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최성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전문가입니다.
최성훈 전문가
고려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비뇨의학과
2025년 3월 21일 작성 됨
Q.
멸치가 요로결석에는 피해야할 음식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결석이 자주 생기는 사람의 경우 칼슘제 섭취를 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음식물을 통한 섭취는 크게 문제가 되진 않으므로 멸치는 먹더라도 괜찮겠습니다.
내과
2025년 3월 21일 작성 됨
Q.
대변을 봤는데 붉은 반점이 나와서요. 혈변의심인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은 혈변은 아닙니다. 만약 화장지에 혈이 묻는다면 항문 출혈로 인하여 대변에 피가 묻었을 가능성 또는 붉은 색의 음식물 섭취가 원인이 될 수 있겠습니다. 경과를 지켜보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항문외과 진료를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내과
2025년 3월 21일 작성 됨
Q.
엠티에서 술을 안 마셨는데 머리가 아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적어주신 증상은 질환을 추정하기 어려운 비특이적 소견이나 익숙하지 못한 환경에서 긴장이나 버스를 타면서 멀미를 했을 가능성 및 감기 증상도 생각해 볼 수 있겠습니다.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상비 두통약을 복용해보고 증상이 더 심해진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보기 바랍니다.
성형외과
2025년 3월 21일 작성 됨
Q.
성인) 스트레스로 얼굴뼈 변화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드물게 발생하는 뼈의 악성 종양이 아니라면 성장기가 지난 성인에서 두개골 골격이 변화하진 않겠습니다. 스트레스, 우울감으로 식사나 생활습관이 좋지 못한 경우 체지방의 증가, 노화로 인한 피부 탄력과 지방의 감소 등의 원인으로 얼굴형이 변하였을 가능성을 생각해볼 수 있겠습니다. 먼저 균형 잡힌 영양 섭취와 규칙적인 운동을 하며 피부 관리를 해볼 것을 권합니다.
산부인과
2025년 3월 21일 작성 됨
Q.
임신 7주 코푸시럽 에스 복용가능 한가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임신 2-8주에 해당하는 기관 형성기에는 태아의 기관이 형성되는 시기로 기형 유발될 수 있는 결정적인 시기이자 약물 독성에 가장 미감한 시기이므로 약물 사용에 주의가 필요합니다.임신 8주부터 분만까지에 이리는 태아기는 장기의 기능적 성숙기로 최기형성 가능성은 있으나 기형 발생은 드문 편 입니다. 문의하신 코푸시럽에스는 임산부에서 비교적 안정하게 사용이 가능한 약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설탕이 많이 들어간 음료수들은 간 건강에 좋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콜라나 탄산음료와 같은 당분 함량이 높은 음료를 자주 마시면 간에서 지방으로 전환되어 지방 축적을 증가시켜 대사성 지방간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안과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안경도수가 낮은데 그대로 사용해도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라식 수술일 수 개월 내 예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면 안경의 교체 시점이 지났으며 현재 안경의 지속 사용으로 인하여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시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본인 눈에 맞는 도수롤 안경을 제작할 것을 권합니다.
소아청소년과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성장호르몬 주사 실온에서 10시간 정도 놔뒀는데 효과 있나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성장 호르몬은 2-8도의 온도에서 보관을 해야 합니다. 깜박하고 냉장고에 넣지 못하고 상온에서 10시간을 두었다면 아깝더라도 안전을 위해 폐기할 것을 권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제로음료를 마실때마다 오줌에서 단맛이 납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소변에서 단맛이 난다면 당뇨병 가능성의 배제가 필요하므로 병원을 방문하여 먼저 소변 검사를 받아보기 바랍니다. 만일 심한 갈증, 물을 자주 마시고, 탄수화물의 섭취가 잦으며 이상 체중 감소가 동반 시 당뇨 검사가 필요하겠습니다.
피부과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갑자기 가슴팍에 두드러기가 올라왔어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올려주신 사진만으로는 알기가 어렵습니다. 일단 상비하고 있는 두드러기약을 복용시켰다면 경과를 지켜보시고 추후 증상이 반복된다면 중복되는 원인이 될만한 요인이 있는지 확인해보고 가급적 피할 것을 권합니다.
526
527
528
529
5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