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나 소설, 애니, 영화 등이 가상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안녕하세요!!
드라마나 소설, 애니, 영화 등이 가상이고 현실이 아닌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을 앎에도 불궇하고,,
우리가 그것을 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누군가 만든 이야기이라는 것을 알아도 왜 사람들은 그런 작품들을 보게 되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민수 전문가입니다.
사람들이 타인이 만든 가상의 이야기나 인물에 빠져들고 공감하는 이유는 '인간의 본능'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시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시(문학)의 정의를 탐구 하면서 '시(문학)는 모든 행동하는 인간을 모방한다'라고 하였고, 바로 그 '모방'이라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라고 말하였습니다. 즉 문학의 창작은 모방이고 그 모방은 인간의 본능이라는 것입니다. 이는 문학의 세계는 이데아의 세계에서 2단계 떨어져 있으므로 문학은 사람들을 병들게하고 나약하게 만든다는 플라톤의 주장(문학은 진실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거짓에 가까우니 문학은 무용한 것이다)과는 반대로 문학의 본질이 인간의 본성에 기인한 것으로 보았습니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이러한 관점을 문학 창작이 아닌 문학 감상으로 옮겨 가 보겠습니다. 문학의 창작이 인간의 모방 본능에 기인한 것이라면, 문학의 감상 또한 인간의 본성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선사 시대 이후로 인간들은 모닥불 주변에 모여 앉아 정보를 전달하고, 가치를 전수하며, 공동체의 정신을 전승하기 위해 이야기를 만들어 냈고, 이는 정보 전달의 효율적인 방법이었습니다. 문학의 시작이 바로 이 지점이라고 생각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즉, 우리의 핏속에 우리 조상들의 그러한 이야기 만들기와 감상하기의 본능이 여전히 흐르고 있다는 말이 되는 셈입니다. 이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이야기한 모방 본능이 문학 감상으로 이어지는 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신필욱 전문가입니다.
: 모든 사람들은 실제로 자기가 뭔가 이루고 싶은 것들을 다들 가지고 있을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을 실제로 실현하려고 할때 안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입니다. (실제로 타인 혹은 티비에서 이루었다고 하는 사람들은 소수에 불과하나, 그 소수가 먼저 선택인지되므로, 흔히들 말한는 "왜 나만 xx가 안되지?/없지?"라는 판단의 오류를 범하게 된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런데 가상이지만, 어떤 자신의 그런 이루어보고자 하는 일에 대하여 쉬운과정은 아니지만 갈등 고통 등을 통하여 이루어나가는 (혹은 이루지는 못하지만 그 모험의 과정자체) 어떤 모습을 보고, 자신이 이루지 못한 어떤 일에 대한 아쉬움이랄지, 어떤 Review라고도 할수 있는 분석적 체험을 통하여 깨달음 혹은 즐거움, 혹은 연민.. 과 같은 감정이입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이것이 예술작품/미디어를 소모하고 즐기는 만족감을 가져다 준다고 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권태형 전문가입니다.
가상의 것을 통해서도 현실을 투사하고 이를 통해 배울 수 있거나 흥미를 느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서호진 전문가입니다.
과학적으로, 사람의 뇌는 불확실과 우연 보다는 의미로 가득한 것을 선호합니다
천장의 얼룩을 보고 얼굴을 떠올리는게 바로 이런 이유죠
그냥 얼룩이라고 인식하는 것 보다 생물의 얼굴이라는 의미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이것을 파레이돌리아 라고 합니다
또한, 그러한 이야기들은 재미 또는 교훈을 위해서
현실의 특정부분을 강조하거나 작가가 의도한 전개가 나옵니다
(예외도 있지만 지금은 넘어가겠습니다)
다시 말해서, 내가 통제 할 수 없는 수많은 요소가 범란하는 혼란한 현실보다
훨씬 차분하고 즐겁다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박에녹 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드라마, 소설, 애니, 영화가 가상의 이야기인 줄 알면서도 그것들을 즐겨보는 이유는 먼저 이야기 속 인물들의 감정에 공감하고 그들의 삶을 대신 살아보는 듯한 대리 경험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실에서는 겪기 어려운 모험이나 상황들을 간접적으로 체험하면서 감정적인 만족을 느낄 수있습니다. 또한 가상의 세계는 현실에서 벗어나 쉴 수 있는 공간이 되기도 합니다. 현실의 스트레스나 고민을 잠시 잊고 흥미롭고 환상적인 이야기 속에서 위로를 받는 것입니다.
또 다른 이유는 이러한 이야기들을 통해 사랑, 우정, 정의, 용기 같은 가치를 되돌아 보게 하며 삶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보는 계기도 마련해 줍니다. 가상의 세계는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창의력을 키우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전문가입니다.
드라마나 영화를 이미 그 내용이 허구 라는 것을 알면서도 보는 이유는 현실 세계에서 벗어나고 싶은 욕망 때문 입니다. 우리는 현실에서 벗어 나고 싶은 욕망을 누구나 가지고 있습니다. 적어도 영화나 드라마를 보는 동안에는 적어도 자신이 꿈꾸던 세상이나 이상 사회를 경험 할 수도 있습니다. 이것은 마치 비디오 게임을 하면서 현실을 어느 정도 잊고 지내는 것과 같은 이치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