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가상화폐
Q. 주식거래를 하다보니 골드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말하는데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사전적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골든크로스 : 주식 시장에서 주가나 거래량의 단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 평균선보다 상향하는 것을 이르는 말. 주식 시장이 강세로 접어들었다는 신호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데드크로스 : 주식 시장에서 주가나 거래량의 단기 이동 평균선이 장기 이동 평균선보다 하향하는 것을 이르는 말. 주식 시장이 약세로 접어들었다는 신호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쉽게 말해서 크로스는 추세 전환을 말하는 것이며, 골든크로스는 주가가 하락하는 추세에서 상승하는 추세로 바뀐 것을 말합니다. 데드 크로스는 그 반대를 말합니다.그래서 주로 차트를 보고 매매하는 기술적 분석가들이 골든크로스를 보고 투자하기도 합니다.사진은 남화토건의 골든크로스를 보여주는 사진입니다.초록색 선(5일 이동평균선 - 단기)이 빨간색 선(20일 이동평균선)과 주황색 선(60일 이동평균선)보다 낮은 곳에서 위로 뚫고 간 모습입니다.이와 같은 모습이 골든크로스이며, 좋은 신호라고 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주식·가상화폐
Q. 스태그플레이션 일때 개인 대처 및 투자는 어떻게 하면되나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자산 배분을 잘하시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경제가 안 좋고, 주식 시장의 불황 등 다양한 악재 속에서도 나중에는 경제가 회복되고 시장이 회복된다는 점은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을 것입니다.그렇기에 현금(원화 및 달러)/ 주식, 채권, 펀드 등 다양한 자산군에 배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우선 주식시장의 불확실성이 크니 투자자산의 비율은 줄이고 현금의 비중을 많이 가져가는 것이 중요합니다.현금의 경우는 고금리의 예·적금 상품이 있으니 잘 찾아보시고 예치하시길 바랍니다.그리고 주식시장의 추세전환이 일어날 때는 주식에 비중을 더 늘리는 방식으로 투자하는 겁니다.어쨌든 핵심은 포트폴리오를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하고 상황에 따라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Q. 미국금리와 우리나라 금리는 왜 차이가 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기관은 연방준비제도이며,우리나라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곳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입니다.금리는 위험과 상반되는 개념으로 위험할수록 더 금리가 높은 것이 정상입니다.즉, 미국이 우리나라보다 더 안전한 국가이니 당연히 기준금리도 우리나라보다 더 낮은 것이 맞죠.하지만 질문자님이 말씀해주신 것처럼 미국이 기준금리를 큰 폭으로 올려서 우리나라보다 더 높아지게 되었습니다.그런데 우리나라도 그에 따라서 기계적으로 큰 폭으로 기준금리를 상승시킨다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우리나라 기준금리 상승 -> 대출 금리 상승 -> 기업 및 가계 대출 이자에 대한 부담 상승 -> 심하면 채무 불이행으로 인한 부도까지 이어질 수 있는 상황입니다.그래서 우리나라의 경제적인 모든 상황을 고려해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것입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주식·가상화폐
Q. 금융투자소득세 주요 내용이 무엇인지 알고싶어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융투자세란?주식, 펀드 등 금융투자를 통해 실현된 소득을 합산해서 세금을 매기는 것입니다.실현된 소득의 5천만 원까지는 비과세, 그 초과분은 지방소득세 포함해서 3억 원 이하일 경우는 22%, 3억 원 초과일 경우는 27.5%를 세금으로 내게 됩니다.예를 들어,A라는 국내 주식 종목을 1억 수익 냈을 경우 -> 1억 - 5천 = 5천만원 // 5천만 원 X 22% =1,100만 원의 금투세 발생이에 대한 영향은?종목에 상관없이 5,000만 원 이상 수익에 대해 세금을 걷는 것인데 여기다가 원천징수 방식이라 세금부터 징수하고, 세금을 더 내게 되었다면, 신청하여 돌려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깁니다.또한, 국내 주식으로 5천만 원 이상의 수익을 내던 사람들이 국내주식을 떠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시행 예정일은 23년 1월 1일이며, 관련해서 유예해야 한다 vs 시행해야 한다 의견이 갈리면서 아직 확정 나지는 않았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주식·가상화폐
Q. 주식을 잘하려면 어떤 공부가 필요하나요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주식은 크게 기본적 분석과 기술적 분석 2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기본적 분석은 그 주식에 내재적인 가치를 파악하는 분석법입니다.예를 들어, 해당 회사의 재무정보를 활용하여 앞으로의 성장성이나 수익성 등을 판단하고 투자하는 것이죠.그러니 재무정보를 읽는 방법을 배우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기술적 분석은 차트를 분석하여 수요와 공급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분석하는 것입니다.대표적으로는 이동평균선, 저항선, 지지선 등 다양한 차트 개념이 있고, 더 복잡하게 들어가면 다양한 기술적 분석 방법이 있겠습니다.그러니 본인에게 잘 맞는 기술적 분석방법을 찾아 나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요즘에는 유튜브에 잘 나와 있으니 해당 분석법에 대해 하나씩 검색하면서 찾아보면서 공부하면 됩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
주식·가상화폐
Q. 요즘 CPI가 좋게 나왔는데 앞으로의 전망은?
안녕하세요. 최유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CPI는 소비자물가지수이며, 이는 물가상승의 정도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이 지표가 중요한 이유는 미국이 물가를 잡기 위해서 기준금리를 인상하고 있기 때문입니다.반대로 CPI가 좀 좋게 나왔다는 말은 미국이 기준금리 인상속도를 늦추겠다는 기대감으로 이어집니다.그래서 시장이 반등한 것입니다.그럼 미국 기준금리 인상이 한국과 어떤 관계가 있길래 CPI가 좋게 나왔다고 시장이 반등한 걸까? 라는 생각을 하실 텐데요.미국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미국이라는 안전한 나라에 달러를 맡기고 안전하게 고금리의 이자를 받아 볼 수 있습니다.보통은 미국보다 덜 안전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가 더 높아야 하는 것이 정상인데미국이 더 기준금리가 높은 상황입니다.그럼 미국으로 자금이 쏠리고,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자금도 빠지는 상황이 발생합니다.그러니 미국 기준금리에 따라 각국의 중앙은행들은 따라서 올리기 바쁜 것입니다. (미국으로 자금의 유출을 막기 위해)결론은 미국의 기준금리가 안정화 되어야 각국의 기준금리도 안정화 되어 은행(예·적금 고금리 상품으로 돈이 몰리는 것이 아닌)으로 돈이 몰리는 것이 아닌 주식시장으로도 자금이 들어와서 시장이 상승할 수 있습니다.답변이 도움되셨다면, 추천 한 번만 부탁드리겠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