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왜 우리나라 사람들은 시작할 때 "아니.."라는 말을 붙일까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사람들이 말을 시작할 때 '아니'를 자주 쓰는 이유는 단순한 부정의 의미보다는 말의 흐름을 조절하거나 감정을 표현하는 기능으로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실제로 일상대화에서 '아니'는 꼭 상대방 말을 부정하지 않아도 놀람, 당황, 황당함, 강조, 어색함 해소 같은 다양한 감정표현으로 쓰입니다. '아니, 그게 무슨 말이야?'는 놀람과 당황함의 의미로 '아니 진짜 너무하네.'는 분노와 강조로 '아니 그냥 한번 해봤어'는 어색함, 회피, 변명의 뜻으로 쓰입니다. 이런 표현들은 언어적 습관이자 담화 표지의 일종으로 우리나라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말의 톤을 조절하거나 감정을 실어 말할 수 있게 해주는 표현입니다.
Q. 사이시옷이 들어가는 규칙좀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사이시옷 규칙은 우리말 맞춤법에서 두 단어가 합쳐질 때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사이에 'ㅅ'을 추가하는 규칙입니다. 사이시옷이 나타나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두 개 이상의 단어가 합쳐져 새로운 단어를 형성하여 합성어가 될 때 (예시 '나무+잎', '나뭇잎')합쳐진 단어에서 발음이 변할 때 즉 된소리가 나거나 'ㄴ', 'ㄹ' 소리가 덧나는 경우가 해당됨두 단어 중 하나는 순우리말이어야 함(예외 곳간, 셋방, 숫자, 찻간, 툇간, 횟수)앞말이 모음으로 끝나야 하며 특정 발음 규칙을 만족해야 함. 이 규칙은 발음의 명확성을 높이고 단어의 의미를 구분하는데 도움을 주지만 예외와 특별한 경우가 많아 학습할 때 주의가 필요합니다. 사이시옷 규칙 미적용의 경우는 '초점(한자어+한자어), 치과(한자어+한자어), 개수(한자어+한자어)' 등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