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6월 27일 작성 됨
Q.
개인적으로 거미를 싫어하는데 거미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떤 문제점이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거미는 징그럽게 생각하는 사람들도 많지만 생태계에서 매우 중요한 생물입니다.거미는 해충의 개체수 조절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꼭 해충만 잡아먹는 것은 아니지만 모기나 파리같은 작은 해충들은 거미가 없다면 개채수가 매우 늘어날 것 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7일 작성 됨
Q.
몸에 있는 근육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몸에 있는 근육은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우리가 걷거나 특정 행동을 할 수 있는 것은 우리 몸의 근육이 수축과 이완하면서 가능한 일입니다.뼈에 붙어있는 골격근을 수축 이완하여 특정 동작을 수행합니다.또 내장기관에는 수많은 근육세포들이 있어 소화과정에서 음식물을 섞고 이동시킵니다.심장은 근육세포가 많은 장기로 태어나서 죽을 때 까지 근육들이 수축과 이완을 계속하여 혈액을 순환시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7일 작성 됨
Q.
유튜브 주파수 영상 실제로 효과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유튜브의 주파수는 과학적인 근거가 없습니다.백색소음으로써 작용하여 집중력을 약간 상승시킬 가능성은 있지만특정 주파수를 듣는다고 특히 살빠지는 주파수, 예뻐지는 주파수 등처럼 특이한 효과가 나타나지 않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7일 작성 됨
Q.
최근에 서울등지에서 까마귀나 까치가 사람을 공격하는 사례가 왜 발생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6월은 까마귀의 번식기이고 5~6월은 까치의 산란기 및 이소기간(새끼가 스스로 날아서 둥지를 벗어나는 기간)입니다.그래서 새끼를 돌보는 까마귀와 까치의 특성상 둥지나 새끼 곁으로 사람이 가까이가면 공격합니다.그래서 이 시기가 되면 까마귀나 까치에게 공격당하는 사례가 늘어납니다. 둥지를 옮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에 해당 지역을 한동안 피해서 다니거나 모자나 안경을 착용하고 머리를 숙이고 빠르게 지나가는 것만이 방법입니다.까마귀는 특히 자신무리에 위협을 끼친 사람을 기억하기 때문에 섣부르게 대응하지 않는것이 좋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7일 작성 됨
Q.
파충류가 조류로 진화했다는 이론이 입증이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조류는 파충류> 공룡 >조류 순으로 진화했을것으로 추측합니다.파충류 초기 단계에서 악어조상과 공룡의조상으로 갈라져 이때부터 공룡이 이어져 왔고 오랜시간이 지나 현재의 조류가 되었다고 봅니다.여러가지 공룡화석을보면 조류에서 나타나는 골격적 특징이 나타납니다. 조류의 유전자를 분석하면 이빨이 나게하는 유전자도 존재하는 것처럼 공룡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발견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7일 작성 됨
Q.
곰팡이도 생물인데, 삶과 죽음을 구분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곰팡이의 수명을 정확히 알수는 없지만 곰팡이도 생물이기 때문에 죽을 수 있습니다.다만 죽기전 포자를 방출해 다음 세대를 이어갑니다.곰팡이도 다른 생물처럼 세포활동이 멈추어 호흡하지 않고 성장하거나 증식 하지 않게 되면 죽은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곰팡이도 가열하거나 락스같은 약품에 노출되면 죽게됩니다. 버섯도 곰팡이와 같은 진균류인데 버섯을 굽게되면 죽는 것과 같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7일 작성 됨
Q.
조개 속에서 진주는 어떻게 생기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진주는 조개가 몸속으로 침입한 외부물질을 격리하기위해 행하는 일종의 면역반응에 의해 만들어집니다.외부물질이 몸에 들어오면 조개는 탄산칼슘이 풍부한 진주층으로 물질을 감쌉니다. 한 층으로안 감싸지 않고 계속해서 새로운 층으로 덮는것을 반복하여 점점 크기가 커지고 걸국 진주가 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7일 작성 됨
Q.
물고기는 죽으면 왜 물위에 둥둥 뜨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대부분의 생물은 죽으면 사체가 분해되면서 기체가 발생하고 물에 뜨게됩니다. 기체발생으로인해 물보다 밀도가 낮아지며 물위로 떠오릅니다.물고기는 이에 더해 몸에 있는 부레라는 기관도 죽게되면 공기가 찬 상태로 방치되어 물고기가 배를뒤집어 뜨게되는 원인이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6일 작성 됨
Q.
정전기는 왜 일어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정전기의 경우 특정 물체가 안정상태보다 전자를 더 많이 갖거나 적게 가져서 전하를 띠게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꼭 사람에게서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고 모든 물체에서 일어날 수 있는 현상입니다.보통 마찰에 의해서 전자가 이동하면서 몸의 전하에 차이가 생기고, 다른 물체와 접촉할 때 이 전하를 상쇄하기위해 전자가 이동하며 전기가 흐르게 되는데 이것이 정전기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6일 작성 됨
Q.
미토콘드리아의 독립적인 DNA는 진화의 어떤 증거를 제공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미토콘드리아가 독립적인 DNA를 가지고 분열도 스스로 할 수 있다는 점은 미토콘드리아가 현재 자신이 들어있는 세포와 다른 곳에서 기원했다는 점을 알려줍니다.미토콘드리아가 없는 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가 있는 세포로 진화할 때 그 과정을 유추할 수 있습니다.미토콘드리아는 과거 독립적인 호기성 세포였지만, 다른 세포에게 식세포작용으로 먹히게 되었는데, 소화되지 않고 세포내에서 공생하게 되었고 시간이 지나 세포소기관으로 자리잡게 되었다고 봅니다.이를 세포내 공생설이라고 합니다.이를 뒷받침하는 다른 증거는 미토콘드리아의 막은 외막과 내막의 두겹으로 되어있다는 점 입니다.이는 식세포과정에서 먹는 세포가 먹히는 세포를 세포막으로 감싸면서 먹게되는데 이 결과로 두겹의 막을 가지게 되었다고 유추할 수 있습니다.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