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함께 배워 나가요.

손국현 전문가
크라운제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의 뇌에서 대뇌와 소뇌의 역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대뇌는 소뇌의 도움을 받아 신체의 수의적인 활동을 통제합니다. 대뇌는 중추신경계의 최상위 영역으로, 운동, 감각, 감정, 언어, 기억과 판단을 하는 고등 정신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구조적으로 기능 차이가 있습니다. 대뇌피질의 기능들입니다. 대뇌겉질 : 대뇌의 가장표면, 기억, 집중, 사고, 언어, 각성, 의식이마엽 : 대뇌 가장큰 엽, 운동기능과 언어기능관자엽 : 대뇌 양쪽 옆면, 청각기능마루엽 : 대뇌 윗부분 위치하며 감각신호를 이해, 해석뒤통수엽 : 대뇌 뒷면, 시각기능에 관여하는 시가겉질이 있음 소뇌는 대뇌를 돕는 역할입니다. 감각인지를 통합하고 운동근육의 조정과 제어를 하는 등 중요합니다. 기능적으로 분류를 할 수 있는 소뇌는, 전정소뇌 : 균형과 안구운동조절 역할척수소뇌 : 신체의 운동조정, 근육긴장 조절에 관여대뇌소뇌 : 계획된 운동의 정교한 수정과 수행관여, 대뇌와의 복잡한 상호작용의 역할을 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유전자 조작이 생물 다양성이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전자의 조적 목적이 대부분 상업적 목적이 강하게 보여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병에 강한 옥수수나 감자를 만들어서 수확량을 높이는 것이 그러한 활동입니다. 특정한 종의 상품들이 소비자에 의하여 인기를 얻게 되면 당연하게 소수의 상품들, 그러니까 다른 종들은 도태되는 일들이 벌어지게 됩니다. 도태된다는 것은 멸종의 길로 이어지는 것이지요. 바나나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많은 종의 바나나들이 자라나는 환경에서 오직 인간의 입맛에 맛는 상업적인 바나나 상품이 개조되었고 지금역시 단 한 종만이 살아남아 우리들의 입맛을 채워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자편집기술로 만들어진 유전자재조합 작물들이 종의 다양성입장에서는 부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왜 동성동본의 결혼이 안좋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동성동본의 결혼은 자기와 유사한 유전자를 가진 사람과 결혼한다는 의미입니다. 본인에게 있는 어떤 유전자가 좋을지 나쁠지도 모를 것인데 상대방에 있는 것도 동일한 확률을 가지게 되기 때문에 동일 유전자가 중복적으로 특히 열성의 유전자가 전달된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보통 열성인자는 형질을 나타내지 않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열성인자끼리만 유전되어 그 특성이 발현될 수 있는데 이러한 열성유전자는 보통 유전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낭포성섬유증, 페닐케톤뇨증 등의 질병들이 있습니다. 거기다가 우리가 모르는 질환이나 질병을 포함한 다양한 외형적 특성이 도드라질 가능성도 있을 것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정신과의사가 뇌파가 전파라 해서 혼란스러워요 인터넷에글을 올리면 다들 뇌파는 전파가 아니라고 해요 누구말이 맞죠?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같은 질문을 벌써 몇번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만 . 육개장님의 머릿속의 전파는 무선통신을 생각하시는 것같은데대부분그렇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뇌파는 전파와 판이하게 몇백배나 다른 전자기파이기때문에 불안할일이없습니다.왜끔찍하게 생각하시는지 모르겠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악어의 치악력이 제일 쌔다고 들었는데요. 고래보다도 더 치악력이 쌘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단순 치악력으로만 따지면 고래중 범고래의 치악력은 8600~ 11300 kg 나일악어는 2270 kg 정도의 치악력을 가진다고 합니다. 보통 치악력은 중량의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각 동물의 중량 대비로 환산한다면 , 어쩌면 악어의 치악력이 훨씬 강력할 수 있겠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종이박스에서 벌레들이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종이박스는 벌레가 살기 좋은 환경입니다. 나무로 만든 종이는 비교하자면 낙엽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습을 머금고 있고 온도를 보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무것도 없는데서 나온게 아니라 추위나 천적을 피해 숨어 있을 수 있는 거처로 활용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뇌파와 전파 둘의 차이점이 뭔가요? 뇌파와전파가연결될수없는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뇌파는 저주파고 전파는 고주파입니다. 그래서 연결될 수 없습니다. 뇌파는 뉴런의 전기신호의 전달이 목적이고 전파는 무선을 통한 전파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씨앗은 어떤 원리로 발아하고 자라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씨앗의 발아는 즉 적당한 환경조건에서 씨앗이 껍질을 뚫고 나와서 뿌리를 내리고 새싹을 피우는 과정입니다. 적당한 환경은 수분(물), 공기(산소), 그리고 적합한 온도입니다. 온도는 내부 효소가 활동하게 하는 조건입니다. 일단 적당한 수분은 씨앗 표면의 껍질이 부드러워지게 합니다. 그 다음에는 적당한 온도 조건에서 내부의 효소가 활발히 작용하며 대사활동이 시작됩니다. 마치 심장박동이 뛰듯이요. 이때 필요한 것이 태양빛과 산소입니다. 대사를 해서 에너지를 얻기위해 필요한 것이 산소와 태양빛이에요 이것이 충족되면 대사가 활발히 이루어져 "에너지"가 생성되고 이 "에너지"를 토대로 배가 생장해 나갑니다. 뿌리와 새싹이 생기게 되는 것이지요! 아무쪼록 잘 키우시기 바랍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우리나라의 가로수가 자생종 중에서 은행나무로 선택된 이유는 있다는데 그러면 다른 나무들은 어떤 단점이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저도 궁금해서 찾아보았습니다. 가로수의 선정 기준을 찾아보니 매우 복잡하고 까다롭습니다. 도로유형(상업가, 업무가, 주거지, 일반 등 )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니 설명도 쉽지 않습니다만 몇가지 예시로써 적어봅니다 은행나무는 내공해성, 즉 대기오염에 의한 생육이 강하고 이식이 용이하며 내경관성이 아주좋습니다. 소나무는 우산형으로 내공해성이 약하고 이식이 어려운 것이 큰 단점입니다. 벚나무도 내공해성이 약하고 이식도 보통이지만 꽃이 수려한 것이 장점입니다. 잣나무는 내공해성이 중간 수준이고 이식도 용이합니다. 단풍나무는 작지만 내공해성이 강하고 이식도용이하며 가을에 단풍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https://blog.naver.com/san7850/222926892760블로그에 내용이 잘 정리되어있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앵무새 부리는 다시 자라나요? 아니면 평생 한 부리로 사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앵무새 부리도 사람의 손톱과 발톱의 주 성분인 케라틴이라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물론 사슴의 뿔도 그렇지요. 깨어지거나 상처받은 부리는 다시 보완, 회복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완벽하게 뽑혀서 처음부터 다시 자라거나 할 수는 없다고 하네요. 손상정도가 일부가 매우 심하면 그 기능을 하지못해 장애로 인하여 죽을 확률이 높습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