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하와이에만 서식했던 레이산 뜸부기가 멸종된 이유가 있나요?
가장 큰 이유는 외래종의 도입과 서식지의 파괴 때문입니다.시작은 1903년 레이산 섬에 토끼가 도입되면서입니다. 토끼는 천적이 없는 환경에서 엄청나게 번식하며 섬의 식물을 거의 전부 먹어치웠습니다. 이로 인해 레이산 섬은 황무지로 변했고, 풀숲에 둥지를 짓고 먹이를 찾던 레이산 뜸부기는 서식지를 잃게 되었습니다. 레이산 뜸부기 외에도 레이산 밀러버드, 레이산 꿀빨이새 등 다른 토종 조류들도 같은 이유로 함께 멸종했죠.물론 레이산 섬의 식생이 파괴되면서 일부 레이산 뜸부기들은 샌드 섬과 이스턴 섬 같은 미드웨이 환초의 다른 섬으로 옮겨져 생존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1943년 제2차 세계대전 중 군함을 통해 쥐가 이 섬들로 유입되었고, 쥐들은 그나마 얼마남지 않은 날지 못하는 레이산 뜸부기를 잡아먹으로 개체수가 급감했습니다. 그래서 1944년에 마지막 레이산 뜸부기가 목격된 이후 멸종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결론적으로, 인간이 의도적으로 들여온 토끼와 뜻하지 않게 유입된 쥐가 레이산 뜸부기의 멸종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입니다.
Q. 동물도 사람처럼 밤낮이 바뀌는 경우가 있을까요?
네, 사람과 마찬가지로 동물 역시 개체에 따라 활동 패턴이 다를 수 있습니다.물론 드물기는 하지만, 특정 주행성 동물이 밤에 활동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주로 환경적인 요인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극심한 더위를 피하거나, 낮에는 너무 많은 경쟁자가 있어 먹이 활동이 어렵거나, 또는 특정 포식자를 피하기 위해 밤에 활동하는 개체가 생겨날 수 있습니다. 또한, 도시 환경에 사는 동물들은 인간 활동이 뜸해지는 밤이 더 안전할 뿐만 아니라 먹이를 찾기에도 쉬워 야행성으로 바뀌는 경우가 관찰되기도 합니다.마찬가지로, 야행성 동물이 낮에 활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역시나 먹이 자원이 특정 시간에만 나타나거나, 번식기처럼 특정 활동이 낮에 이루어져야 하는 경우, 또는 서식지 파괴 등으로 인해 활동 시간을 조절해야 하는 상황이 많습니다. 대표적으로 평소 밤에 활동하는 올빼미나 박쥐도 때로는 낮에 먹이를 사냥하는 모습이 목격되기도 하죠.이러한 개체별 활동 패턴의 변화는 동물이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하기 위한 나람의 생존 전략 중 하나입니다.
Q. 애플수박이 사과 유전자랑 관련 있나요?
애플수박은 사과와는 관계가 없습니다.단지 사과처럼 작은 수박이라는 의미로 애플수박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죠.애플수박은 1인 가구에 맞춰 품종 개량을 통해 크기를 줄인 수박입니다. 껍질이 얇고 일반 수박에 비해 껍질째 먹을 수 있는 품종도 있고, 맛은 일반 수박과 동일하지만, 말씀하신 것처럼 품종이나 재배 환경에 따라 당도와 맛이 천차만별일 수 있습니다.맛의 차이가 나는 가장 큰 이유는 품종의 차이입니다. 애플수박이라고 하더라도 다양한 품종이 존재하며, 각 품종마다 맛과 당도, 식감에 차이가 있습니다.또한 재배 환경에 따라서도 맛의 차이가 있고, 수확 시기에 따라서도 맛이 달라지게 되죠.결론적으로, 애플수박은 사과와 생물학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그저 크기가 작은 수박을 통칭하는 상업적인 이름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Q. 곤충도 병에 걸리나요 감기나 암과같은
네, 곤충도 바이러스에 감염되거나 암과 비슷한 질병에 걸릴 수 있습니다.곤충도 다양한 바이러스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 특히 나비목 곤충에게 흔한 핵다각체병 바이러스나 세포질다각체병 바이러스 등이 대표적인데, 이러한 바이러스는 곤충의 발육을 방해 하고 결국 죽게 만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농업 분야에서는 이러한 곤충 바이러스를 해충 방제에 이용하기도 하죠.또한 곤충에게도 종양과 유사한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이 관찰됩니다. 하지만, 사람의 암과는 세포 및 발생 과정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사람의 암처럼 그 형태가 비슷할 뿐이죠.그 외에도 곤충은 녹강균이나 흰곰팡이병 등 곰팡이병과 세균성 질병, 미포자충병 등 다양한 병원체에 감염될 수 있습니다.그리고 이러한 곤충의 감염이나 돌연변이는 사람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곤충은 사람에게 직접적인 질병을 일으키기보다, 바이러스니 세균, 기생충 등의 병원체를 옮기는 매개체로서 역할을 합니다. 흔히 곤충 매개 질병이라고 불리며, 모기나 진드기, 벼룩 등이 대표적인 매개 곤충입니다.그렇지만, 곤충의 돌연변이는 일반적으로 직접적으로 사람에게 질병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뭅니다. 하지만 생태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살충제에 내성을 갖는 돌연변이 해충이 나타나면 농작물 피해가 늘어날 수 있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