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왜 조선은 이념자체가 암기식체제로 나라기틀의 유지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성리학이라는 학문 자체가 형이상학적인 학문이며, 이러한 이상을 통해서 국가를 통치하면 자연스레 형이하학적인 것들이 따라온다라고 생각한 것이죠. 사람이 올바른 생각과 통치이념을 갖고 백성을 통치하면 미개한 백성들도 이를 따라오게 되어 결국 이상적인 국가를 만들 수 있다는 이념이 그것이죠. 그럴려면 학문을 닦고, 공부하고 또 공부해서 정신을 가다듬어야 하기에 계속 공부를 하고 암기하게 되며, 이를 국가에서 과거시험을 통해서 확인하는 것이죠. 이러한 성리학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 세종대에는 여러 과학기술을 발전시키기도 했지만 성리학에 물든 신하들은 중국의 법도를 깬다면서 반대하는 것이 바로 성리학이 가진 문제였고, 결국 조선 말기에 가서 실학자들이 제한적이나마 개혁하려 했던 것들이 나오기 전까지는 성리학적 질서를 깨지 못하게 되죠.
Q. 왜 삼국지는 전쟁과 전략에만 열광하나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과거 로마제국 시대를 보면 시민들이 갖고 있는 불만을 잠재우기 위해서 황제들이 신경을 썼던 것이 바로 서커스 뿐만 아니라 전쟁, 싸움구경이었습니다. 피흘리면서 맹수들을 죽이거나, 검투사끼리 싸움을 붙여서 죽고 죽이는 모습을 통해서 시민들이 열광하고 카타르시스를 느낌으로써 불만을 잠재우려 하였죠. 이러한 것을 보더라도 삼국지라는 소설 내용 또한 역사적인 사건의 전개 등이 중요한 것이 아닌 전쟁영웅들이 어떻게 싸우고, 전쟁을 하는지 등이 더 큰 관심이 쏠리는 것은 당연했고 이러한 것들은 지금도 이어지고 있죠.
Q. 일본이 우리나라를 당시 조선을 흡수 합별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아마 1900년대 일제의 조선 병탄을 이야기 하시는 것 같습니다. 일본의 국력이 강성하던 시기에 일본이 갖고 있던 한계는 바로 섬나라였습니다. 섬나라의 경우 항공, 선박이 아니면 다른 나라를 공격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습니다. 어떻게 해서든 병력을 비행기, 배를 태워서 이동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고 원활하지 못하죠. 하지만 대륙을 점령한다면 병참기지를 건설해서 교두보로 삼아 언제든지 대륙으로 육로를 통해서 빠르게 진출하면서도 안정적으로 방어도 가능했죠. 또한 조선의 식량생산량, 병참기지화 시킴으로써 일본이 전쟁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이용하기 위해 조선을 이용한 것이죠.
Q. 우리나라 삼국시대중 신라가 통일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사실 통일을 하더라도 강대국이었던 고구려가 통일을 해야 할 것 같지만 언제나 역사는 아이러니가 있는 것이죠. 고구려는 수나라, 당나라와 같은 중국의 통일왕조의 강력한 공격을 막아내면서 상당한 국력을 소모하고, 고구려 말기에 이르러서는 정치적으로도 흔들리는 시기였죠. 그러한 틈을 타서 신라가 당나라와 힘을 합쳐서 통일을 이루게 되는데, 삼국을 통일한 것에 대한 의의가 있겠지만 그에 대한 한계도 분명한 통일이었죠. 신라도 힘을 길러서 통일을 위한 국력을 키운 것도 있겠지만 강대국 당나라가 함께 했기에 삼국을 통일할 수 있었던 것은 부정하지 못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