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손가락에 수포는 왜 나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정확한 상태를 보아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나, 증상으로 보아 한포진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한포진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다한증, 금속알레르기나 아토피, 세균감염, 아스피린이나 경구피임약의 복용, 흡연,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고, 땀 역시 악화요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주로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작은 물집이 특징적으로 발생하며, 작은 물집들이 합쳐서 큰 물집이 되기도 하고 손톱 근처의 손가락 측면에 발생하기도 합니다.젊은 성인에서 잘 생기고, 물집이 있을 때는 생리식염수를 이용해 물찜질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되며, 물집이 가라앉은 후에는 연고 도포나 증상이 심한 경우 약의 복용을 하기도 합니다.일반적으로 2~3주 후 호전되지만 자주 재발할 수 있습니다.그 외 물집이 생기는 여러 원인이 있으니,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Q. 치실은 얼마나 사용해야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치실의 사용은 양치 전이든 양치 후이든 크게 상관이 있지는 않습니다. 두 경우에서의 효과는 비슷합니다. 다만, 치실을 통해 청소하는 치아의 인접면 뿐만 아니라 씹는면, 바깥면, 안쪽면에도 이물질이 있는 상태에서 치실을 사용하는 것 보다는 1차적인 칫솔질 후 치실을 사용하는 것이 좀 더 수월하기 때문에 칫솔질을 먼저 한 후 치실을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칫솔질과 치실 모두 물리적으로 이물을 제거하는 과정이고 가글은 화학적으로 제거하는 것이므로, 가글 전에 치실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치실을 잘못된 방법으로 사용할 경우 오히려 치아의 마모나 잇몸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적절한 방법으로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우선 치실을 30-40cm 정도 끊어서 양손의 엄지와 검지를 이용하여 3-4cm 정도만 남도록 치실을 잡고, 치아 사이에 정확하게 끼워 넣습니다. 이 때 무리하게 아래로 힘을 주어 치실을 누르면 잇몸 손상의 원인이 되므로 살살 비벼 넣으면 됩니다.그 후 힘을 주지 않아도 어느 정도 치실이 잇몸안으로 들어가는 부위까지 치실을 넣고 양쪽 중 한 쪽 치아면쪽으로 치실을 밀착시켜 위로 쓸어올립니다. 이 과정을 수회 반복하며, 반대쪽 치아 면도 동일합니다.무리하게 힘을 주어 잇몸 깊이 치실을 넣는 경우 잇몸 손상을 야기할 수 있고, 치아 사이로 내려간 후에 치실을 위아래가 아닌 앞뒤로 청소하는 것은 치아 옆구리의 마모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주의하셔야 합니다.
Q. 왼쪽 발바닥에 수포가 생기고 가려운데 치료법이나 예방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정확한 상태를 보아야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나, 증상으로 보아 한포진의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한포진의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다한증, 금속알레르기나 아토피, 세균감염, 아스피린이나 경구피임약의 복용, 흡연, 스트레스와 관련이 있고, 땀 역시 악화요인이라고 알려져 있습니다.주로 손바닥이나 발바닥에 작은 물집이 특징적으로 발생하며, 작은 물집들이 합쳐서 큰 물집이 되기도 하고 손톱 근처의 손가락 측면에 발생하기도 합니다.젊은 성인에서 잘 생기고, 물집이 있을 때는 생리식염수를 이용해 물찜질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되며, 물집이 가라앉은 후에는 연고 도포나 증상이 심한 경우 약의 복용을 하기도 합니다.일반적으로 2~3주 후 호전되지만 자주 재발할 수 있습니다.그 외 물집이 생기는 여러 원인이 있으니, 정확한 진단을 위해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으시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Q. 머리 아플때 좋응 방법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두통은 크게 일차성 두통과 이차성 두통이 있습니다.일차성 두통은 특별한 원인이 없는 경우로, 편두통, 긴장성두통, 군발두통이 있습니다.이차성 두통은 측두동맥염, 근막동틍증후군, 약물과용두통, 뇌종양, 뇌출혈, 뇌압상승, 뇌압, 뇌수막염 등에 의한 두통이 있습니다.스트레스나 피로, 수면부족 등의 원인이 있는 상태에서 발생한 가벼운 두통은 저절로 사라지며 진통제로 증상이 쉽게 완화됩니다.하지만 편두통 등의 일차성 두통은 일반적인 진통제에 의해 증상이 쉽게 완화되지 않는 경향이 있습니다.금방 사라지는 두통이라면 평소에 스트레스와 피로 관리를 통해 해결할 수 있으나, 증상이 심하고 악화되는 경우에는 병원에 내원하여 검사를 받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