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안녕하세요

류경범 전문가
CELL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래나 돌고래는 어떻게 잠을 자나요?
말씀하신대로 고래나 돌고래는 바다에서 생활하는 포유류이기 때문에 숨을 쉬기 위해 주기적으로 물 위로 올라와야 합니다.그래서 익사하지 않기 위한 수면을 취하죠.대표적인 방법이 '단일 반구 수면'입니다. 즉, 뇌의 절반만 잠을 자는 것입니다. 다시 말해 좌뇌와 우뇌를 번갈아 가며 잠을 자며 한쪽 뇌가 잠을 자는 동안 다른 쪽 뇌는 깨어 있어서 호흡을 조절하고 주변 환경을 감지합니다.많은 고래와 돌고래 종이 이런 방식의 수면을 취합니다.또 다양한 수면 자세로 익사를 피하기도 합니다.몸을 수직으로 세운 채 수면 근처에서 잠을 자거나 수면 위에 몸을 수평으로 띄운 채 잠을 자거나 수면 위에 몸을 수평으로 띄운 채 잠을 자기도 합니다.그리고 수면시간을 조절하기도 합니다.그래서 고래와 돌고래는 하루에 몇 시간씩 짧게 여러 번 잠을 자기도 하는데, 깊은 잠보다는 얕은 잠을 주로 자며, 필요에 따라 수면 시간을 조절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고양이과 동물의 혀는 왜 까칠까칠 한가요?
고양이과 동물의 혀에 있는 날카로운 돌기는 털을 관리하는데나 먹이를 먹는데 이용합니다.고양이과 동물은 많은 시간을 털을 관리하는데 쓰는데, 혀의 돌기는 빗과 같은 역할을 하여 털에 묻은 먼지, 이물질, 죽은 털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또한, 돌기는 털을 빗으면서 피부에 자극을 주어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피부 건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또한 고양이과 동물은 사냥한 먹이를 먹을 때 혀의 돌기를 사용하는데, 돌기는 먹이의 뼈에서 살점을 분리하거나 털을 제거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합니다. 특히, 큰 고양이과 동물인 사자나 호랑이는 혀의 돌기를 이용하여 먹이의 가죽이나 털을 벗겨내는 데 효과적으로 활용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눅눅한 튀김이 맛이 없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맛이란 단순히 미각으로만 느끼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즉, 맛은 단순히 미각뿐만 아니라 후각, 촉각, 청각 등 다양한 감각의 결합입니다.바삭한 튀김은 입안에서 부서지는 질감과 함께 경쾌한 소리를 만들어냅니다. 이러한 감각은 뇌에 즐거운 자극을 주어 맛을 더욱 풍부하게 느끼도록 합니다. 반면 눅눅한 튀김은 씹는 즐거움을 감소시키고, 기름진 느낌을 강조하여 맛을 느끼는 데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게 됩니다.또한 바삭한 튀김은 뜨거운 기름에 의해 튀겨지면서 음식의 향이 더욱 강하게 휘발됩니다. 이 향은 맛을 더욱 풍부하게 느끼도록 만들죠. 반면 눅눅한 튀김은 상대적으로 향이 약하고, 맛의 풍미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됩니다.물론 과학적인 이유도 있습니다.튀김의 바삭거림은 재료 안의 수분이 뜨거운 기름과 만나 증발하면서 만들어지는 다공질 구조 때문입니다. 그러나 눅눅한 튀김은 시간이 지나면서 오히려 수분과 기름을 흡수하여 느끼함이 강해지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파블로프의 개'실험은 과학계의 어떤 걸 바꿔놨나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심리학부분에서 큰 영향을 주었습니다.당시 심리학은 주로 내성법에 의존하여 주관적인 경험을 연구하는 학문이었습니다. 그러나 파블로프의 실험은 객관적으로 측정 가능한 행동을 통해 심리적 현상을 연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이는 심리학을 과학적인 학문으로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습니다.또한 파블로프의 조건반사 실험 자체만을 두고본다면 인간과 동물의 행동이 학습과 환경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 실험이었습니다. 이는 행동주의 심리학의 핵심 원리로 작용하였으며, 왓슨, 스키너 등 후대의 행동주의 심리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주게 되었죠.그리고 파블로프의 실험은 인간과 동물의 행동이 복잡한 정신 과정이 아닌 단순한 자극-반응의 연합으로도 설명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으며, 결과적으로 이는 인간과 동물의 행동에 대한 기계론적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논쟁을 불러일으키기도 했습니다.지금이야 당연한 내용일 수 있겠지만, 당시로서는 상당히 획기적인 관점의 실험이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사람은 280일의 임신기간을 가지는데, 더 긴 임신동물이 있나요?
네, 사람보다 임신기간이 훨씬 긴 동물들도 많습니다.가장 잘 알려진 동물은 코끼리입니다.코끼리는 포유류 중에서 가장 긴 임신 기간을 가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아프리카 코끼리의 경우 약 22개월, 즉 640~660일 정도의 임신 기간을 가집니다.또 기린의 임신기간도 상당히 긴데, 약 13~15개월(약 450일)의 임신 기간을 가지며 검은 코뿔소도 약 15~16개월(약 480일)의 임신 기간을 가집니다.그리고 해양생물 중 향유고래의 임신기간은 14~16개월(약 420일~480일)입니다.
5015025035045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