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계면에서 제한효소를 뜬다는게 무슨뜻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파이펫으로 용액을 뜰 때를 말하는 것 같습니다.보통 굉장히 소량의 액체를 옮길 때 사용하기 때문에 파이펫 팁 끝에 묻는 액체로도 오차가 생길 수 있습니다.그래서 용액을 뜰 때 파이펫을 깊게 넣어서 용액을 흡입하면 파이펫 팁 주변에 더 많은 용액이 묻게 되고이후 용액을 옮겨넣을 때 팁 주변에 묻은 액체가 함께 들어가면서 원래 주입하고자 하던 제한효소의 양보다 더 많은 제한효소가 주입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깨보다 훨씬 작은 이 벌레 정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해당 벌레는 먼지다듬이로 보입니다.흔히 책벌레라고 부르는 벌레인데 사람을 물거나 하지는 않지만 알레르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오랜된 책으로 집에 유입되거나 목제 건축자재 등에 딸려오는 등 다양한 원인으로 집으로 들어오게됩니다.흔히 구입할 수 있는 가정용 살충제로 제거가 가능하며환기를 자주해서 습도를 낮춰주는 것이 좋습니다.택배 종이박스나 오래된 가구는 살펴보고 버리는 것이 좋고 쌀같은 곡식들을 좋아하기 때문에 해당 집에 곡식이 있다면 관리에 유의해야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요즘 많이 보이는 두쌍이 짝지어 다니는 벌레는 왜이리 많이 생기게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한쌍이 붙어서 날아다니는 벌레는 최근 대발생하고있는 러브버그입니다.붉은등우단털파리 라는 종으로 동남아시아와 일본 등에서 발견되던 종이라고 합니다.항구를 통해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있는것으로 보이며, 자생종인데 수가 적어 발견되지 않다가 최근 대발생으로 발견되었을 것이라는 가능성도 있다고 합니다. 러브버그의 대발생의 원인은 지구온난화로 인해 발생한 기온과 습도 상승을 원인으로 보고있습니다.2022년 부터 우리나라에서 대발생이 관찰되었고 2024년 대발생이 관찰되는 범위가 넓어졌다고 합니다.다행히 해충은 아니며, 유충시기 낙엽을 갉아먹어 분해하고 성충시기에 꿀을 먹으며 꽃의 수분을 하기도 한다고 합니다.성충의 수명은 약 일주일이며 때문에 2022년 대발생은 약 2주 지속되었고 올해도 비슷한 길이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오징어를 잡을 때 불을 환하게 하고 잡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오징어는 야행성으로 주로 밤에 활동을 합니다.그래서 오징어를 잡는 어선들은 밤에 활동하는데요.오징어가 빛 자체에 이끌린다기보다는오징어의 주요 먹이인 플랑크톤이나 새우 등이 빛 주변으로 모이고, 이들을 잡아먹기 위해 오징어가 모이면서 결국 빛이 있는 곳으로 오게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평소 우리가 자주 먹는 멸치~ 멸치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멸치는 작은 갑각류와 플랑크톤을 먹습니다.멸치는 작은 몸과 빠른 성장으로 인한 많은 수라는 특징으로 많은 해양생물들의 먹이가됩니다.상어나 참치 등의 어류도 멸치를 먹고, 갈매기같은 바다새들 물개,고래 돌고래같은 포유류, 바다거북들과 문어 오징어 해파리 등 아주 많은 종류의 해양생물들이 멸치를 먹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생태계 파괴의 주범들이 되는 생물들을 어떻게 처리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생태계 파괴를 일으키는 생물들은 동물은 보통 알이나 개체 자체를 포획하여 처리하고 식물은 물리적 화학적으로 제거하게됩니다.하지만 생태계 교란종인 만큼 개체수가 빠르게 늘어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이런 방법으로 짧은시간에는 해결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오랜기간 교란종 개체수를 조절하며 모니터링하면 자생종들이 해당 교란종에 적응하여 천적으로 작용해 개체수 조절을 하고 교란종이 생태계에 편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러브버그는 도대체 언제 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최근 러브버그 대량발생으로 많은 사람들이 불편함을 겪고 있습니다.ㅠ러브버그는 성충의 수명이 보통 일주일 내외입니다.성충의 수명 때문에 대발생이 오래 지속되지는 않을것으로 보입니다.2022년도에 러브버그 대발생이 약 2주 지속되었기 때문에 올해도 그 정도로 예측하며 현재 발생중인 러브버그 대발생은 6월 29~30일쯤 끝날것으로 예측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나무의 가지치기는 왜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가지치기를 하는 이유는 농업과 관련이 있습니다.나무의 가지와 잎이 너무 늘어나게 되면 그만큼 나무의 영양소 소모와 수분 배출이 늘어나기 때문에 열매의 성장이 느리고 당도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또한 너무 빽빽한 나뭇가지와 잎은 통풍을 방해하여 나무에 병충해가 더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너무 높게 자라지 않도록 자라는 가지를 잘라 열매를 수확할 때도 더 편리합니다.도심 가로수의 경우 가지의 성장으로 인해 다른 구조물에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가지치기를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짝짓기 하며 날아다는 러브버그! 왜 이렇게 많아졌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최근 대량발생 중인 러브버그는 2022년 여름에 처음 대량발생하기 시작했고 올해 대량발생은 2022년보다 더 넓은 범위에서 일어나고 있다고 합니다.그래서 작년에는 대발생이 일어나지 않던 지역에도 올해에는 러브버그가 대량 발생했을 수 있습니다.러브버그는 동남아시아, 중국 및 일본에서 발견되던 종으로 항구를 통해 국내 유입되었거나, 원래 국내에 자생하던 종이 대량발생으로 발견되었을 경우로 추정합니다.이런 대량발생이 일어나는 이유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이맘때쯤의 온도와 습도가 러브버그의 생장에 적합하게 바뀌었기 때문으로 추정합니다. 최근의 이상기후 영향으로 인해 동양하루살이, 대벌레, 러브버그 등 여러 곤충들이 대량발생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빈혈이 있으면 머리가 어지러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빈혈이 있으면 체내 적혈구 수가 부족하여 조직으로의 산소운반이 원할하지 않게됩니다.그래서 빈혈로 나타나는 증상은 저산소증과 비슷합니다.뇌에 공급되는 산소량이 줄어들어서 어지러움과 두통 등이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앉거나 누웠다가 갑자기 일어나면 머리쪽의 혈압이 갑자기 낮아져 해당 증상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919293949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