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구상에서 모기가 전멸하면 생태계는 어떻게 되나요?
모기가 사라지게 되면 생태계는 약간의 혼란을 겪을 수 있습니다.우선, 모기를 먹이원으로 삼던 동물들, 예를 들어 특정 박쥐나 새, 물고기, 잠자리 등의 개체 수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특히 모기 유충을 주로 먹는 수생 생물들에게는 큰 타격이 될 것입니다.반면, 모기가 매개하던 질병인 말라리아나 뎅기열, 지카 등으로 인한 인명 피해는 현저히 줄어들 것입니다.또 일부 식물들은 모기의 수분 활동에 의존하기 때문에, 그런 식물의 번식에는 상당히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식물은 다른 곤충이나 바람을 통해 수분되므로 전반적인 식물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입니다.그럼에도 모기는 특정 생태계에서는 생물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며 먹이 사슬의 중요한 연결고리 역할을 하므로, 그런 모기들이 사라지면 해당 생태계의 에너지 흐름에 교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물론 장기적으로는 사라진 모기의 생태적 지위를 다른 곤충들이 일부 대체하려 할 것이고, 생태계는 새로운 평형을 찾아갈 것입니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새로운 문제들이 발생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습니다.결론적으로, 모기 전멸은 인류에게는 어느정도 이득이 될 수 있으나, 생태계 전체적으로는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인해 긍정적인 영향은 물론 부정적 영향을 동시에 유발할 수 있어 예측이 쉽지 않은 변화가 있을 것입니다.
Q. 이벌레 이름과 특성.. 등 사람에게 피해주는지? 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등얼룩풍뎅이로 보입니다.그리고 결론을 먼저 말씀드리면 농업적인 관점에서는 해충입니다.등얼룩풍뎅이의 유충은 땅속에서 식물의 뿌리를 갉아먹습니다. 이로 인해 식물의 성장이 저해되거나 시들고, 심한 경우 고사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특히 잔디밭이나 옥수수, 밀, 보리 등 다양한 작물에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성충도 활엽수의 잎을 갉아먹어 피해를 줍니다. 비록 유충만큼 치명적인 피해를 주지는 않더라도, 대량 발생 시에는 작물 수확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죠.하지만 사람에게 직접적인 해를 주거나 질병을 옮기지는 않습니다. 물릴 수도 있지만 독성이 없어 크게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또 집 안으로 들어오는 등얼룩풍뎅이는 해를 끼치기보다는 불빛에 이끌려 들어온 경우가 대부분이니 너무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Q. 해충이라는 기준은 인간입장에서 어떤 형태로 분류하나요?
해충이란 인간에게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주는 생물을 말합니다.쉽게 말해, 우리에게 손해를 끼치는 벌레나 동물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죠.그래서 피해의 형태에 따라서도 나누기도 하는데, 이 경우 농업, 위생, 재산, 인체 피해 등으로 나누기도 합니다.이처럼 해충이라는 기준은 오직 인간의 입장에서 이롭지 않다고 판단될 때 붙여지는 이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