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색을 가장 많이 인지할 수 있는 생물은 뭔가요?
색을 가장 많이 인지할 수 있는 생물은 갯가재(Mantis Shrimp)입니다. 인간은 빨강, 초록, 파랑의 세 가지 색을 인지하는 세 종류의 원추세포를 가지고 있어 약 100만 가지 색을 구별할 수 있는 반면, 갯가재는 무려 12개에서 16개에 달하는 종류의 시각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 자외선부터 적외선에 가까운 파장까지 다양한 빛을 인지하며, 심지어 편광까지 감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능력 덕분에 갯가재는 다른 어떤 생물보다도 훨씬 더 넓은 범위의 색을 인식하고 구분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Q. 곱슬머리에서, 환경에 따라 직모로 바뀔수도 있나요?
곱슬머리 형태는 주로 모낭의 모양과 유전적 요인에 의해 결정됩니다. 따라서 환경적인 요인만으로 곱슬머리가 완전히 직모로 바뀌는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호르몬 변화, 스트레스, 영양 상태, 나이 등 다양한 요인이 모발의 질감이나 곱슬거리는 정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나이가 들면서 모발이 얇아지거나 일부 곱슬기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 또한, 모발 손상이나 특정 질환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머리카락의 상태가 변할 수는 있으나, 이는 모발 자체의 형태가 근본적으로 변하는 것이라기보다는 모발의 건강 상태에 따른 변화로 볼 수 있습니다.
Q. 사람이나 동물들은 일정하게 체온유지를 해주는데, 체온을 유지해주는 신체기능은 무엇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사람과 동물의 체온 유지는 주로 시상하부의 조절을 받습니다. 시상하부는 신체의 열 생산과 열 손실을 조절하여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이는 혈관 수축 및 이완, 땀 분비, 근육 떨림 등의 생리적 반응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따라서 시상하부는 체온 조절 중추로서 항상성 유지에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