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수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전문가입니다.

김수비 전문가
QUB
재활·물리치료
재활·물리치료 이미지
Q.  디스크 터져서 수술한 사람은 재발을 막기 위해서 운동을 해주라고 하던데, 어떤 운동이 허리 근육 강화에 도움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디스크 수술 후 재활 운동은 허리 주변 근육(특히 코어 근육)을 강화하여 재발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걷기만으로는 기초 체력 유지에는 도움이 되지만, 허리 안정성을 높이기에는 부족할 수 있습니다. 수술 5개월 차라면 전문의의 확인 하에 다음과 같은 운동을 천천히 도입해볼 수 있습니다: 브리징(bridging), 고양이-소 자세(cat-cow stretch), 벽 스쿼트, 죽은 벌레 운동(dead bug) 등이 대표적인 코어 강화 운동입니다. 이 운동들은 허리를 크게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척추 주변 근육을 안정적으로 강화해주죠단, 고지혈증, 당뇨 등 기저질환이 있으므로 운동 전후로 혈당과 컨디션 체크는 필수이며, 갑작스러운 움직임이나 과도한 스트레칭은 피해야 합니다. 재활의학과 지도 하에 진행하는 것이 안전하고 효과적입니다. 또한 앉아 있는 시간이 길 경우, 중간중간 가볍게 일어나 몸을 푸는 것도 디스크 재발 방지에 도움이 됩니다. 지금처럼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태도는 옳고, 천천히 꾸준히가 핵심입니다.
내과
내과 이미지
Q.  전신마취 시 기도삽관은 마취가 풀린 후에 빼는 건가요? 2-3시간동안 삽입하고 있으면 수술 후 목이 많이 아플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전신마취 시 사용하는 기도삽관(기관내 튜브)은 마취가 완전히 들고 자발호흡이 억제된 후에 삽입되고, 수술이 끝나고 마취가 거의 풀려 자가호흡이 가능해졌을 때 제거됩니다. 대부분의 수술에서 삽관은 1~3시간 정도 유지되며, 그 시간 동안 튜브가 목을 지나 후두(성대 부근)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이 부위가 자극을 받아 수술 후에 목이 따갑거나 쉰 목소리, 이물감 등을 느낄 수 있어요특히 삽관이 어려운 경우에는 기구 조작이 많아져서 더 자극이 심해질 수 있죠수면내시경 때도 이물감에 예민하셨던 점을 보면, 기도삽관에 대한 거부감이 크신 건 이해됩니다. 실제로 삽관은 물리적으로 성대나 기도점막을 스치는 과정이라 미세한 상처나 붓기가 생길 수 있으며, 비만이나 당뇨 같은 기저질환이 있을 경우 기도 확보가 어려워 삽관 과정이 까다로워질 가능성도 있어요 마취과 전문의는 이런 정보를 미리 알고 적절한 크기의 튜브나 대체 기도유지 장비를 선택할 수 있으니, 수술 전 상담 시 불편했던 경험을 꼭 공유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Q.  수술 전 검사할 게 있어서 채혈 시 실패했다고 여러번 뽑던데, 왜 한번에 못 빼고 나눠서 뺄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맞습니다. 채혈을 한 번에 못 하고 여러 번 시도하는 주된 이유는 혈관이 얇거나 잘 보이지 않아서입니다. 특히 비만, 당뇨, 중년 이후 연령 등의 조건이 있는 경우 혈관이 깊거나 탄력이 줄어들어 채혈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간호사마다 숙련도나 경험에 따라 혈관을 찾는 데 차이가 생기며, 숙련된 간호사는 촉진이나 시각적 판단만으로도 한 번에 성공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 실패할 수 있고, 결국 여러 번 찌르게 되는 겁니다.또한 수술 전 검사는 보통 일반 혈액검사 외에도 혈액응고, 혈형, 감염 검사 등 다양한 항목을 포함하기 때문에 한 번에 채혈량이 많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혈관 상태가 좋지 않으면 여러 튜브에 나눠 뽑기 어렵고, 하나의 혈관으로 모든 검사를 감당 못 해 다른 부위를 또 찌르게 되는 경우도 있어요혈관이 약하거나 잘 숨는 경우, 미리 따뜻한 찜질로 혈관을 부풀게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산부인과
산부인과 이미지
Q.  하이프 시술은 보험도 안되고 비용도 비싸던데, 효과가 검증된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하이프(HIFU,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은 자궁근종을 절개 없이 치료할 수 있는 비수술적 요법으로, 회복이 빠르고 흉터가 남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초음파로 근종을 태워 괴사시키는 방식인데, 실제로 일부 환자에게는 생리통 완화, 생리량 감소 같은 증상 개선 효과가 보고되고 있죠하지만 시술 후 근종이 실질적으로 얼마나 줄어드는지는 개인차가 크며, 완전히 제거되는 수술처럼 눈에 띄는 변화가 항상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 하이프는 위치나 크기에 따라 시술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며, 재발 가능성도 있습니다.보험이 적용되지 않고 비용이 수백만 원대에 이르는 경우가 많아, 그에 비해 효과가 확실하지 않다면 부담이 클 수 있습니다. 특히 비만, 당뇨, 자궁근종 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엔 근종이 커지거나 진행될 위험도 있어, 하이프보다는 수술적 치료가 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어요. 만약 수술이 걱정된다면 자궁경이나 복강경 수술처럼 덜 침습적인 방법도 고려해볼 수 있으니, 담당 산부인과 전문의와 근종의 크기, 위치, 증상 심도 등을 기반으로 가장 적절한 치료 방안을 함께 상의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Q.  자꾸 빙글빙글 도는 느낌이 들어요.. 왜그럴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빙글빙글 도는 느낌의 어지럼증(회전성 현훈)은 대표적으로 이석증, 전정기관 이상, 메니에르병, 또는 뇌 관련 문제에서 비롯될 수 있지만, 이미 이비인후과 진료에서 이석증이 아니라는 소견을 받으셨다면 다른 원인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몸이 흔들리는 듯한 느낌, 시야 왜곡, 그리고 비정상적인 균형 감각은 전정기관 외에도 자율신경계 이상이나 심리적 스트레스, 또는 편두통성 어지럼증(vestibular migraine) 같은 질환에서 나타날 수 있어요. 실제로 스트레스가 많은 수험생활 중에는 이런 증상이 더 뚜렷해질 수 있죠메니에르병은 유전적인 성향도 일부 보고되긴 했지만, 직접적인 유전 질환은 아닙니다. 즉, 어머니가 메니에르를 앓았다고 해서 반드시 딸에게 나타나지는 않지만, 내이 구조나 체질, 전정계 민감성 등은 유전적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 부족, 카페인 섭취, 불규칙한 생활 패턴은 내이 기능이나 자율신경계를 자극해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지금처럼 이를 조절하려는 노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다만 며칠간 개선되지 않았다면 보다 정확한 검사를 위해 신경과 또는 대학병원 이비인후과 전정클리닉을 방문해보는 것을 권해 드려요입시를 앞둔 상황에서 불편한 증상이 반복되면 신체뿐 아니라 정신적으로도 매우 힘들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로 인한 심인성 어지럼증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런 경우에는 정신적 긴장이나 불안이 어지럼증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진료를 한 번 더 받아보고 필요시 신경과적 검사나 심리적 평가도 고려해보는 것이 좋아요.
36636736836937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