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이를 좀 오래 닦는 편이예요 불편해 졌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치경부(치아의 잇몸과 닿는 부위)는 법랑질(치아의 가장 바깥층, 가장 단단한 조직)이 가장 얇은 부위입니다. 단순히 씹는 작용을 통해서도 해당 부위가 조금씩 깨져나갈 수 있습니다(굴곡파절). 철사를 휘었다 폈다를 반복하다보면 가운데에서 끊어지게 되는 원리와 비슷합니다.이 때, 칫솔질을 좌우로 세게 하는 행동으로 해당 부위가 마모되는 것을 가속화 할 수 있습니다. 단단하거나 질긴 음식을 즐겨 먹거나 씹는 힘이 센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마모가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패인 정도가 아주 작은 경우에는 시린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약제를 도포하며, 그 이상으로 패인 경우에는 떼우는 치료를 하게 됩니다. 간혹 신경이 보일정도로 심하게 패인 경우에는 신경치료 및 크라운 치료를 하게 됩니다.
Q. 화이자 1차 백신 접종후 증상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가장 흔하게 발생되는 부작용으로 접종한 부위이 붓거나 발적, 통증이 나타날 수 있으며 전신적인 발열과 메스꺼움 및 근육통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로감과 두통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런 경우에는 충분한 휴식을 취하면 보통 3일 이내 증상이 사라집니다.백신 접종 후에 점점 두통이 심해지거나 시야장애가 생기는 경우에는 뇌정맥동 혈전의 가능성이 있지만, 조기에 진단한 경우에는 사망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의료기관에 내원하시는 것이 좋습니다.백신 접종 후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39도 이상의 고열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며 일상생활이 힘들정도로 이상증상이 나타날 때- 부기나 발적, 통증이 3일이 되어도 전혀 호전되지 않는 경우- 접종 후 호흡곤란, 흉통, 복부 통증, 다리가 붓는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 접종 후 심한 두통이나 2일 이상 지속되는 두통이 발생하며 진통제에 의해 호전되지 않거나 시야가 흐려지는 경우- 접종 부위 외에 멍이나 출혈이 생기는 경우
Q. 양쪽입가가 각질이 생기고 빨갛게 자주 그러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해당 증상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이 어려우며, 증상이 지속될 시 치과나 피부과에 내원하셔서 정확한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가능성이 있는 것으로는 구각구순염, 접촉구순염, 탈락구순염 등이 있습니다.구각구순염은 입꼬리 쪽에 염증이 발생하는 것으로, 세균감염이나 영양 결핍이 원인이 되어 발생합니다.접촉구순염은 립스틱, 립밤, 치약, 비누, 가글용액 등에 의한 알러지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으며 입술이 화끈거리고 가려우며 빨갛게 부어오르거나 진물이 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탈락입술염은 입술에 각질이 일어나는 것으로 따갑고 화끈거리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세균감염이나 영양 결핍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이처럼 여러가지 가능성이 있으므로, 병원에 내원하셔서 검사를 받고, 그에 맞는 치료를 받으시는 것이 좋습니다.
Q. 4ㅇ대 여성 이갈이 고치는방법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이갈이나 이를 악무는 습관에 대한 정확한 원인은 규명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사회심리학적/병태생리학적 요인이 이갈이의 원인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1. 사회심리학적 요인이갈이나 이 악물기가 심리적 혹은 정신적 병리에 의해 발생도된다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스트레스는 대표적인 악화 요인으로 생각되어져 왔습니다.2. 병태생리학적 요인(1) 수면 장애이갈이이 이악무는 습관이 코골이, 수면무호흡증과 같이 수면과 관련된 질환을 가진 사람에서 더 높은 빈도로 존재한다고 하므로, 이와 관련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많습니다.(2) 뇌신경계의 장애머리외상,신경계질환, 정신질환 환자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3)흡연, 음주,카페인,약물비흡연자보다 흡연자의 이갈이나 이악물기 빈도가 2~5배 높으며 니코틴이 빈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습니다.또한 하루 1잔 이상 술을 꾸준히 마시는 경우 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었으며, 하루 6잔 정도의 커피가 빈도를 증가시켰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중추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약물의 복용이 유발할수 있다고도 알려져 있습니다.예방하기 위해서는 스트레스를 최소화 하며 흡연과 음주는 삼가시는 것이 좋으며, 추가적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습니다.1. 이갈이 장치이갈이 장치를 제작하여 수면 중 착용함으로써, 이갈이나 이악물기를 감소시켜주는 효과를 가집니다.2. 보톡스씹는 근육에 보톡스를 주사 맞음으로써, 해당 근육의 긴장도를 완화시켜 이갈이와 이악물기를 감소시켜주는 효과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