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문가입니다.

김경환 전문가
(주)엔엑스씨
전기기사·기능사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Q.  전자기파는 어떻게 생성되며 어떤성질은 가지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전자기파는 전기장(E)과 자기장(B)이 서로 수직으로 진동하면서 진공이나 물질 매질을 통해 에너지를 전달하는 파동입니다. 쉽게 말해, 전자기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를 생성하며 공간을 전파하는 파동입니다. 전자기파의 이론적 기초는 맥스웰의 방정식에서 나옵니다. 맥스웰 방정식은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를 유도하여 공간을 통해 퍼져나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전자기파는 전기장과 자기장이 서로를 만들어내며 공간을 따라 전파되는 파동입니다. 맥스웰 방정식에 의해 유도되며, 진공에서도 퍼질 수 있고 빛도 그 일종입니다. 전자기파는 다양한 파장과 주파수를 가지며, 실생활에서 여러 방식으로 활용됩니다.
전기기사·기능사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Q.  전자기학에서 말하는 유전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전자기학에서 말하는 유전체는 전기장이 가해졌을 때 자유롭게 전류가 흐르지는 않지만, 전기적인 영향을 받아 내부에 전하의 분극이 생기는 물질을 말합니다. 다시 말해, 유전체는 도체(전류가 잘 흐름)와 부도체(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음)의 중간적 성격을 가진 물질로, 외부 전기장이 주어지면 내부 분자들이 정렬되어 전기적 반응은 하지만 전류는 거의 흐르지 않는 물질입니다.유전체는 전류는 흐르지 않지만 전기장에는 반응하는 물질로,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거나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자기장 내에서 유전체는 분극 현상을 통해 전기장의 세기를 변화시키고, 전기 회로나 커패시터에서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전기기사·기능사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Q.  매립등 순간적으로 깜빡이는 현상 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매립등을 모두 교체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순간적으로 깜빡이는 현상이 지속된다면, 이는 단순히 등기구 자체의 문제가 아니라 전기 설비나 배선, 스위치, 또는 전원 상태에서 원인을 찾아야 합니다.주요 원인별 설명1. 전원 공급 불안정 (공통 전원 노이즈, 전압 강하)매립등 9개가 모두 같은 회로에 연결돼 있다면, 해당 회로에 일시적인 전압 변화나 노이즈가 발생할 경우 순간적인 깜빡임이 생길 수 있습니다.주변의 대형 전기 기기(냉장고, 에어컨, 보일러 등)가 작동/정지할 때 전기 파형이 불안정해질 수 있음.→ 해결: 전기기기 분산 사용, 차단기(분전반) 내부 상태 점검 필요2. 디밍 스위치나 스마트 스위치 사용 여부디밍 스위치(밝기 조절 기능)나 IoT 연동 스위치 사용 시, 호환되지 않는 LED 조명과 조합되면불규칙한 깜빡임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해결: 일반 스위치로 교체 테스트 / 디밍 기능 OFF 확인→ 매립등이 디밍 기능 미지원 제품이라면, 디머 스위치 사용은 깜빡임 유발3. 배선 접촉 불량 (중성선/N선 포함)특히 매립등은 배선이 천장 내부에 숨어 있기 때문에 중성선 접촉 불량이 있을 경우짧은 시간 동안 전압이 끊기듯 들어왔다 나가며 순간 깜빡임 발생9개 모두 동시에 깜빡이면 공통선 쪽 문제 가능성 높음→ 해결: 전문 전기 기사가 분전함 → 천장 배선 전체 점검 필요→ 중성선 연결 상태 불량이면 위험할 수도 있음4. 전류 누설 또는 간섭 (잔광 현상 포함)특히 LED 조명은 미세한 전류에도 반응하여 잔광이나 순간 깜빡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콘덴서 잔류 전기 / 스위치 근처 간섭 등으로 순간 전압 전달됨→ 해결: 스위치 선에 LED 전용 콘덴서 설치→ 잔광 제거용 콘덴서 부착 시 간헐 깜빡임 방지에 효과확인 및 조치 순서 추천모든 등이 동시에 깜빡이는지 확인 → 그렇다면 공통 전원 문제 or 중성선 문제 가능성↑스위치 종류 확인 (디밍 여부, IoT 연동 여부) → 디머 스위치일 경우 일반 스위치로 교체 시도해당 회로에 대형 전기 기기 연결 여부 확인 → 순간 전압강하 가능성 있는지 점검전기 기사를 통해 분전함과 천장 배선, 스위치 점검 → 특히 중성선, 공통 접점 상태 확인LED 잔광 제거용 콘덴서 설치 고려 → 일반 전기자재 상가나 인터넷에서 2천 원~5천 원 선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전기기사·기능사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Q.  소방전기기사 시험봤는데 과목 점수를 못보고 평균만 봤어요 합격인가요 불합격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CBT 시험의 경우 시험 종료 후에 합격 불학겨 및 점수가 표기가 되는데,이를 확인하지 못하셨다면 합격자 발표일까지 기다리셔야 할 듯 합니다.실제 점수는 그 때 공개가 되기 때문에 기다려 보셔야 할 것 같네요...
전기기사·기능사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Q.  플리커를 방지 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플리커(Flicker)는 조명이나 전기기기의 밝기가 불규칙하게 깜빡이는 현상을 말합니다.전기설비 현장에서 플리커 현상은 사용자의 눈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전기 장비의 수명 단축이나 고장 원인이 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1. 플리커 발생 원인전압 변동: 전력 공급 시 순간적으로 전압이 오르내리는 현상(전압 강하, 서지 등)과도한 부하 변화: 대형 모터, 용접기, 인버터 기기 등 전력 소비가 급격히 변할 때배선 문제: 접촉 불량, 불안정한 접지, 노후된 전선 등부적절한 조명기기: LED 드라이버 불량, 형광등 안정기 문제 등2. 플리커 방지 및 저감 방법(1) 안정적인 전원 공급 확보배전반과 분전반의 접속 상태 점검 및 보강배선 접촉 불량, 느슨한 단자 점검전압 변동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원 품질 개선 (UPS, 정전압 장치 등)(2) 부하 관리대형 부하(모터, 인버터 등)의 기동 전류 및 운전 패턴 관리부하 분산 및 시동 부하 완화용 기기 사용 (소프트 스타터, VFD 등)동시 사용 부하의 전력 피크 최소화(3) 적절한 조명 기기 및 장치 선택LED 조명 시 고품질 드라이버 사용형광등 안정기, 전자식 안정기 교체 또는 정비플리커 저감 기능이 있는 조명 제품 사용(4) 전기 설비 점검 및 유지보수정기적인 배선, 접지, 차단기 점검부식, 열화된 부품 교체누전 차단기, 과전류 보호 장치 점검플리커는 전압 변동이나 부하 변화, 배선 상태 불량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하므로, 근본적으로는 전기 설비 상태 점검과 부하 관리, 고품질 전기 및 조명기기 사용을 통한 전원 안정화가 핵심입니다.
전기기사·기능사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Q.  내열 케이블은 어느정도 열까지 견딜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외부에서 전선 작업을 할 때 사용하는 내열 케이블(Heat Resistant Cable)은, 말 그대로 높은 온도에서도 절연 성능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 케이블입니다. 이런 케이블은 특히 태양광, 옥외 배선, 고온 장비 근처, 전기차 충전설비, 산업 플랜트 등에서 사용됩니다.주요 사용 예시XLPE 케이블: 고압 배전선로, 태양광 설비, 산업 전기 배선 등에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됨.실리콘 고무 케이블: 히터 근처, 보일러실, 고온 노출 설비 등에서 사용.불소수지/PTFE 계열 케이블: 화학공장, 제철소, 반도체 공장처럼 고온 + 화학물질이 많은 곳.MI 케이블: 화재에 대비한 방화설비, 발전소, 핵심 산업시설 등.일반 내열 케이블은 보통 90~110℃ 정도 견디며, 특수한 경우는 200℃ 이상도 견딜 수 있는 고급 케이블이 사용됩니다. 외부 전선 작업에 사용하는 내열 케이블도 설치 환경(직사광선, 온도, 습기)에 따라 적절한 케이블이 선택되어야 하며, KS 또는 IEC 기준에 맞게 선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인중개사 자격증
공인중개사 자격증 이미지
Q.  가장 중개 하기 그래도 편한것은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공인중개사입니다.공인중개사 입장에서 중개가 수월한 부동산 유형은 실제 현장 경험과 시장 흐름에 따라 조금씩 달라지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기준에 따라 판단됩니다.공인중개사가 중개하기 가장 "수월한" 물건: 아파트이유 1: 시세가 명확하고 설명이 쉬움아파트는 KB시세, 실거래가, 주변 단지 시세 비교 등이 매우 잘 정리되어 있어서,매수자에게 설명이 명확하고 신뢰를 얻기 쉽습니다.평형, 동호수, 구조, 학군, 커뮤니티 등 정보가 표준화되어 있어 실무에서 부담이 적습니다.이유 2: 수요가 많고 매도·매수 양측이 적극적주택 수요의 중심이 아파트에 있기 때문에, 매수자나 매도자 찾기가 비교적 수월합니다.특히 전세나 매매가 활발한 단지의 경우 돌아가는 물건이 많아 중개 기회도 많습니다.이유 3: 실내 확인 없이도 일정 정도 파악 가능구조가 비슷한 동·호수가 많아, 실내를 보지 않고도 매수자에게 어느 정도 설명이 가능합니다.입지, 전망, 햇빛, 동향 등 기준화된 정보로 거래가 이뤄지기도 하죠.공인중개사 실무자들이 선호하는 중개 순위신축/입주 5년 이내 아파트 (300세대 이상 단지)전세·월세 거래 가능한 오피스텔 (역세권 중심)소형 아파트 전세 매물 (가성비 입지)역세권 대단지 구축 아파트 (갭 투자 수요 대응 가능)공인중개사가 중개하기에 가장 수월한 물건은 단연 "아파트"입니다. 특히 대단지, 시세 형성이 명확하고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의 아파트일수록 거래가 쉬워지고, 고객 대응도 편해집니다. 물론 수익성이 높은 물건은 상가나 토지일 수도 있지만, "난이도"나 "중개 용이성"으로만 본다면 아파트가 가장 안정적인 영역입니다.
전기기사·기능사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Q.  일상전기는 왜 전압은 일정하고 전류만 바뀌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전기에서 전압은 일정한데 전류는 수시로 변한다는 것은 가정용 전기나 일상에서 쓰는 대부분의 전력 시스템이 교류(AC) 방식이며, 전압 공급은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실제 흐르는 전류는 사용 환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1. 전압은 왜 일정하게 유지될까?전압은 공급자(한전 등)가 정해 놓은 기준값입니다.우리나라 가정용 전기는 220V 교류 전압이 표준입니다.전력 회사(한국전력공사)는 전기 사용자가 어떤 기기를 사용하든 항상 220V 전압을 공급하도록 설비를 구성해두었습니다.이것은 수도꼭지에서 나오는 수압이 일정한 것과 비슷합니다. 수도꼭지를 틀지 않으면 물이 안 나오지만, 수압 자체는 변하지 않죠.2. 전류는 왜 수시로 변할까?전류는 사용자가 어떤 전기기기를 켰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전류(I)는 전압(V)과 저항(R)에 따라 결정됩니다. 즉,전류 = 전압 ÷ 저항 (오옴의 법칙, I = V/R)전압(V)은 항상 220V로 일정하므로, 전류는 기기의 소비 전력(부하)에 따라 달라집니다.예를 들어:스마트폰 충전기: 약 0.2A전기밥솥: 약 3~5A전기히터: 10A 이상→ 따라서 같은 220V 전압을 공급받더라도, 어떤 기기를 켜느냐에 따라 전류가 그때그때 달라지는 것입니다.3. 전류가 수시로 변해도 문제없는 이유는?전력 설비는 최대 부하에 맞춰 설계되어 있고,누가 어떤 기기를 언제 쓰든 간에 전기 공급망에서는 자동으로 그만큼의 전류를 흘려주는 구조입니다.계량기(전기요금계)는 바로 이 소비된 전류에 기반한 전력량(kWh)을 측정해서 요금을 부과하는 방식이죠.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전기기사·기능사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Q.  코딩 독학, 비전공자도 성공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비전공자로서 코딩을 독학으로 공부하려는 결심은 충분히 응원받을 일입니다. 그리고 걱정하시는 마음도 아주 자연스러운 반응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코딩은 전공자나 해야 하는 것 아닌가?", 혹은 "독학으로는 한계가 있지 않나?" 하는 고민을 하게 되는데요, 실제로는 비전공자 출신으로 코딩을 독학해 성공한 사례가 매우 많고, 지금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비전공자 독학 성공 사례는 많을까?실제로 많습니다.요즘은 프로그래밍이 특정 전공자의 전유물이 아닌 시대입니다.특히 개발자 구인 시장이 커지면서 비전공자도 적극 채용하는 추세이며,독학으로 입문해 스타트업 창업자, 프리랜서 개발자, AI 엔지니어, 백엔드 개발자가 된 사람들도 많습니다.구체적인 예유튜브나 블로그, 커뮤니티에는 문과 출신, 공무원 준비생, 직장인, 전업 주부 등이 코딩 독학으로 개발자 전환에 성공한 후기를 공유하고 있습니다.대표적으로 노마드코더, 생활코딩, 인프런 강사 중 일부도 비전공자 출신입니다.해외에서는 대표적인 예로 트위터 공동창업자 잭 도시, 슬랙 공동창업자 스튜어트 버터필드도 비전공자입니다.그럼 독학이 정말 가능할까?가능하지만, 전략이 필요합니다. 비전공자라도 아래 조건을 갖추면 독학으로 충분히 성공할 수 있습니다.1. 명확한 목표 설정웹사이트를 만들고 싶은가?앱을 만들고 싶은가?데이터 분석을 하고 싶은가?목표에 따라 공부할 언어나 방향이 달라집니다.2. 기초부터 천천히 올라가기처음부터 어렵고 복잡한 걸 하면 좌절하기 쉽습니다.추천 순서:HTML/CSS → 화면 구성JavaScript → 인터랙션Python → 논리적인 프로그래밍 개념프로젝트 기반 학습3. 실습 위주로 공부하기책만 읽는 건 비효율적입니다.반드시 직접 코드를 쳐보면서 따라해보는 방식이 중요합니다.4. 커뮤니티와 함께 하기개발 공부는 때로 막히는 순간이 반복되는데, 이걸 혼자서 해결하려면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개발자 커뮤니티(예: OKKY, 디스코드, GitHub, 스택오버플로우 등)에 질문하거나 동료를 만들면 큰 도움이 됩니다.5. 작은 프로젝트부터 시작예: 가계부 웹앱, 날씨 API 웹페이지, 간단한 게임 등완성하면서 실력이 눈에 띄게 느는 시점이 옵니다.인터넷 강의나 책 독학은 효과 있을까?충분히 효과 있습니다.특히 다음과 같은 학습 자원을 추천드립니다:노마드코더 – 웹개발, 앱개발 실습형 강의 중심 (비전공자 친화적)생활코딩 – 완전 초보 입문자에게 추천, 무료인프런 – 한국어 강의 플랫폼, 실무 중심코딩애플 – 웹/앱 개발자 지망생에게 인기프로그래머스/백준 – 알고리즘 연습용 (기초가 잡힌 후 추천)패스트캠퍼스 – 올인원 패키지 수업 유료책으로는 다음과 같은 입문서가 좋아요:《Do it! 점프 투 파이썬》《모두의 알고리즘》《생활코딩! HTML+CSS+JavaScript》비전공자라고 해서 포기하거나 뒤처질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비전공자이기 때문에 더 다양한 시각에서 문제를 바라볼 수 있고, 실무에 바로 적응하는 데 유리한 경우도 많습니다. 개발이라는 분야는 학벌보다도 포트폴리오와 실력, 그리고 끊임없는 학습 태도를 더 중요하게 여깁니다.
전기기사·기능사
전기기사·기능사 이미지
Q.  전선의 피복 두께는 어떻게 결정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환 전기기사입니다.전선을 덮고 있는 피복(절연체)의 두께는 단순히 외형적인 차이가 아니라, 전선이 사용되는 전압, 전류, 환경, 용도 등에 따라 기술적으로 정해진 기준에 의해 결정됩니다. 피복 두께는 안전과 성능을 동시에 고려한 결과입니다.전선 피복 두께가 결정되는 주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1. 사용 전압 (정격 전압)전선이 견뎌야 할 전압이 높을수록 절연이 튼튼해야 하므로 피복이 두꺼워집니다.예시:일반 가정용 전선 (AC 220V): 상대적으로 얇은 피복산업용 고압 전선 (6.6kV 등): 절연층이 매우 두껍고 다중 구조2. 사용 전류 (허용 전류 용량)전류가 클수록 전선 자체가 굵어지기 때문에, 열 발생도 많아지고, 이를 견디기 위해 피복도 내열성이 좋아야 합니다.따라서 고전류용 전선은 전선 굵기뿐 아니라 열 보호를 위한 피복층도 더 두꺼울 수 있습니다.3. 설치 환경 (옥외, 지중, 수중, 건물 내부 등)전선이 사용되는 장소의 습기, 열기, 기계적 충격 등을 고려하여 피복 두께와 재질이 달라집니다.예시:실내 배선용 전선: 얇고 유연한 피복매설 전선(지중): 기계적 보호를 위한 두꺼운 피복 또는 아예 갑피(armored cable)를 사용고온 환경: 고열에 강한 실리콘이나 테플론 계열 피복 사용4. 전선 종류 및 규격 (KS, IEC, UL 등 표준)전선의 종류마다 표준에 따라 피복 두께가 정해져 있습니다.예:VCTF 전선 (유연한 코드선)CV 전선 (가교 폴리에틸렌 절연 전력 케이블)HIV 전선 (난연성 고내열 전선)이들 각각은 전선의 굵기(단면적, mm²)에 따라 피복 두께 기준이 다릅니다.5. 절연재료의 특성절연재료가 어떤 것이냐에 따라서도 같은 전압을 견디기 위한 필요 두께가 달라집니다.예:PVC(폴리염화비닐): 일반적인 전선 피복에 사용, 저가형XLPE(가교 폴리에틸렌): 고압 전선용, 내열성 및 절연성이 우수실리콘, 고무류: 유연성과 내열성을 요구할 때 사용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123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