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생명을 구분을 종, 속, 과 등등을 어떻게 구별 하는건가요?
생명체를 종, 속, 과 등으로 분류하는 것은 생물학자들이 생물 간의 유연 관계와 공통된 특징을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한 방법입니다. 이는 칼 린네가 제시한 분류 체계에 기반하고 있으며, 현대에는 유전자 분석 등으로 더 정밀한 방법을 활용하여 분류하고 있죠.생물은 기본적으로 계층적인 분류 단계를 가지는데, 위로 갈수록 더 큰 범주이며, 아래로 갈수록 더 세분화된 범주입니다.'역 > 계 > 문 > 강 > 목 > 과 > 속 > 종'의 순서로 분류합니다.그리고 그 중에서도 종은 생물 분류의 가장 기본 단위이며 서로 교배하여 생식 능력이 있는 자손을 낳을 수 있는가가 중요한 분류 기준입니다. 즉, 같은 종의 개체들은 자연 상태에서 번식하여 번식 가능한 새끼를 낳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와 늑대는 서로 다른 종이지만, 같은 속에 속하며 말과 당나귀는 교배하여 노새를 낳을 수 있지만, 노새는 번식 능력이 없으므로 말과 당나귀는 다른 종으로 분류되는 것입니다.
Q. 아마존같은 밀림 지역은 왜 엄청 큰 나무가 많나요?
가장 큰 이유는 환경, 그 중에서도 기후 조건 때문입니다.아마존과 같은 열대우림은 1년 내내 높은 온도와 풍부한 강수량을 자랑합니다. 나무가 자라는 데 필요한 물과 에너지를 끊임없이 공급받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이죠. 반면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뚜렷하고 겨울에는 기온이 낮아져 나무 성장이 멈추는 기간이 있습니다. 이러한 온도 변화는 나무가 지속적으로 크게 자라는데는 어려움이 있죠.게다가 열대우림 지역은 엄청난 양의 식물 잔해가 끊임없이 쌓이고 분해되면서 토양에 풍부한 유기물이 쌓여있고, 덕분에 토양이 매우 비옥하기 때문에 나무가 필요한 영양분을 충분히 흡수하며 자랄 수 있습니다. 물론 우리나라의 산림 토양도 비옥하긴 하지만, 열대우림만큼 유기물 공급이 지속적이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