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진영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입니다.

김진영 전문가
중앙대학교
Q.  한국전력의 부채가 200조가 넘다고 하는데요 왜 이런 상황이 발생한 것인지요?
먼저, 한국전력은 장기적으로 가정용 및 기업용 전기요금을 낮게 유지해왔습니다. 이는 정부의 물가 안정 정책에 따른 것이엇지만, 전력 생산 비용 상승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재무 건전성을 악화시켰습니다.최근엔 또 국제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한국전력의 발전 연료비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이에 따른 비용 증가를 전기요금에 충분히 반영하지 못해 손실이 누적되었습니다.정부의 탄소중립 정책에 따라 신재성에너지 발전 설비 투자를 확대해왔습니다. 이 과정에서 초기 투자비용이 크게 증가했지만, 수익성이 낮은 현재입니다.이러면... 전기 요금이 인상되야하는데.. 정치적 이슈로 인해 손실 보전이 지연되고 있고, 이로 인해 적자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https://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1109054.htmlhttps://www.invest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8/27/2023082780013.html해당 아티클을 읽어보시면 더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Q.  80%의 비핵심 다수가 20%의 핵심 소수보다 높은 가치를 창출한다는 롱테일 법칙에 대해서
전통적인 상품 판매 방식에서 주류 시장, 즉 20% 인기 상품에 집중되어있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과 같은 새로 유통채널이 등장하면서 기존에 소외 받던 수많은 틈새시장이 발굴되며 다양한 상품들도 판매가 가능해졌습니다.물론 이 비주류 상품들이 하나하나보면 작은 수요를 가지지만, 그 종류가 매우 많기 떄문에 전체적으로보면 주류 상품 수요를 넘어서는 '긴 꼬리' 부분을 형성합니다.예를 들어 아마존의 경우 주류 베스트셀러 도서 20%가 전체 매출의 80%를 차지하지만, 나머지 80%의 비인기 도서들이 모였을 떄 전체 매출의 나머지 20%를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입니다.크리스 앤더슨은 이렇게 무수히 많은 틈새 시장을 잡을 수 있다면 전체적으로 주류 시장보다 더 큰 가치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Q.  국민연금의 자산포트폴리오에서 대체투자는 정확히 어떤것을 투자하는 항목인가요?
대체투자 규모: 2023년 4분기 기준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규모는 약 165.1조원으로, 전체 자산의 약 16.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대체투자 구성: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포트폴리오는 사모투자(42.9%), 부동산(31.1%), 인프라(26.0%)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Q.  슈링크플레이션이란 무엇이고 어떤경우를 이야기하는가요?
예전과 다르게 과대포장도 심해지고.. 어느샌가 과자 크기가 줄어들었다는 생각이 든적이 있습니까? 착각이 아닙니다!!이게 바로 슈링크플레이션입니다. 즉 제품 가격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제품의 크기나 무게, 내용물의 양 등을 줄이는 제조업체들의 상술입니다.
Q.  스태그플레이션에 대해 알려주세요.
스태그플레이션이 이중 고충이 찾아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해결하기가 진짜 어렵습니다.경기 부양과 물가 안정이라는 상충되는 목표를 달성해야 하기 때문입니다.여기서 경기 부양을 위해 금리를 낮추면 인플레이션이 더 악화됩니다.근데.. 반대로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 금리를 높이면 경기가 추가 침체에 빠집니다.. 엄청난 딜레마죠..?
41424344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