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아들'과 '딸'은 유정 명사인가요, 무정 명사인가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유정명사는 사람/동물과 같은 감정을 가진 생물, 무정명사는 무생물/물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그러므로 아들/딸은 유정명사가 되겠고, 강아지도 유정명사가 되겠습니다... 반면 상자.. 는 무정명사가 됩니다!!: 조사나 사용되는 동사 등이 조금씩 달라지므로, 이렇게 구분을 하게됩니다.. (***강아지나 딸을 가지고가다..라고 하면 어색하다는 것입니다!!)
Q. 현대에서 문학이 더 발전되기 위한 노력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네 맞습니다.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으로 한국 문학의 위상이 정말 높아졌으며, 다음과 같은 점을 좀 더 보강해야할 필요가 있겠습니다.소재의 다양성 확보저변의 확대타미디어와의 교류 및 전향적 재생산 활성화: 결국 좀 더 다양한 소재의 읽을거리를 공급함으로써, 독자층 자체를 확보하고, 문학자체의 우수함을 널리 인지도를 올릴수 있도록 영화화 한다거나 이런 방식이 더 활성화 된다면 이런 것들이 모두 시너지효과를 확보하며 문학의 궁극적 발전을 가져오는 응집력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Q. 드라마나 소설, 애니, 영화 등이 가상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모든 사람들은 실제로 자기가 뭔가 이루고 싶은 것들을 다들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그러나 그것을 실제로 실현하려고 할때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실제로 타인 혹은 티비에서 이루었다고 하는 사람들은 소수에 불과하나, 그 소수가 먼저 선택인지되므로, 흔히들 말한는 "왜 나만 xx가 안되지?/없지?"라는 판단의 오류를 범하게 된다고 볼수 있습니다.)그런데 가상이지만, 어떤 자신의 그런 이루어보고자 하는 일에 대하여 쉬운과정은 아니지만 갈등 고통 등을 통하여 이루어나가는 (혹은 이루지는 못하지만 그 모험의 과정자체) 어떤 모습을 보고, 자신이 이루지 못한 어떤 일에 대한 아쉬움이랄지, 어떤 Review라고도 할수 있는 분석적 체험을 통하여 깨달음 혹은 즐거움, 혹은 연민.. 과 같은 감정이입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이 예술작품/미디어를 소모하고 즐기는 만족감을 가져다 준다고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