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신필욱 전문가
프리랜서
Q.  고전문학을 현대인이 읽어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말그대로 고전이라는 그 단어안에 두가지 뜻이 담겨있다고 하겠습니다.The Classic 즉, 오래된 것... 그 중에서도 명작으로 남는 것...: 결국 뒤의 개념... 그 당대에 있어서도, 그리고 그 후대에서 또한 문학적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는 아주 특출나고 뛰어난 작품이기 때문입니다..예를 들어, 아무리 지금 뛰어나고 인기있는 유행가도 그 후대에까지 계속적으로 사랑을 받고 비평적으로 높은 점수를 받으며 한 장르의 클래식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노래는 많지 않을 것입니다..결국 문학작품도 고전..이란 당대의 인기-후대의 평가 등 모든 면에서 특출난 작품이기 때문에, 반드시 그 작가의 사상과 문학관, 감정이입범 등을 경험하기 위하여, 또한 그 시대의 역사를 들여다볼수 있는 하나의 Window로서 가치가 있고, 또 우리가 즐겨야할 인류의 문화유산인 것입니다!!!
Q.  소설을 길이별로 분류할 때 장편, 중편, 단편의 기준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네 꼭 어떤 법칙으로 정해진 것은 확정지어 말하기 힘들지만, 어떤 실례로 이해를 하시면 되겠습니다..장편이라 하면 장발장으로 유명한 Les Misérables과 같이 여러편으로 씌여진 굉장히 큰 볼륨의 소설을,중편이라 하면 1권에 여러 개의 소설들이 들어가는 정도 중, 그 개개의 것들, 예를 들자면 Morimi Tomihiko - 밤은 짧아, 걸어 아가씨야 ..처럼 몇개의 소설들이 두꺼운 1권에 담긴 ..그런 것을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그리고 단편소설은 우리 한국의 대표적 단편소설들인 감자.. 라든지 운수 좋은 날.. 이런 짧은 페이지수에 단편적인 에피소드로 이루어진 소설류.. 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Q.  분식집이라는 명칭에서 '분식'은 어떤 의미로 지어졌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분식은 말그대로 밀가루 "분"을 이용하여 (쌀에 대비되는 개념이겠습니다.. 쌀은 가루로 우리가 섭취하지 않고 한알한알 그대로 밥을 지어먹습니다..) 만드는 음식 - 빵류 혹은 면류, 만두류, 떡볶이...등등이 되겠습니다.그리고 분식집은 그러한 분식류의 음식을 주로 파는 가게이며, 분식이 거의 주식보다는 간식류나 별미류가 많으므로 일반식사가 아닌 간식/별미류를 주로 파는 음식점..의 형태로 사람들에게 그 의미가 이해, 사용되는 것입니다...
Q.  19세기의 러시아의 3대 문호로 쾹히는 작가는 누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Lev Tolstoy, F. Dostoevsky, Ivan Turgenev 3명이 해당되겠습니다.이 중 우리에게 잘알려진 Tolstoy부터 접하는 것을 권장드리는데, 특히나 잘알려진 War and Peace, Anna Karenina 같은 대작들은 정말로 Detail한 그 역사/서사 묘사와 수많은 인물들의 정교한 설정/ 대화 등... 완벽함 그 자체라고 할수 있습니다.!!그리고 Dostoevsky의 Crime and Punishment/ Karamazov's Brothers.... 같은 대작/명작들이 있으며,Turgenev 또한 '아버지와 아들' 등 명작을 저술한 대단한 작가입니다!!19세기 러시아의 화려한 일면과 또한 20세기가 되면 러시아 황국자체는 곧 소멸의 길로 가는, 그 황혼의 길목에서 사실주의적인 사회묘사/인물묘사 등이 그 특징이라고 하겠습니다!!!
Q.  It that 강조구문 질문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he를 써야합니다.. 왜냐하면 원래 문장은 he saw a huge UFO last night인데... 여기서 주어인 he를 그대로 아주 강조하기 위한 것이므로, it was ~~~~ that ~~~~~ 구조로 바꾸어쓴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의할 것은 it was him이라는 것 자체로 떼어보면 큰 무리가 없는 정상적인 구문이므로 실제로 문법을 아주 엄격하게 따지지 않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일반적인 서술을 게시판 등에 구술 혹은 친구에게 Message를 보냄) him으로 쓴다고 해서 그렇게 의미가 바뀌거나 하지는 않을 것이니, 실용영어를 공부하시는 분은 꼭 이런 점도 염두에 두어야하겠습니다.또한 he는 사람 (혹은 사람에 상등하는 생물 주체)이 맞으므로, who(주격)으로 연결하더라도 큰 무리가 없는 점도 같은 이치입니다...!!!
16171819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