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바퀴벌레의 주식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바퀴벌레는 소화력이 좋아서 음식뿐 아니라 손톱, 머리카락을 비롯한 털, 각질, 동물 사체, 오물, 동족의 사체 등 소화시킬 수 있는 대부분을 먹고 에너지를 얻습니다.자신에게 독으로 작용하는 것만 아니라면, 화학적 에너지를 가진 유기물 대부분을 먹을 수 있다고 봅니다. 물론 소화시키기 쉽고 많은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당분이 풍부한 음식이 있다면 이것부터 먹는 것을 선호합니다.다른 것은 먹을 것이 없을 때 먹는 편입니다.또 소금이 많이 들어간 짠 음식은 먹을 경우 탈수가 올 수 있어 선호하지 않습니다.
Q. 바퀴벌레는 뭘 먹고 살아갈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바퀴벌레는 딱히 먹을 것을 가리지 않는 다는 점이 질긴 생존력을 가지는 이유 중 하나로 꼽힙니다.인간이 먹을 수 있는 모든 음식물 뿐 아니라, 손톱, 발톱, 머리카락 등의 털,여러가지 오물, 동족의 사체, 비누 등 소화시킬 수 있는 모든 것을 먹습니다.물론 쉽게 소화하고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녹말과 당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을 선호합니다.
Q. 키는 정말 유전으로 정해진 것에서 더 크기 힘들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키는 유전적 영향을 많이 받지만, 다른 형질에 비해서 환경적 영향을 많이 받는 형질에 속합니다.하나의 유전자가 하나의 형질을 나타내는 경우와는 다르게 키는 매우 많은 유전자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결정됩니다.그래서 혈액형처럼 딱딱 나누어지지 않고 다양한 키를 가진 사람들이 존재합니다.키에서 유전자가 미치는 영향은 60~80%, 환경이 미치는 영향은 20~40%정도라고 합니다. 부모가 크면 자식들도 키가 클 가능성이 높습니다.하지만 환경적 영향도 많이 받는데 태아시기의 산모의 영양상태, 태어난 후 성장기 동안의 신체 활동과 영양공급, 질병유무 등이 키에 영향을 미칩니다.동일한 환경조건이라면 키가 큰 유전적 속성을 가진 사람이 키가 더 크게될 것입니다. 하지만 환경조건에 따라 어느정도 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꿀 수 없는 유전적 속성보다는 바꿀 수 있는 환경에 집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Q. 김, 미역, 다시마와 같은 해조류는 모두 원생생물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조류(algae)는 생물을 분류하는 기준이 더 세분화 되면서 포함되는 생물 그룹이 나뉘게 되었습니다.아직 흔히 조류라는 명칭을 쓰지만 엄밀히 현재는 정확한 분류균은 아닙니다.조류에 포함되는 종들 중 남세균(남조류)을 제외한 나머지의 종들은 모두 진핵생물 역의 하위그룹인 원생생물계에 속하게 되었습니다. 원생생물계는 동물,식물,균류를 제외한 진핵생물들을 말합니다. 이 계는 나중에 더 세분화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남세균(남조류)는 조류에 묶이지만, 진핵생물이 아닌 원핵생물로 세균역에 속합니다. 광합성을 하는 세균입니다.
Q. 식물의 줄기를 보면 물관, 체관, 형성층같은 것을 뺀 부분은 무엇이라고 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식물 줄기의 단면에서 제일 바깥쪽을 표피라고 하며 쌍떡잎식물의 경우 바깥부터 안쪽까지 연속적으로 층을 나눌 수 있으며 표피 - 피층 -체관,형성층,물관 -수(pith,수 혹은 속)의 순으로 이루어져있습니다.쌍떡잎 식물에서 파란색으로 체크해주신 부분은 pith(수 혹은 속)라고 합니다. 안쪽으로 갈 수록 죽은 세포로 되어있고 식물체의 지지역할을 합니다.pith와 피층은 기본조직으로 되어있고, 물관,체관은 관다발조직으로 되어있습니다.외떡잎 식물의 경우 물관 체관이 층을 이루지 않습니다.표피조직과 관다발 조직을 제외한 부분은 기본조직으로 되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