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B은퇴설계변액종신보험 수익률문의.
(무)KDB은퇴설계변액종신보험을 2017년(10년 납부)에 가입했는데요.. 예전에 담당자가 5~6년 이면 원금 찾을 수 있다고 해서 기다리고 있는데 전혀 그럴 기미가 보이지 않아서 해약환급금 100%되면 해지하려고 맘먹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정권이 바뀌고 나서부터 수익률이 많이 오르더니 해약환급금이 99%까지 되었습니다. 몇년간 더 버티면 수익률이 계속 오를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변액종신보험은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률이 오르거나 내리기 때문에 지금처럼 환급금이 원금에 거의 근접했다면 유지하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수익률이 계속 오를지 확실히 예측하기 어렵고 시장 변동성도 크니, 남은 기간과 본인 재무상황을 고려해 결정하시는 게 가장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지용 보험전문가입니다.
미래는 예측이 불가능합니다. 그렇기에 항상 불안한 마음을 가지고 보험을 가지고 있다는건 불행일겁니다. 변액 종신은 상품불만족으로 민원이 많은 상품입니다.99%가 되었다면 얼른 손절하고 기대수익 괜찮은 상품으로 갈아타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윤석민 보험전문가입니다.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 위해서 한가지 먼저 전제로 깔아둬야 하는 사실은, 변액보험은 이름은 보험이지만 사실 그 안에 들어가는 모든 적립금은 "자산운용사에서 운용하는 펀드"로 굴러간다는 사실입니다.
해당 변액보험은 그 펀드들을 담아놓은 바구니의 역할을 하구요. 보험사 상품이기에 10년이 되면 원금대비 수익금에 대해 보험차익이라는 명목으로 과세를 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가진 상품입니다.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내용으로만 유추컨데, 국내 증시가 회복되며 수익률이 회복된 것으로 보아 국내 주식형 펀드에 비율이 많이 들어가 있는것으로 파악됩니다.
국민연금을 예로 하나 빗대면, 현재 우리나라 거대한 공적 연금인 국민연금기금운용이 해외주식 비중이 국내주식보다 비중이 높습니다. 국내주식에만 국한되어 투자되면 수익률에 한계가 있다는 것이죠.
서론이 길었습니다만, 질문자님의 수익률을 극대화 하기 위해서는
현재 펀드 투입비율이 어떻게 되어 있는지
해당 펀드는 실제 어떤 자산에 투입되고 있는지
두가지를 파악해 본 후,
해당 상품의 다른 펀드 라인업에는 수익률을 몇년간 극대화해서 끌어올릴만한 펀드가 탑재되어 있는지
를 고려해보시는게 맞습니다.
그 다음 전문가 상담을 통해 해당 펀드로 투입비율을 이전시킨후 보다 더 적극적인 운용을 한다면 생각보다 빠른 시기에 수익률을 낼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이민욱 보험전문가입니다.
솔직히 추천드리지는 않습니다.
변액보험의 원리를 이해하셔야하는데
우선 보험사는 고객의 돈으로 투자를 할 권리가 없습니다.
보험료를 증권사로 넘겨서 투자를 하는 방식으로 만든게
바로 '변액'보험이죠.
보험계약 운영에 따른 보험사의 '사업비'와
투자 운영에 따른 증권사의 '수수료'를 동시에 떼어가기 때문에
보험료 납입과 동시에 1~20% 정도의 손해를 보고 시작합니다.
그래서 원금까지 도달하는것도 생각보다 쉬운일은 아니죠.
그래도 지금은 원금까지 도달하셔서 그래도 다행인 상황입니다.
계속 수익률이 오른다면 정말 좋겠지만
갑자기 급락하거나,
오르진 않는데 보험료 완납 이후에도 투자'수수료'가 계속
빠져나가서 손해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유지를 추천드리고싶지는 않네요.
안녕하세요. 정탁준 보험전문가입니다.
2017년에 (무)KDB 은퇴설계변액종신보험에 10년 납입 조건으로 가입하셨고, 당시 담당자로부터 5~6년 정도 유지하면 납입하신 원금을 회수할 수 있다는 설명을 들으셨습니다. 이에 따라 중도 해지를 하지 않고 기다려 오셨지만, 실제로는 오랜 기간 동안 수익률이 낮아 해약환급금이 원금에 미치지 못하는 상황이 계속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최근 정권이 바뀌고 국내외 금융 시장이 회복되면서 수익률이 점차 상승하였고, 현재는 해약환급금이 납입 원금의 약 99% 수준까지 회복된 상태이십니다. 이에 따라 해약을 고려하고 계시지만, 향후 수익률이 계속 상승할 수 있을지에 대해 고민하고 계신 것으로 보입니다.
변액보험의 수익률은 정부 정책보다는 펀드 구성 자산의 투자 성과에 더 큰 영향을 받으며, 시장 상황에 따라 오르거나 내릴 수 있기 때문에 향후 수익률을 정확히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현재 해약환급금이 원금에 근접한 시점이라면, 보험의 보유 목적과 남은 납입 기간, 수익률에 대한 기대치 등을 고려하여 유지 또는 해지를 결정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안정성을 중시하신다면 원금 수준 회복 이후 해지를 선택하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