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지금 한국의 경제상태가 좋지 못한건가요??
안녕하세요.알고 계신대로, 현재 한국 경제 상황은 좋지 않은 편입니다.물가 상승은 어느 정도 둔화되었다고 볼 수 있고, 주거비용은 지속적으로 상승, 청년 실업 역시 취업자 수의 급감을 보이고 있습니다.먹이사슬의 구조로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면 가장 편하겠네요.물가가 상승한다고 가정해봅시다.물가가 상승하면 사람들은 소비를 줄이게 됩니다. 이전보다 비싸지니까 소비를 줄이는 것이죠.소비가 줄어들면 물건을 파는 자영업자 혹은 사업체는 매출액이 줄어들게 됩니다.매출액이 줄어들면, 각 사업체는 종업원들에게 지급해야 할 급여에 압박감을 느끼게 됩니다.급여 지급 불능 상태가 되면, 각 사업체는 종업원 수를 정리하는, 구조조정을 진행하게 됩니다.그로 인해 실업자가 증가하게 될 것이며, 각 사업체의 수용 가능한 종업원 수가 이전보다 줄어들게 되므로자연스럽게 일할 수 있는 일자리도 줄어들게 됩니다.주거비용의 상승은 건설비용과 연관이 있습니다. 물가가 오르게 되는 것이니, 건설 자재 구입과 인건비, 그외 기타 비용도 같이 오르는 것이므로 주거비용 또한 상승할 수밖에 없습니다.
Q. 정부에서 올해 기준금리를 인하한 이유가 뭘까요?
안녕하세요. 금융통화위원회 내용을 살펴보면 "오늘 금융통화위원회는 외환시장의 경계감이 여전하지만 물가상승률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 흐름이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가 크게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여 경기 하방압력을 완화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라고 했습니다.추가적으로 "결정배경을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면, 무엇보다 금년중 성장률이 크게 낮아질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경기 대응을 위해 기준금리를 추가 인하하였습니다. 지난해 말 이후 악화된 소비 심리가 실제 지표 부진으로 이어지고 있고 미국 신정부의 관세정책도 국내 수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면서 당분간 경기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판단됩니다."경기 악화, 그리고 대내외적 리스크(미국 관세정책)에 따른 결정이라고 봅니다.물론 환율 상승에 따른 외환시장 내 경계감도 어느 정도 배제하지 않고 이지만서도, 물가상승률 안정세와 가계부채 둔화 흐름 지속되는 가운데 경기가 크게 악화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경기 악화를 먼저 잡고자하는 움직임으로 보입니다!
Q. 주식병합을 하면 회사 가치가 떨어지나요?
안녕하세요.주식 병합을 한다해서 회사의 본질적 가치, 즉 시가총액을 변화시키진 않습니다.하지만 그에 따른 시장 내 반응이나, 투자 심리 측면에서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뭐.. 주식 병합을 하면 주식 수가 줄어들면서, 덩달아 거래량도 감소하게 됩니다.그에 따라 매매 시에도 어느 정도 어려움이 생길 것이고, 그에 따라 주가 변동성 또한 커질 수도 있습니다.하지만 기업이 주가 방어를 위해 병합을 했다고 하면 부정적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긴 하죠.. 아무래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