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면역 생성을 위한 백신의 작용 알려주세요!
백신은 우리 몸이 특정 질병에 대한 면역력을 미리 갖추도록 돕는 예방 수단입니다.실제 감염 없이도 면역 체계가 해당 병원체를 인지하고 싸울 수 있도록 선행 학습을 시키는 것입니다.백신에는 질병을 일으키는 병원체의 약화체나 비활성화된 형태, 혹은 병원체의 일부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백신에 포함된 항원이 몸속으로 들어오면 우리 면역 체계는 이를 외부 물질로 인식하고 반응하기 시작하는데, 이때 B 세포와 T 세포와 같은 주요 면역 세포들이 활성화됩니다.항원과 싸우는 과정에서 우리 면역 체계는 해당 병원체를 기억하게 되는데, 이 기억은 기억 B 세포와 기억 T 세포의 형태로 저장됩니다. 그리고 나중에 실제로 해당 병원체에 노출되면, 이미 기억 세포를 가지고 있는 면역 체계는 훨씬 더 빠르고 강력하게 반응하여 병원체를 제거하고 질병 발생을 막거나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비유하자면 예전에 한번 풀어본 문제에 다시 풀 때 더 쉽게 풀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심해생물들은 왜 눈이큰가요????
가장 큰 이유는 어두운 환경에 적응하기 위한 진화의 결과입니다.단순히 어두워서 그렇다기보다는, 극도로 적은 양의 빛이라도 최대한 많이 모아서 보기 위함이죠.심해는 우리 상상 이상으로 어두운 환경인데 수심 200m 이하부터는 햇빛이 거의 도달하지 못하며, 수심 1,000m 이하부터는 햇빛이 전혀 도달하지 않게 됩니다.그래서 큰 눈을 통해 미세한 빛도 감지하는 능력을 극대화한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지렁이 역할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세요!
지렁이는 땅속을 이동하며 터널을 만듭니다.이 터널은 흙 속에 공기가 잘 통하게 하고, 물이 땅속으로 잘 스며들게 만듭니다. 공기와 물은 식물 뿌리가 숨 쉬고 영양분을 흡수하는 데 필수적인데, 지렁이가 만든 터널 덕분에 흙은 숨을 쉬고 물을 머금을 수 있는 스펀지 같은 구조가 되는 것이죠.또한 지렁이는 흙 속의 죽은 식물 잎이나 낙엽, 잔뿌리 등 유기물을 먹습니다. 지렁이의 소화기관을 거친 유기물은 더 잘게 부서지고, 미생물이 분해하기 쉬운 형태로 변하게 되는데, 이렇게 분해된 유기물은 식물이 쉽게 흡수할 수 있는 질소, 인산, 칼륨과 같은 영양분으로 바뀌어 토양에 공급되게 됩니다. 그래서 지렁이 배설물인 '지렁이 분변토'는 비료만큼이나 영양분이 풍부하여 최고의 유기질 비료로 평가받는 것이죠.그리고 지렁이의 몸속과 배설물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풍부하게 존재합니다. 이 미생물들은 유기물 분해를 돕고, 식물 성장에 유익한 작용을 합니다. 결과적으로 지렁이 활동으로 흙 속 미생물 생태계가 더욱 활발해지고 다양해지는 것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잡초는 왜 그렇게 빠르게 잘 자랄 수 있는 건가요?
잡초의 특징 때문입니다.먼저 잡초는 씨앗을 엄청나게 많이 생산합니다. 어떤 잡초는 한 개체에서 수만 개의 씨앗을 만들어내기도 하죠. 그래서 뛰어난 번식력을 가집니다.그리고 척박한 환경에서도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는 강한 생존력을 가지고 있고, 다른 식물에 비해 씨앗에서 싹이 트고, 자라서 꽃을 피우고, 씨앗을 맺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짧은 시간 안에 여러 세대에 걸쳐 번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잡초는 뿌리를 빠르게 뻗어 주변의 영양분과 물을 먼저 차지해버립니다. 키도 빠르게 자라서 햇볕을 가려버리기도 하죠.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식물들의 성장을 방해하고 자신들의 영역을 넓혀나가는 주요 생존 전략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숲'의 기준이 무엇인가요? 도시 숲이라고 하면 어떤 기준인가요?
숲의 기준이 명확하게 지정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그래서 기관이나 목적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는데, 특히 유엔(UN)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정의가 국제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편입니다.유엔(UN)의 정의에 따르면 하늘에서 내려다볼 때 최소 땅의 10% 이상이 나무로 가려져 있는 토지를 숲이라고 정의합니다. 이 정의는 주로 숲 면적 통계를 내고 지구의 생물 다양성이나 온실가스 저장량을 측정하는 데 주로 사용되는 정의이죠.그리고 FAO의 정의는 좀 더 구체적인데 나무의 높이가 최소 5m 이상이거나 자생지에서 이 높이에 도달 가능한 나무가 있어야 하며 수관점유율이 10% 이상이어야 합니다. 또한 최소 면적은 0.5ha 이상이어야 하고 주로 농업용이나 도시용으로 이용되는 토지는 숲으로 포함되지 않습니다.하지만, 도시 숲의 기준은 '도시숲 등의 조성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정해지게 됩니다. 도시숲이란 도시에서 국민의 보건, 휴양 증진 및 정서 함양과 체험활동 등을 위하여 조성, 관리하는 산림 및 수목을 말하며, '자연공원법'에 따른 공원구역은 제외한다고 정의하고 있죠.그렇지만, 도시 숲 역시 일반적인 숲의 기준과 마찬가지로 정확히 몇 그루의 나무가 심어져야 한다는 구체적인 숫자는 명시되어 있지 않습니다. 대신, 면적, 수관점유율, 그리고 도시 숲의 조성 목적에 따라 적절한 수종과 식재 밀도를 고려하여 조성된다고만 하고 있죠.
2162172182192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