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몸에 열이 많은데 피해야 하는 한방 성분이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우선 몸에 열이 많음과 동시에 땀도 많이 흘리시기 때문에 "발산풍한약" 계열의 한약재는 피하시는 것이 좋다고 여겨집니다. "생강"도 "발산풍한약"에 속한 한약재이기 때문에 생강차를 드셨을 때 고생하셨던 것으로 보입니다.본초학에서 언급하는 "발산풍한약"의 원리는 몸을 따뜻하게 하고 땀을 흘려 차가운 나쁜기운(한사)을 내보내는 것으로 약효를 보입니다. 다만 이 원리는 평소에 열이 많고 땀을 자주 흘리는 사람에게는 독이 될 수도 있습니다. 열이 평소에 많은 사람에게 열을 더 발생시키고 땀을 더 많이 흘리게 하여 탈수와 비슷한 효과를 나타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발산풍한약의 종류로는 마황, 계지, 자소엽, 소경, 창이자, 백지, 방풍, 고본, 신이, 세신, 생강, 형개, 강활, 총백 등이 있으며, 해당 한약재는 복용을 피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특히 마황은 다이어트 한약에 포함되는 경우도 종종 있기 때문에 질문자님께서는 다이어트 한약 복용 시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집니다.감사합니다.
Q. 몸이 항상 차가운데 한방약재로 어울리는 추천좀요
안녕하세요. 전진환 한약사입니다.혹시 오한이 자주 돌면서 땀은 나지 않고 몸이 차가운 느낌이시라면 적합한 한약재가 있습니다. 본초학의 한약재 분류 중 "발산풍한약"이 앞서 언급드린 증상에 적합할 수도 있습니다. "발산풍한약"의 원리로는 땀을 흘리게하여 차가운 기운(한사)을 제거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이러한 "발산풍한약"의 종류로는 마황, 계지, 자소엽, 소경, 창이자, 백지, 방풍, 고본, 신이, 세신, 생강 등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생강은 식품으로도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쉽게 구할 수 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 혹여 한약 처방으로 접근하기 이전에 식품이나 차 음료와 같은 종류로 접근해보실 계획이라면 생강차를 수시로 드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