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꼼꼼하고 친절하게 설명하는 노무사 김미현입니다.
꼼꼼하고 친절하게 설명하는 노무사 김미현입니다.
김미현 전문가
노무법인 새로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고용·노동
자격증
휴일·휴가
2023년 12월 4일 작성 됨
Q.
회사 해외 행사참여에 강제 연차사용.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회사 차원에서 직원들을 해외 행사에 의무적으로 참석시키는 것이라면 근로를 제공하는 것이 됩니다. 따라서, 그러한 의무적인 행사 참여에 대해 연차휴가를 강제로 소진시키는 것은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습니다.근로를 한 것이므로 연차휴가를 차감할 수 없는데도 연차휴가를 소진하였다는 이유로 향후 해당 일수만큼의 연차휴가 사용을 못하게 하는 경우 또는 해당 일수만큼의 연차휴가수당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임금·급여
2023년 12월 4일 작성 됨
Q.
2022년1/1일입사 2024년1/1일 고용승계 예정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고용승계되는 경우 근로관계에서의 권리와 의무가 모두 그대로 승계되는 것이므로 1월 2일자로 퇴사를 하면 1월 1일에 발생한 연차휴가에 대한 미사용연차휴가수당을 새 회사로부터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고용승계에 따른 연차휴가, 퇴직금에 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https://blog.naver.com/saerolaborlaw/223258992258
휴일·휴가
2023년 12월 4일 작성 됨
Q.
3일근무했는데 주휴수당 지급해야 할까요 ?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주휴일 및 주휴수당은 1주의 소정근로일에 개근한 근로자에게 부여되는 것이므로 말씀하신 케이스에서는 주휴수당을 지급하지 않아도 됩니다.
임금·급여
2023년 12월 4일 작성 됨
Q.
경영상 어려움의 이유로 권고사직??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1. 근로기준법 제60조에 따라 연차휴가는 근로자가 청구한 시기에 부여하여야 하므로 사용자가 특정 시기에 연차휴가를 쓰라고 강제할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연차휴가를 사용하지 않겠다고 회사에 이야기를 하시기 바랍니다.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https://blog.naver.com/saerolaborlaw/2232792483822. 아직 권고사직에 따른 사직서를 제출하지 않은 상태라면, 회사에서 연차휴가 사용을 강제한다면 권고사직에 동의하지 않겠다고 하면서 잘 협상해 보시기 바랍니다.3. 근무일은 퇴사일 이전까지라 하더라도 병동 폐쇄 등이 예정되어 근무장소나 근무할 직무가 없는 경우 일반적으로 회사에서 출근을 강요하지는 않습니다. 이는 회사에 잘 얘기하셔서 어떻게 하면 될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위의 1.에서 말씀드렸듯이 회사가 연차휴가 사용을 강요할 수는 없기 때문에 회사 사정으로 출근을 못하게 한다면 적어도 휴업수당(평균임금의 70%)를 지급하여야 합니다.
산업재해
2023년 12월 4일 작성 됨
Q.
퇴근하다 운전중 교통사고 무급처리 됐어요
안녕하세요. 김미현 노무사입니다.산재보상청구는 회사에 하는 것이 아니라 근로복지공단에 하시면 됩니다.퇴근 중 교통사고는 산재보상 청구가 가능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https://blog.naver.com/saerolaborlaw/223150958333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