면 해당 숙주를 먹으면서 성장하고 성체가 됩니다.일부 기생말벌의 경우 숙주에게 알을 낳으면 숙주가 말벌 애벌레를 오히려 보호하는 등 이상행동을 하게 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단성화 식물'이란 어떤 식물을 말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단성화는 꽃하나가 하나의 성을 가졌다는 의미로, 양성화가 한 꽃에 암술과 수술을 모두 가진것과 반대로 단성화의 경우는 꽃에 암술 혹은 수술만 있습니다.암그루와 숫그루가 구분되는 자웅이주 식물은 모두 단성화를 가진다고 할 수 있고, 암수 한몸인 자웅동주인 식물도 단성화로 암꽃 수꽃이 나누어 피는 종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30일 작성 됨
Q.
산낙지는 잘려도 어떻게 움직이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낙지는 문어처럼 뇌가 모든 역할을 하지 않고 다리의 독립된 신경이 다리를 제어할 수 있습니다.낙지 다리를 잘라도 다리의 신경이 한동안 살아서 꿈틀거리며 자극에 반응합니다.
86
87
88
89
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