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꽃이 스스로 색깔을 바꿔서 피는 경우도 있을까요?
네, 말씀하신대로 원래 가지고 있는 색깔이 아니라 다른 색깔로 피는 경우도 있습니다.대부분의 경우는 돌연변이로 인한 현상입니다. 보통 꽃의 색깔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는 색소, 즉 안토시아닌이나 카로티노이드 때문에 나타나게 됩니다. 하지만, 돌연변이 발생하면 이 색소 발현에 변화가 생기고 그 결과 다른 색깔의 꽃이 필 수 있는 것입니다.그리고 온도나 빛의 양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들이 꽃 색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일부 아프리카 바이올렛 품종은 온도나 빛 조건에 따라 꽃 색깔이 변하기도 합니다.또한 꽃이 피고 지는 과정에서 색깔이 변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처음에는 특정 색깔로 피었다가 시간이 지나면서 색이 옅어지거나 다른 색으로 바뀌는 꽃들도 있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뇌 실물에는 겉면에 주름이 상당한데 이 구조의 생물학적 이유가 있나요?
뇌 겉면에 있는 주름은 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구조입니다. 이러한 주름을 피질 주름 또는 뇌이랑과 뇌구라 합니다.뇌의 용적은 제한되어 있지만, 주름이 많을수록 뇌의 표면적을 훨씬 넓힐 수 있습니다. 이는 더 많은 신경세포를 수용할 수 있게 하여 뇌의 처리 능력과 복잡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만듭니다. 비유하면 좁은 공간에 더 많은 천을 접어 넣는 것과 같죠.또한 뇌의 각 영역은 특정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 영역 간 효율적인 정보 전달이 중요합니다. 주름은 먼 거리에 있는 뇌 영역 간의 연결 거리를 단축시켜 정보가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전달될 수 있도록 만듭니다.그래서 뇌가 점차 커지고 복잡해짐에 따라, 제한된 두개골 내부에 더 많은 뇌 조직을 담기 위해 주름 구조가 진화적으로 발달했는데, 이는 고등 포유류, 특히 인간에게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특징이죠.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들이 썩은 고기를 먹어도 괜찮은 이유가 무엇인가요?
동물의 종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다양한 방법으로 썩은 고기에서 발생하는 독소의 피해를 막고 있습니다.그 중에서도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강한 위산을 가지는 것입니다.야생동물, 특히 썩은 고기를 먹는 독수리나 하이에나같은 청소 동물은 매우 강한 위산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강한 산은 음식에 있는 대부분의 유해균과 독소를 죽일 수 있습니다. 물론 사람의 위산도 어느 정도 살균 작용을 하지만, 청소 동물만큼 강하지는 않습니다.또한 야생동물은 음식을 비교적 빠르게 소화시키는 편인데, 이는 유해균이 몸속에서 번식할 시간 여유를 주지 않기 위함입니다. 게다가 오랜 진화 과정을 통해 썩은 고기에 적응한 야생동물은 해당 음식에 있는 특정 병원균에 대한 저항력을 갖춘 면역 체계를 발달시킨 경우가 많고, 일부 야생동물의 경우 특정 유해균의 성장을 억제하거나 독소를 분해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장내 미생물이 서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실내에서 화분을 키우는데 왜 벌레가 생기나요
가능성은 여러가지입니다.먼저 이미 흙에 알이나 유충이 있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즉, 새로운 식물을 구매했을 때 흙 속에 벌레의 알이나 아주 작은 유충이 이미 존재했을 수 있고 이러한 알이나 유충은 환경이 좋아지면 부화하여 눈에 띄게 되는 것입니다.또는 간접적으로나마 외부 환경과의 접촉이 생겼을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창문을 거의 열지 않더라도, 외출시 입었던 옷이나 반려동물의 몸에 아주 작은 벌레나 알이 붙어 집 안으로 들어올 수 있고, 환풍구나 하수구를 통해 벌레가 유입될 수도 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분자 생물학의 주요 연구 내용에는 무엇이 있나요?
예상보다 분자 생물학은 매우 광범위하고 다양한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대표적으로 핵산이나 단백질, 세포구조, 유전자 발현 등을 연구합니다.즉, DNA와 RNA의 구조, 복제, 전사, 번역 과정을 밝히고 유전 정보가 어떻게 저장되고 발현되는지를 연구하고,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3차원 구조, 기능 및 상호작용 그리고 그 기능 등을 연구 주제로 삼기도 합니다.특히 유전체의 구조와 기능, 유전자 변이와 질병의 관계 등의 연구가 활발한데 최근에는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개인 유전체 분석을 통해 질병 예측 및 맞춤형 치료법 개발에 대한 연구가 더욱 많이 이뤄지고 있습니다.그 외에도 유전체학이나 진화, 바이러스 연구 등도 대표적인 연구 분야입니다.
33133233333433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