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황정웅 전문가
충북대 생물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4년 6월 26일 작성 됨
Q.
냉동인간으로 보관된 사람이 많은데 실제 냉동인간 가능성이 있나?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냉동인간 기술은 아직까지는 불완전한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냉동인간을 해동하여 높은 확률로 소생시킬 수 있는 기술이 아직 없기 때문입니다.냉동과정에서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 하기위해 혈액을 제거하고 부동액을 넣고 급속냉각하는 등 여러가지 보존술을 사용합니다.하지만 그럼에도 세포는 손상이 일어나며, 현재의 기술로는 해동하였을 때 정상적으로 기능할지는 미지수입니다.현재는 냉동을 유지하고만 있으며, 미래에 과학기술의 발달로 소생시킬수 있는 기술이 정립되면 해동을 시도 할 것으로 보입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6일 작성 됨
Q.
황야에 마른땅에 아주큰 선인장이 있는데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선인장은 건조한 사막기후에서 생존하기 위해 수분을 아끼는 여러가지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선인장은 잎 대신 가시를 가져 잎의 기공을 통한 증산작용을 줄여 수분 손실을 막습니다.엽록소는 줄기 표면에 많이 분포하게 됩니다.줄기는 굵은 원통형으로 안에 많은 수분을 저장할 수 있습니다.뿌리는 깊고 넓게 뻗어 지하수에 닿거나 비가 올때 많은 양의 수분을 흡수합니다.또 선인장같은 식물을 CAM 식물이라고 하는데 CAM반응경로를 가지는 특이한 광합성 방식을 사용합니다.이 방법은 광합성의 단계를 낮에 진행하는 것과 밤에 진행하는 것으로 나누어 진행하는 것인데, 다른 식물들이 낮에 광합성의 모든 단계를 진행하는 것과 비교하여 특이적입니다.CAM식물은 밤에만 기공을 열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저장합니다.그리고 낮에는 밤에 흡수한 이산화탄소를 사용하여 광합성을 진행합니다.뜨거운 낮에 기공을 열지 않음으로써 수분의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알레르기 반응이 발생하는 생물학적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알레르기는 특정 항원물질에 대한 면역계의 과도한 작용으로 발생합니다.일종의 면역시스템의 오작용으로 일어나며몸에 별다른 해를 가하지 않는 물질도 면역계가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염증반응이 일어나 두드러기나 가려운 현상이 나타나고 심할경우 호흡곤란과 쇼크 등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현미경의 접안 렌즈는 항상 2개인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초기 현미경은 렌즈 하나로 이루어져 있었는데 구조상 배율이 높지 않았습니다.그리고 렌즈 하나로 상을 확대할 경우 색수차 현상, 초점제어 그리고 곡률제어 등이 힘들다는 한계가 있습니다.실험실에서 보통 두겹의 렌즈로 된 접안렌즈를 사용하지만 그 이상의 렌즈를 사용할 수 있고 고급 접안렌즈의 경우 내부에 7개의 렌즈가 들어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여름이라서 요즘은파리가 많이 날아다는데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파리의 앞발에는 미각세포와 여러 신경이 위치합니다.그래서 음식에 앉아서 앞발로 맛을보고 냄새를 맡습니다. 앞발에 먼지같은 물질이 묻어있으면 맛을 정확히 볼 수 없기때문에 이런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앞발을 비빈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모기는 아주작은 해충에 불가한데 어떻게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모기의 발달한 특이한 입 구조때문에 가능합니다.모기의 작은 주둥이가 피부를 뚫고 흡혈을 하는 것이 신기한데요.암컷 모기의 주둥이는 사실 한가닥이 아니고 7개로 나뉘어진 구조입니다.각각 모양이 다르고 다양한 역할을 하는데, 큰턱이 피부를 붙잡고,톱날모양의 턱이이 피부를 자르고, 윗입술이 혈관을 찾아 찌르고 흡혈을 진행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머리카락은 길게 자라는데 눈썹은 짧은 길이가 유지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각 털마다 자라는 속도와 주기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털마다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가 있습니다.성장기에 털이 자라고, 퇴행기에 자라는 것이 멈추고 유지되며 휴지기에 가늘어지고 빠지게됩니다.눈썹은 머리카락보다 성장기가 짧고 퇴행기와 유지기가 매우 길기 때문에 머리카락처럼 길게 자라지 않습니다.종종 머리카락을 눈썹에 이식하기도하는데, 이 경우 이식한 털이 머리카락처럼 길게 자라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잘라주어야 한다고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다리가 많은 생물은 자신의 다리를 어떻게 통제하나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지네는 다리가 정말 많고 가장 많은 경우 177쌍의 다리를 가진 경우도 있는데요.지네, 노래기, 그리마 등은 많은 다리를 가지고 있습니다.이런 다리를 정확하게 통제하여 다리가 꼬이지 않고 걸어가고 빠르게 이동하고 방향을 잡는것이 신기하게 느껴집니다.이들의 걸음걸이에는 특정한 패턴이 있습니다. 앞의 다리가 밟은 지점을 다른 다리들도 밟으면서 지나갑니다.지네나 노래기 등의 신경절이 신경선으로 연결되어있 이런 움직임이 패턴화 되어있을것으로 생각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프로바이오틱스와 프리바이오틱스의 차이점이 뭔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두 단어가 비슷해서 혼동을 줄 수 있습니다.프로바이오틱스는 우리에게 도움을 주는 유익균 자체를 말합니다.프리바이오틱스는 이런 균들의 먹이를 말합니다. 장내 유익균의 생장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생물·생명
2024년 6월 25일 작성 됨
Q.
비타민D가 면역 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비타민 D는 여러 면역반응에 관여합니다. 면역과 관련한 대부분의 세포에 비타민 D수용체가 있습니다. 비타민 D는 면역T세포의 작용 억제하고 B세포 증식, 형질세포 분화 등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합니다.이로인해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감소시킵니다.보통 면역세포의 과도한 작용이 염증을 유발하고 사이토카인 폭풍을 일으켜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비타민 D가 이런 증상을 조절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91
92
93
94
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