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명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훈 전문가입니다.

이명훈 전문가
EBS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강간죄에 대해 어떻게 처벌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강간죄에 대한 법률은 에 기초를 두고 있는데, 최고형인 교수형에 처했다. 특히 12세 이하의 어린 여아를 강간하였을 경우에는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강간범들을 교수형으로 다스렸다.태조 때 잉읍금이란 노비가 여아를 강간하여 교수형에 처해졌으며, 세종 때 정경은 양인의 딸을 범하기 위해 밤새도록 폭력을 행사하여 살인을 저질렀는데, 정경은 교수형에 처해졌고, 피해자인 처녀에게는 정려문을 세워 정절을 표창했다.강간 미수는 장형 100대와 3천리 유배형으로 다스렸다. 하지만 이처럼 강간범을 엄하게 다스린 것은 피해 여성이 정절을 지키고자 할 경우헤 국한되었다. 유감동이나 어우동처럼 화간에 가까운 경우에는 장형에 불과했다.또한 신분 사회인지라 공신이나 양반이 저지른 강간 범죄는 묵인되거나 형식적인 처벌에 그쳤다. 세조 때 정4품인 유효반이 양인의 딸 영금을 유인하여 강간하였다. 사헌부에서 잡아다 취조한 뒤 교수형을 상신했으나, 세조는 유효반이 공신이라는 이유로 장형 100대와 3천리 유배로 감형해 주었고, 그나마 거의 초죽음에 이를 장형 100대도 보삭금으로 대체케 해 주었다.성종 때 청풍군 이원이 유배 당한 처지임에도 과부를 강간했지만, 왕실의 종친이란 이유로 유배지를 옮기는 것으로 무마했다.유학의 나라 조선은 여성의 정절을 중시하여 강간범죄를 엄히 다스렸다. 하지만 ‘유권무죄 무권유죄(有權無罪 無權有罪)의 병폐는 떨치지 못하였다. 해서 이익은 ’여성이 거부하는데 남성이 강제로 겁탈하려 했다면 성관계 여부에 관계없이 강간죄에 해당한다‘며 성범죄를 더욱 엄벌에 처할 것을 상소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 가장 컸던 전쟁은 어떤 전쟁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임진왜란(壬辰倭亂)은 1592년(선조 25년) 전국 시대가 끝난 도요토미 정권 치하의 일본이 조선을 침략하면서 발발하여 1598년(선조 31년)까지 이어진 전쟁이다. 두 차례의 침략 중 1597년의 제 2차 침략을 정유재란이라고 따로 부르기도 한다. 임진왜란은 조선과 일본뿐만 아니라, 대명과 여진족 등 동아시아 전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 전쟁의 결과, 조선은 경복궁과 창덕궁 등 2개의 궁궐이 소실되었고, 인구는 최소 100만 명 이상 감소했으며, 경작지의 2/3 이상이 황폐화되는 큰 피해를 입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의 종기로 죽은 왕이 누구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조입니다. 역대 조선 왕들이 앓던 고질적인 지병인 종기를 앓고 있었으며 말년에는 종기에 고름으로 굉장히 고생했다. 그 더운 여름날 몇 되나 되는 고름을 쏟으며 고생했다고 하니 고통이 얼마나 끔찍했을지 짐작할 수 있다. 당시의 열악한 의료 기술 탓에 종기를 어떻게 손 써보지도 못하고 인삼을 넣은 탕약만 마시다 악화되어 결국 사망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사망직전 한달전까지 건강했던 정조가 급하게 사망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조는 조선왕 독살설의 대표적 인물 중 한 명이다. 정조의 죽음에 대한 몇 가지 석연찮은 점과 정치적 논란 때문에 노론 지도부인 심환지와 정순왕후의 주도로 정조가 암살되었다는 암살론이 제기되었으나 최근 심환지와 정조가 비밀리에 주고받은 서찰이 공개되어 수그러든 감이 있다. 사실 오회연교와 관련해서 전후 사정을 따져본다면 심환지를 측근이라기보다는 함께 해야 할 당파의 영수로 보는 것이 적합하다. 암살론 자체가 나오게 된 계기는 정조의 사후 정약용이 직접적으로 시상(심환지가 정조를 독살했다고 언급)한 것이 큰데 조선시대에 무고죄를 극형으로 다스린 것을 고려하면 확실히 정약용이 무슨 의도에서 그런 글을 썼는지 의심이 가는 부분이 없진 않다. 그러나 이 부분 자체도 심환지와 당시 문제의 어의인 심인이 인척 관계인 점을 고려하면 나올 만한 이야기이긴 하지만 정조가 세손으로 있을 때 야음을 탄 독살의 위험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거진 밤을 지새우며 책을 읽었다는 기록이 있고 집권 기간에도 여러번의 독살 위험에 노출되었기에 정조 암살론이 단순한 억측이라고 보긴 어렵다는 목소리가 있다. 문제는 다른 어의들과 달리 심인에 대해서는 꾸준히 공격적인 공세가 이어진다는 점과 심환지의 졸기 등에서 사관들이 심환지를 공격하는 부분 등이 암살설의 근거가 되는 것. 정순왕후의 경우에도 기록을 잘 보면 사적으로 상당히 친밀한 관계였고, 죽기 직전 '수정전'을 언급해 정순왕후를 오게 한 것을 보면 서로의 신뢰가 상당했음을 알 수 있다.그러나 암살론의 여러 근거 때문에 《영원한 제국》의 작가 이인화, 이덕일 등의 작가와 학자들은 계속하여 암살론을 주장하고 있다. 이러한 암살설이 영향인지 소설이나 드라마에선 독살된 걸로 진행된 편이라고 한다. 암살론자들은 오회연교 등 정치적으로 격한 상황에서 정조가 갑자기 병으로 쓰러지고 첫날에는 연훈방 처방으로 효과를 보았다고 스스로 언급한 다음 이어서 연훈방을 처방했을 때 상태가 급격히 나빠져 사실상 급사해버렸기 때문에 독살설 주장이 더욱 맹렬한 것. 그러나 유의해야 할 것은 정조가 단명한 것은 아니다. 상식적으로 애연가에 주당에 식사도 불규칙하게 했고 본인 스스로도 잦은 질병을 앓고 고통스러워한 기록들이 남아 있는 데다가 왕을 과로사로 몰고 간다고 봐도 과언이 아닌 조선의 정치 체제를 충실히 따르다 못해 훨씬 과격하게 보낸 인물이라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이로 인해 정조의 과격한 처방법을 두고 정조의 의술에 대한 논쟁도 발생했다. 여기서 《정조실록》에 기록된 내용을 종합해보자면 정조의 성격도 요절설과 독살설에 의혹을 지핀 것이 아닌가 싶다. 정조는 매우 다혈질이고 급한 성격인지라 신하들과 갈등이 많았는데 재위 기간 24년 동안 《정조실록》에 기록된 신하들과 논쟁만 해도 5차례~6차례나 될 정도다. 조선 왕의 특성상 과로는 기본인데다 정조의 경우 스트레스와 잔병치레가 잦았고 술담배를 즐겼으며 한 사람이 했다고 말하기 어려울 정도로 많은 일을 밀어붙인 점 등을 고려하면 49살에 죽은 것이 그리 이상하지는 않다. 당시에는 50세만 되어도 잘 살았다고 하던 때였고 60대까지 사는 사람이 전 국민의 5%도 되지 않던 때였다. 무엇보다 그는 당시 치명적인 질병이었던 종기를 심하게 앓고 있었다.또한 정조가 유별나게 조선 왕 가운데 급격하게 사망하거나 일찍 죽은 것이 아니다. 정조는 무려 24년을 재위했다. 조선 왕 가운데 절반 이상은 정조보다 짧게 살았고, 정조보다 짧게 재위했다. 나름대로 꽤 장기간 집권한 이미지가 있는 태종은 18년 재위하였으며, 북벌을 주창하며 의욕차게 일했던 효종은 11년도 재위하지 못하고 죽었다. 끝도 없이 이어진 듯한 세도정치를 겪었던 헌종도 15년을 간신히 넘겼으며, 굉장히 오래 재위했을 것 같은 세조는 14년을 아슬아슬하게 넘기고 사망했다. 게다가 정조는 강력한 왕권을 가졌던 영조의 발자취 덕분에 즉위한 직후부터 사실상의 실권을 틀어쥐고, 자신이 원하는 정치를 할 수 있었다. 정조는 조선사를 통틀어서도 손꼽히게 오랫동안 재위하면서 장기간 실권을 휘둘렀던 왕이다. 오히려 그렇기 때문에 그의 사망이 급작스럽게 여겨지는 것이기도 하지만.1800년 5월 30일 정조는 대전에서 신하들과 또다시 한바탕 논쟁을 벌였고 끝내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며 "오늘 부로 난 신하들과 일체 논의를 하지 않겠다!"고 폭탄 선언을 한다. 이른바 '오회연교(五晦筵敎)'다. 이 말인 즉슨 갈등의 최고 정점에 다다랐다는 점이며 정조가 정치적으로 단절을 선언한 셈이다. 그리고 약 4주 뒤인 1800년 6월 28일 정조는 끝내 승하하게 된다. 승하하기 직전에 벌어진 신하들과 논쟁에서 생겨난 극심한 스트레스가 정조가 이미 가지고 있던 질병인 종기를 악화시켜 1달도 채 되지 않은 사이에 죽음으로 몰아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겠다.역대 조선 왕들이 앓던 고질적인 지병인 종기를 앓고 있었으며 말년에는 종기에 고름으로 굉장히 고생했다. 그 더운 여름날 몇 되나 되는 고름을 쏟으며 고생했다고 하니 고통이 얼마나 끔찍했을지 짐작할 수 있다. 당시의 열악한 의료 기술 탓에 종기를 어떻게 손 써보지도 못하고 인삼을 넣은 탕약만 마시다 악화되어 결국 사망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에서는 종기를 어떤 방식으로 치료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 일반인들의 경우에는 침이나 칼로 외과적 시술을 하거나 민간요법으로 고름을 입으로 빨아서 뱉거나 하는 식의 치료를 했다. 정조는 종기의 치료를 위해 신하들과 토론을 하기도 했고, 인삼과 육화탕이 들어간 탕약을 먹었다고 한다. 정조 본인은 자신과 인삼이 맞지 않는다고 싫어했지만, 신하들은 기어이 인삼이 들어간 약을 먹였다. 많은 치료법이 있었겠지만, 당시 조선에는 소독이라는 개념이 없었기 때문에 시술 도구의 살균처리는 고사하고 물론이고 환부의 처리도 현대 기준에서는 불완전했다. 그래서 외과적 치료를 시행해서 고름을 빼내도 재발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던 모양이다. 이러한 치료법은 그저 종기의 고름만 제거할 뿐, 근원적으로 고름을 만드는 조직을 제거하지는 못했기 때문에 재발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미술
미술 이미지
Q.  벽지에 곰팡이가 생기는 원리는?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여름 장마철에 습한 날씨가 지속되거나, 겨울이 되고 햇빛이 잘 들지 않으면 결로가 마르지 않고 그대로 있게 되서 벽지에 곰팡이게 생기게 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진아시'라는 인물은 어떤 인물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진아시왕(伊珍阿豉王. 42년 ~ 117년 재위: 42년 ~ 117년)은 대가야의 초대 국왕이다. 대가야를 건국한 것 이외에는 알려진 바가 없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대가야국의 시조를 이진아시라고 하고, 그를 내진주지(內珍朱智)라고도 한다고 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이슬람국가도 연말 크리스마스를 챙기나요?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슬람 국가 중 하나인 아랍 에미리트의 아부다비 팰리스 호텔에 한화로 약 132억원인 트리가 세워졌다고 하네요!이 트리에는 수많은 보석들로 장식되어 있다고 해요. 당시 무슬림이 대부분인 이슬람 국가에 132억원의 크리스마스 트리는이슬람 전통을 뛰어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많았지만, 호텔 측에 따르면"아랍에미리트는 '개방성'과 '관용'에 기본을 둔 정책을 펼치기 때문에 큰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고 하네요​아랍에미리트뿐만 아니라 이라크, 이집트 등 다른 이슬람 국가에서도 크리스마스 트리를 설치하거나 캐롤을 들으며 크리스마스를 즐기는 분위기라고 해요. 아무래도 각 나라에 사는 기독교인들이 약 10%씩 산다는 것을 고려해 이들을 배려하는 차원이 아닐까 싶어요!​몇 이슬람 국가에서는 크리스마스가 법적으로 지정된 공휴일이기도 해요​세계 많은 나라와 같이 이라크같은 경우는 12월 25일이 크리스마스지만, 이집트 콥트 교회, 에티오피아 교회, 러시아·세르비아 정교회에 속하는 이집트, 카자흐스탄 등은 1월 7일, 아르메니아 사도교회에 속하는 레바논은 1월 6일이 크리스마스인 경우가 있는데 이 이유는 바로 그레고리력에 따라 달라진다는 점! 각 교회마다 날짜를 세는 방식이 달라 이러한 차이가 생긴다고 하네요​실제로 이슬람의 성서인 '코란'에서도 예수에 대한 언급이 되어있는데요, 무슬림들은 예수를 '이사(عيسى)'로 부르며 기독교에서는 신앙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예수를 '예언자'나 '신의 사도'로만 받아들이고 존중한다고 해요​신 이외의 사람은 신격화를 금지하는 이슬람에서 예수는 다른 예언자처럼 그저 선택된 사람일 뿐이에요 ​예수의 탄신일인 크리스마스를 받아들이고 존중하는 이슬람국가가 있는 반면, 이를 금지하는 이슬람 국가가 있기 마련이겠죠?성탄을 축하하면 감옥에 수감될 수 있는 나라가 있다면 믿으시겠어요? 바로 이 나라는 브루나이인데요,브루나이에서는 무슬림이 성탄축하를 한다면 무려 5년 수감형에 쳐해질 수 있다고 해요​하지만 무슬림이 아닌 경우 제한된 공동체 내에서 크리스마스를 축하할 수 있다고 하니 만약 기독교인이 브루나이에 간다면 꼭 제한된 공동체 내에서만 축하를 해야겠죠?!이렇게 크리스마스 축하를 금지하는 이유는 이슬람 공동체에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네요​보수적인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어떨까요?​알라가 내려주는 법을 집행하는 이슬람법인 '샤리아'​에 따르는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크리스마스를 금지한다고 해요.​앞서 언급했듯, 예수를 선지자 중 한 명으로 다루는 코란에 따라 '알라나 무함마드가 아닌 예수의 탄신일을 기념일로 삼는 것은 옳지 않다'며크리스마스를 법적으로 금지하고 있어요!​2018년 사우디아라비아는 여성 운전 금지규율이 폐지되는 등 많은 정부의 억압들이 사라졌는데요,​크리스마스 금지 규율을 폐지하자는 의견은 없었던 걸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실제로 2018년,크리스마스 금지 규율은 ​기독교인인 외국인 노동자의 신념을 존중하지 않는다며 폐지하는 논쟁이 있었어요.​하지만 규율 폐지 반대 의견이 우세해 아직까지도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크리스마스가 금지되어있다고 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시대 기생의 뜻과 탄생배경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기생의 연원을 논할 때 흔히 거론되는 여인은 신라의 천관녀(天官女)이다. 김유신(金庾信)이 젊은 시절에 ‘매음방(賣淫房)’에 드나들다가 어머니에게 꾸중을 듣고 크게 뉘우치어 다시는 그곳에 가지 않기로 맹세한 바 있었다. 그러던 어느 날 술자리를 가진 뒤 취한 상태로 말을 타고 집으로 돌아오 던 중 말이 습관적으로 창가(娼家)로 잘못 향하게 되었다. 창녀(娼女)가 나와서 기뻐하며 맞이하자 비로소 잠이 깬 김유신이 분연히 말의 목을 베고는 집으로 돌아갔다는 설화에 나오는 여인이 바로 천관녀이다. 그녀는 매음의 기원을 살피는 데는 도움이 되지만 기생과 직접적으로 연결되기는 어렵다고 본다.한편, 기생과 비슷한 듯하지만 매음이 훨씬 더 강조된 존재로 유녀(遊女)가 있는데, 기생보다 저급하게 인식되어 기생과는 마땅히 구별되어야 한다. 기생이 존재하던 시기에도 단순 매음에 종사하는 유녀가 있었던 사실이 둘을 구별하여야 함을 말해 준다. 유녀들은 예술적 재능을 요구받지 않았을 뿐더러 관청에 소속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기생과는 구별되었다.조선 성종대에 유녀라고 불리는 자들이 원(院)·관(館)과 영(營)·진(鎭)에 많이 있어 봄·여름에는 어량(魚梁)의 세금을 거두는 장소로 가고, 가을·겨울에는 산간의 사찰에 놀러 가 음란한 짓을 행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그리고 승려들이 부인을 유인하여 산중의 절에 감추어 두거나, 재산 많은 큰 상인들이 재물로 양가의 처녀를 꾀어내어 실행(失行)하게 하고 돌아갈 수 없게 하여 유녀가 되고 마는 경우가 있다고 하였다.또한, 조선 말에 박제형(朴齊炯)도 관기와 단순 매음녀를 엄격하게 구별한 상황을 설명하면서 “관기는 판여(板輿)를 타고 깁 장옷으로 전신을 감싸면서 낯만 내어놓았다. 창녀는 감히 판여를 타지 못해서 관기와 구별하였다.”라고 하였다.이로 미루어 기생은 단순 매음녀와는 엄격히 구별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기생은 무엇보다 관청에 소속된 공적인 관물(官物)이었다는 점에서 사적인 매음녀와 달랐다. 그리고 기생은 외적인 용모를 기본으로 하되, 예술적 재능까지도 갖추어야 했기 때문에 역시 단순 매음녀와는 격을 달리 하였다.기생의 연원과 관련하여 고려해 볼 것은 기생들에게 요구되었던 기능이 기예(技藝)와 여색(女色) 두 가지가 가장 컸다는 점이다. 이는 기생이 황 음(荒淫)과 유희(遊戲)를 위한 도구에 불과할 뿐이라는 연산군 때 어무적(魚無迹)의 지적에서도 확인되는데,5) 기생이 가진 여색이 황음을 위한 것이고, 그 재주는 유희를 위한 것일 뿐이라는 것이었다. 이로써 유추해 본다면 기생이 생겨난 때는 관청에 소속된 시점과 예술적 재능까지 요구받던 시점이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 시점은 대체로 고려 전기로 알려져 있다.기생의 기원과 관련하여서는 고려 태조 때에 통제하기가 어려웠던 백제 유민 계통의 양수척(楊水尺)을 관청에 소속시켜 노비로 삼고, 그 중 색예(色藝)가 있는 비(婢)를 기생으로 삼아 가무를 연습하게 한 것이 기생의 시초라고 보고 있다. 현종 때에 기생을 교육하는 시설인 교방(敎坊)을 없앤 기록이 있는 것으로7) 미루어 이전에 이미 기생이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당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여 설치한 교방은 정확한 설치 연대나 구성 내용은 전해지지 않고 않으나 문종대에 교방의 존재가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곧 다시 설치되었음을 알 수 있다.문종대에 연등회에서 교방의 여제자(女弟子), 즉 기생이 도사행(蹈沙行)의 가무를 담당한 바 있었고, 팔관회(八關會)에서는 교방의 여제자가 포구락(抛毬樂)과 구장기(九張機)를 연주하였다고 하여 기생의 존재를 알려 주고 있다.인종대에는 관에 소속된 기생이 700여 명에 달하였다고 하는 기록이 서긍(徐兢)의 『고려도경(高麗圖經)』에 전하고 있다. 또한, 기생을 3등급으로 나누어 그 중 가장 뛰어난 기생 260명은 대악사(大樂司)에 소속되고, 그 다음 등급에 해당되는 170여 명은 관현방(管絃房)에 소속되고, 나머지 300여 명은 경시사(京市司)에 소속된 것으로 나타난다. 충렬왕대에는 각 지방에서 기예가 뛰어난 기생들을 뽑아 올려 교방을 충실하게 하였다는 기록10)도 있어서 교방이 고려 사회에 오랫동안 지속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일단 이렇게 기생이 형성된 이후에는 신분이 세습되었기 때문에 출산에 의한 자체 재생산이 구성의 큰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 밖에 전쟁 포로나 범죄에 따른 형벌 또는 관비로부터의 보충 등이 충원의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크리스마스의 탄생배경이 궁금합니다. ㅎ
안녕하세요. 이명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크리스마스(영어: Christmas, X-mas 또는 Christmas Day) 또는 성탄절(聖誕節)은 예수의 탄생을 기리는 날로, 날짜는 매년 12월 25일이다. 기독교에서는 이미 보편교회 시기인 2세기경에 예수의 탄신을 기념하였으며 3~4세기 무렵부터 현재의 12월 25일을 성탄절로 정해 기념하고 있다.성탄절이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성스러운 사람의 탄생을 축하하는 명절이라는 의미이다. 여호와의 증인을 제외한 기독교에서는 매년 12월 24일부터 다음 해 1월 6일까지 예수의 탄생을 축하하는 명절로 기념하고 있다. 주로 기독교 문화권의 영향이 강한 나라에서 12월 25일을 성탄절이라고 하며, 과거 서구 열강의 식민지나 조차지였던 나라로 기독교 문화의 영향력이 강한 나라인 필리핀,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홍콩, 마카오 등에서 공휴일로 지정된 이날을 기독교 문화권이 아닌 동북아시아에서 대한민국이 유일하게 공휴일로 지정하였다.현재는 기독교 문화권이 강한 지역에서 종교적인 의미를 초월하여 문화적인 행사로 발전하였다. 크리스마스는 기독교에서 부활절 다음으로 가장 중요한 명절이자 교회력 절기인데, 전통적으로 교회에서는 크리스마스는 전 4주일 동안 예수가 세상에 다시 올 것을 기다리는 대림절(강림절, 대강절)로 지킨다. 미군정 체제에서 공휴일로 지정된 성탄절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1949년 6월 4일 대통령령 "관공서의 공휴일에 관한 규정"에서 당시 인구의 3%였던 기독교 신자들의 기념일로 '기독탄신일(基督誕辰日)'로 정하였다.반면, 성경에서 예수의 정확한 탄생일을 확인할 수 없고 역사적으로 로마에서 태양신을 숭배하던 이교(異敎)의 축제일과 같다는 사실과 1세기부터 2세기까지 초기의 기독교인들이 이날을 지키지 않았다는 이유로 기념하지 않는 기독교인들도 있다.
212223242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