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민물에 사는 게들은 물에 빠져서 썩은 채 녹조나 이끼가 낀 나무토막을 왜 좋아할까요?
먹이 공급원인 동시에 좋은 은신처가 되어주기 때문입니다.썩은 나무는 다양한 유기물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게들은 이러한 유기물을 섭취하여 영양분을 얻습니다. 특히, 나무에 붙어있는 녹조나 이끼는 게들에게 매우 중요한 유기물 공급원이 됩니다.또한 썩어가는 나무에는 다양한 미생물이 번식하는데, 게들은 이러한 미생물을 뜯어먹으며 단백질을 보충하기도 합니다.게다가 썩은 나무는 복잡한 구조가 형성되며 게들이 숨기에 매우 좋은 장소가 됩니다. 그 때문에 천적인 물고기나 새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죠. 특히 탈피 시기에는 게들이 매우 취약해지는데, 썩은 나무는 안전한 탈피 장소가 됩니다.
Q. 비둘기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나요?
가장 큰 문제는 위생문제입니다.특히 비둘기 배설물은 강한 산성을 띠고 있어 건물, 문화재, 차량 등을 부식시키고 도시 미관을 해칠 수 있습니다. 또한, 건조된 배설물은 미세먼지처럼 공기 중에 떠다니며 호흡기 질환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게다가 비둘기는 다양한 세균과 질병을 옮길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약자나 어린이에게는 건강상 위험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은근히 비둘기의 울음소리는 새벽이나 이른 아침에 소음 공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많은 수의 비둘기가 한꺼번에 날갯짓을 하면 상당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생태계로 보더라도 비둘기는 번식력이 강하고 먹이 활동 범위가 넓어 다른 야생 조류의 서식지를 침범하고 먹이를 빼앗아 생태계 균형을 깨뜨릴 수 있습니다.
Q. 소과에 속하는 동물들이 가축화에 성공한 종이 다수인데 반해 들소는 왜 성공할 수 없었나요?
유전적 요인도 있지만, 환경적 요인도 있습니다.먼저 들소는 소보다 야생성이 강할 뿐만 아니라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유전적으로 물려받은 특성으로, 인간이 길들이기를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또한 들소는 무리 생활을 하며, 무리 내에서 경쟁을 통해 강한 서열을 형성하는데, 이 때문에 인간에 의해 통제되는 것에 강한 거부감을 가지게 됩니다.게다가 들소는 넓은 평원이나 삼림 지대에 서식하며, 이동 범위가 넓습니다. 이러한 서식 환경은 인간이 들소를 가두어 기르거나 통제하는 것을 어렵게 만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