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원스톱경매 이정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원스톱경매 이정빈 전문가입니다.
이정빈 전문가
원스톱경매 주식회사 / 법률사무소 국민생각 / 주식회사 풀잎대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2년 7월 28일 작성 됨
Q.
1가구1주택에 궁금해서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빈 공인중개사입니다.질문주신 내용은 농어촌 주택이라고 명칭하고 일정한 요건이 있습니다.1 . 지역가. 수도권을 제외한 읍면지역에 소재할 것나. 국토해양부 장관이 지정하는 도시지경ㄱ 및 토지거래허가지역에 속하지 않을 것다. 기획재정부장관이 지정한 지정지역에 속하지 않을 것라. 문화관광부장관이 지정한 관광진흥법상 관광단지에 속하지 않을 것2. 규모가. 단독주택의 경우 주택면적 약 45평 이내나. 공동주택의 경우 전용면적 약 35평 이내다. 대지 약 200평 이내3. 가액기준2009년 이후 취득한 경우에 취득 당시의 기준시가가 2억원 이하일 경우정부는 농어촌에 빈집이 늘어나는 것을 막기 위해 위의 요건을 갖춘 농어촌주택을 취득하여 3년 이상 보유하고 그 농어촌주택취득 전에 보유한 일반주택을 양도하는 경우에는 그 농어촌주택은 주택 수에서 제외하고 1가구 1주택 비과세를 적용하는특례 규정을 두고 있습니다.따라서, 1가구가 농어촌주택을 토함해서 2주택을 보유해도 일반주택을 먼저 처분할 경우엔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고농어촌주택을 먼저 처분할 경우엔 비과세혜택이 적용되지 않습니다.간단하게 수도권에 집이 있는 사람이 귀농을 하고 싶어서 농어촌 주택을 구매하고 수도권의 집을 정리하면 비과세하는 겁니다.
2022년 7월 28일 작성 됨
Q.
전세에서 월세로 계약갱신청구권으로 재계약시 월세는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정빈 공인중개사입니다.전세보증금이 2억 4천만원일 경우 월세는 85만원입니다.월세보증금을 1억 2천만원으로 할 경우 월세는 42.5만원이고월세보증금을 8천만원으로 할 경우 월세는 56.7만원입니다.자동계산기 링크를 올려드릴 테니 직접 해보세요^^https://ezb.co.kr/calculator/others/conversion링크가 연결되지 않으면 네이버에 전월세 전환, 월세 계산- 부동산계산기로 검색하시면 됩니다!
2022년 7월 28일 작성 됨
Q.
지금 아파트 매입 하기에 시기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이정빈 공인중개사입니다.저도 질문자님과 같은 생각입니다~1~2년은 지켜보다가 매매를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혹여 하락정체기가 길어진다면 계속 3~4년 기다리는 것보다는 실거주목적이라면 1~2년 정도만 지켜보시는 것이 장기적으로 부동산가격은 오른다는 전제하에 적당한 기간이라고 생각합니다.
2022년 7월 28일 작성 됨
Q.
금리 인상과 부동산 하락등.. 언제쯤 부동산 구매를 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정빈 공인중개사입니다.적어도 1~2년은 지켜봐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금리도 오르고 물가도 오르는 상황이기에 추후 부동산의 하락정체기가 길어질 수도 있고머지않아 변화가 있겠지만 길게 봤을 때 한정적인 재화인 토지 등의 부동산은 가격이 오를 것이므로1~2년 살피시다 매매를 하시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실거주목적이라면 더욱 구매하실 필요가 있고요.
2022년 7월 28일 작성 됨
Q.
전세재계약서를 부동산 통하지않고 임대인 ㆍ임차인 쌍방이 써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이정빈 공인중개사입니다.전세계약연장을 위해 재계약을 하신다는 말씀이시죠?물론 임대인과 임차인이 작성하셔도 됩니다~임대인 입장에서는 임차인의 계약갱신청구권행사에 따라 계약이 연장됐다면 그내용을 특약사항에 기재해주시면 되고증액이 됐다면 기존 계약의 5% 증액한 임대차 연장 계약이라고 기재하시고혹시라도 기존 임대차계약서에서 수정하고 싶은 특약이 있다면 그부분을 언급하시고 없다면기존 계약서의 모든 내용은 유효하다라고 기재하시면 되고 마지막으로 계약서 작성한 날짜를 기입해 주세요임차인의 경우 계약연장 시 계약조건이 동일할 경우엔 확정일자를 다시 받지 않아도 되고보증금이 증액된다면 증액된 금액에 대해서는 확정일자를 새로 받아야 합니다.그리고 계약서는 기존의 계약서와 새로 작성한 계약서를 같이 보관해 두시면 됩니다.마지막으로 임차인의 경우엔 보증금이 증액될 경우 등기부를 확인하시어추가 대출이 있는지 살펴보시고 보증금을 증액했을 때 안전한 범위인지도 살펴보시는 게 좋겠습니다.
51
52
53
54
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