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세계 최초로 미생물을 발견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네덜란드 과학자 안토니 판 레이우엔훅(Antonie van Leeuwenhoek) 이 최초로 미생물을 발견한 사람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생물의 아버지라고 불리웁니다. 얀센이 발명한 현미경에 지대한 관심을 가진 안토니는 현미경을 제작하기도 하였는데 자신이 만든 현미경을 과학의 연구에 활용하다가 1670년대 중반에 미생물 (당시에 "극미동물"이라고 함)을 관찰하였습니다. 지붕 위에 떨어진 물을 관찰하던 중에 발견한 쾌거입니다. 1674년에 원생동물, 세균, 조류를 포함한 미생물을1682년 물고기적혈구핵을,1683년 횡문근의 미세구조를 관찰 발견하였습니다. 1677년에 발견한 정자, 물속을 헤엄치는 수많은 미생물의 발견은 큰 뉴스거리였다고합니다.
Q. 우리몸에서 가장 깊숙이 있는 장기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질문이 좀 어렵습니다만 제 관점에서 가장 깊숙히 있는 장기는 가장 안전하게 있는 장기가 무엇인가라고 한다면 주요 장기들 모두 깊숙히 안전하게 위치하고 있습니다. 뇌는 두개골로 쌓여있고, 머리뼈나 두꺼운 피부조직, 머리카락 등에 의해 잘 보호되고 있습니다. 췌장은 작지만 복강의 깊숙히 위치하고 있어 접근도 어렵지만 관찰하기도 어려워서 증상이 없는 한 이상을 발견하기가 어렵습니다. 그것 말고도 심장, 소장 내부장기들도 근육과 뼈로 보호되어 깊숙히 위치합니다.
Q. 19세기 중반에 아일랜드에서 감자대기근이 일어난 이유는 무엇이었나요?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여러가지 이유가 있었는데 우선은 이 감자가 대규모 인구가 늘었던 점, 경제가 감자 중심으로 순환되었던 점고, 비교적 재배가 쉬웠던 이유들 때문에 아무래도 피해가 더욱 컸었습니다. . 감자만 재배하는게 아닌 옥수수나 쌀, 밀 등을 같이 재배하였더라면 기근이 올 정도로 피해가 크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이러한 감자피해가 큰 이유중 하나가 우리가 흔히 위생해충으로 알려져있는 "파리"에 가 재배지역을 오염시켰다는 것, 두번째로 기후변화인데 당시 건조한 날씨는 감자수확량에 큰 감소원인이 되었습니다. 익히 말씀드린 감자가 주요 경제정책이었던 점이 무엇보다도 가장 큰 원인입니다. 한가지에 치중된 식량산업은 미래에 있을 다양한 재해에 대한 대비를 할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또한 생존을 위한 감자의 생산을 제한하는 수출강제정책이나 농지의 재분배등의 정책들도 대기근에 영향을 주었다고 하네요. 약 7년간 진행된 이 대기근으로 100만이상의 시민이 사망하고 많은 아일랜드인을 이주하게 만들었습니다. 결국 영국과 미국등의 경제적지원이 이루어지면서 다소 해소가 되었으며 이후에는 많은 정책이 바뀌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