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제는) 은(퇴한) 수(의사) 입니다.

이은수 전문가
프리랜서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매밀꽃은 흰색으로 알고 있는데 붉은 색도 있나요? 있다면 어느곳에 군락하나요?
붉은색 메밀꽃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메밀꽃은 흰색이지만, 붉은색이나 분홍빛을 띠는 품종이 따로 개발되어 일부 지역에서 재배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주로 제주도에서 붉은 메밀꽃 군락지를 볼 수 있으며, 이외에도 일부 농가나 관광 명소에서 특색 있는 경관을 위해 분홍 메밀을 심기도 합니다. 다만 대규모 군락보다는 작은 면적에서 재배되는 경우가 많아, 여행 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연체 동물은 신체가 절단되도 어떤 이유로 다시 재생이 되나요?
연체 동물의 신체 재생 능력은 세포의 재생 및 분화를 조절하는 특별한 유전자와 조직 구조 덕분입니다. 이들은 절단된 부위에서 세포가 빠르게 분열하고 필요한 조직으로 분화하도록 하는 특정 줄기세포나 전구세포가 활성화되며, 이를 통해 근육, 신경, 피부 등이 복원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문어나 해마 등은 체내 재생 관련 유전자가 손상 부위에서 빠르게 작용하여 소실된 부분을 복구하는데, 이 능력은 포식자에게서 도망치거나 신체 일부가 손실되더라도 생존을 이어가기 위한 진화적 적응으로 해석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가을에도 왜 벚꽃이 피어나는 것인지요?
가을에 벚꽃이 피는 현상은 주로 기온 변화와 계절적 스트레스 때문입니다. 벚나무는 일 년 중 일정 기간 휴면 상태에 들어가는데, 이때 기온이 갑자기 낮아졌다가 다시 따뜻해지면 나무가 이를 계절 변화로 인식하지 못하고 봄이 온 것으로 착각해 꽃을 피울 수 있습니다. 특히 태풍이나 강한 바람으로 잎이 떨어져 나무가 계절을 잘못 인식할 때 이런 현상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 몸에는 미생물이 엄청 많다고 하는데, 총 몇 마리 정도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우리 몸에는 약 40조 마리의 미생물이 존재하며 이는 우리 체내 세포 수와 비슷하거나 약간 더 많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몸속 미생물 종류는 수백에서 수천 가지에 달하며, 특히 대장에 많은 세균이 집중되어 있습니다. 각 장기에는 다른 환경에 맞춘 미생물이 살고 있어, 예를 들어 위장은 산성에 강한 미생물이, 피부와 입 안에는 외부 자극에 강한 미생물이, 대장에는 영양분을 분해할 수 있는 미생물이 주로 분포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대장의 미생물이 건강에 엄청난 영향을 미친다고 하는데 맞나요?
네, 대장의 미생물은 건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많은 연구가 이를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은 음식 소화, 면역 체계 조절, 염증 반응 완화 등 다양한 기능에 관여하고 특히 신경계와의 연관성도 밝혀져 장 건강이 기분과 정신 건강에까지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 장내 미생물 군집이 불균형할 경우 만성 염증, 비만, 당뇨, 우울증 등의 질환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가 많습니다. 이를 근거로 미생물 이식, 즉 ‘분변 미생물 이식’이 치료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실제로 특정 장 질환을 치료하거나 증상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건강 개선 효과는 개인별로 다를 수 있으며 안전한 이식을 위해 전문가의 진단과 관리가 필요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카페인관련 실험 질문입니다 !!!!
세균을 배양하지 않고 바로 증류수에 혼합한 후 실험을 진행하는 방식은 세균 농도가 낮아져서 억제 반응을 관찰하기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세균의 수가 충분히 많아야 카페인의 농도 차이에 따른 억제 효과가 더 명확히 나타날 수 있는데, 배양 과정이 없다면 세균이 충분히 존재하지 않아 온도 변화로 억제 정도를 확인하기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온도 변화는 카페인의 세균 억제 효과를 직접적으로 측정하는 방식과는 거리가 있을 수 있습니다. 온도 변화는 세균의 대사 활동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지만, 카페인이 세균 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온도만으로 명확히 관찰하기는 어려울 가능성이 큽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 쇼파에서 넘어진 후 다리 절뚝거림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슬개골 탈구일 수도 있고, 고관절 탈구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십자인대가 끊어진것일 수도 있고 뼈에 금이 가거나 부러졌을 수도 있습니다. 동물병원에 데려가서 진료 받으시기 바랍니다.
반려동물 훈련
반려동물 훈련 이미지
Q.  대형견을 키우고 있는데 말을 듣게하려면 어떤 방식이 좋을까요?
리트리버 같은 대형견이 주방에 올라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일관되고 긍정적인 강화 훈련이 효과적입니다. 우선, 반려견이 주방에 접근할 때 “앉아”나 “기다려” 같은 기본 명령어를 훈련하여 대체 행동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성공적으로 명령을 따를 때는 간식이나 칭찬으로 보상해주어 올바른 행동을 강화합니다. 이와 함께 물리적 방법으로는 주방에 바리케이드를 설치해 접근을 제한하는 것도 효과적이며, 이를 통해 주방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환경을 조성할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지질이 유동성을 가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인지질이 유동성을 가지는 이유는 주로 인지질의 구조와 지방산 꼬리의 성질에 있습니다. 인지질 분자는 머리 부분이 친수성이고 꼬리 부분이 소수성으로 이루어져 있어, 물 환경에서 자연스럽게 이중층을 형성합니다. 이때 꼬리 부분에 불포화 지방산이 포함되어 있으면 이중 결합이 생기며 굽은 형태가 됩니다. 이 굽은 구조는 분자들 사이의 간격을 벌려 주어 분자들이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고, 이로 인해 인지질이 유동성을 갖게 됩니다. 또한 온도가 높을수록 분자의 움직임이 활발해져 유동성이 증가하며, 세포막도 이를 통해 유연하게 유지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물고기는 왜 어떻게 숨을 쉬나요???
물고기는 아가미를 통해 물속의 산소를 흡수하여 숨을 쉽니다. 물이 아가미를 지나면서, 아가미 속의 모세혈관이 물 속에 녹아 있는 산소를 흡수하고 동시에 이산화탄소를 배출합니다. 대부분의 물고기는 입을 통해 물을 들이마시고 아가미를 통해 내보내는 방식으로 호흡하며, 아가미는 얇은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산소와 이산화탄소 교환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집니다. 물속 환경에 따라 일부 물고기들은 호흡 보조 기관이 발달해 공기를 직접 들이마시기도 하며, 잉어나 메기는 산소가 부족할 때 공기 중에서 산소를 흡수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120112021203120412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