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손 발이 너무 시렵고 차가울때 어느과로가나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말씀하신 증상은 전형적인 수족냉증 또는 말초혈관순환장애의 가능성이 있으며, 단순 냉증이 아니라 통증까지 유발될 정도면 정밀 진단이 필요한 상태입니다. 내과 중에서도 특히 순환기내과 또는 혈관외과, 혹은 류마티스내과 방문을 권장드려요수족냉증은 단순 체질 문제일 수도 있지만, 레이노 증후군, 갑상선 기능 저하증, 빈혈, 자율신경 이상 등 다양한 질환의 초기 신호일 수 있습니다.피부색 변화가 없더라도, 혈류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으면 신경이나 조직에 부담이 생겨 시림, 저림, 통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병원에서는 혈액검사, 혈관초음파, 자율신경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시 약물치료나 생활습관 개선이 병행되어야 할 듯 보여요 장기간 방치하지 마시고 가까운 대학병원이나 종합병원에서 해당 진료과를 선택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Q. 제 손에 생긴 점이 흑색종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피부에 새로 생긴 점이 있고, 비정형적인 모양(불규칙 경계, 비대칭, 색 변화)이나 약간의 융기가 동반되었다면 검사로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부분은 무해한 일반 점이나 만일 이전에 없던 위치에 생기고, 동그랗지 않고 경계가 퍼져 있거나 색이 고르지 않다면, 일반적인 점(모반)보다는 비정형 모반이나 피부암(흑색종) 가능성까지도 고려해야 하구요피부암의 조기 징후로 알려진 "ABCDE 기준", 비대칭(Asymmetry), 경계 불규칙(Border), 색 변화(Color), 직경 6mm 이상(Diameter), 진화(Evolution)에 해당된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단순한 점과 흑색종은 육안만으로 구분이 어려우며, 사진이나 설명만으로는 확실한 판단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피부과에서 피부경검사(더모스코피)를 받는 것이 정확하며, 필요시 조직검사를 통해 확진합니다. .
Q. 목(피부)이 가렵고 빨갛게 부풀어올랐어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 정확하게 판단 불가하나 몇 주 전부터 간지러웠던 목 부위가 갑자기 붉게 부풀고 심하게 가려워졌다면, 접촉성 피부염이나 알레르기 반응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향수, 헤어제품, 의류 소재, 세제, 심지어는 땀이나 마찰 등 다양한 외부 자극이 원인이 될 수 있으며, 간지러움을 참는 동안에도 피부 속 염증은 천천히 진행되었을 수 있죠. 특히 앞목은 피부가 얇고 민감한 부위라, 자극에 예민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일반 로션을 바르는 것이 일시적인 완화에는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가려움이 반복되고 심해진다면 스테로이드 성분이 포함된 연고나 항히스타민제 복용이 필요할 수 있어 보여요. 로션은 무향, 저자극 제품으로 바꾸고, 의심되는 자극원(예: 목걸이, 향수, 샴푸 등)은 일시적으로 중단해보세요. 증상이 2~3일 내에 호전되지 않거나, 더 넓게 퍼지거나 진물이 생긴다면 피부과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Q. 이게 기미인가요?? 흑자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사진으로는 정확한 진단 불가능하며 병원 방문하셔서 직접 육안으로 진료 보셔야 합니다사실 눈으로는 완벽하게 구분하기 어렵습니다만 사진상으로 기미에 가까워 보여요기미(멜라스마)는 일반적으로 양쪽 얼굴에 대칭적으로 생기고, 경계가 흐릿하며, 갈색 또는 회갈색으로 넓게 퍼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보통 눈 밑, 광대, 이마 등에 자주 생기며, 햇빛 노출, 여성호르몬, 유전 등이 원인이죠. 특히 썬크림을 발라도 완전히 차단되지 않거나, 자외선에 많이 노출될 경우 기미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반면, 흑자(주근깨)는 보통 작고 점처럼 생긴 갈색 반점으로, 경계가 뚜렷하며 어릴 때부터 생기는 경우가 많고 햇빛 노출에 따라 진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만약 최근에 생겼고, 색이 넓고 흐릿하게 퍼져 있다면 기미일 가능성이 더 커요. 정확한 판단을 위해선 피부과에서 우드등 검사나 피부 진단 장비로 확인하는 것이 좋으며, 상태에 따라 레이저, 미백치료, 트라넥삼산 복용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