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울에 샴푸를 칠하면 김이 안서리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요즘같은 겨울철에 뜨거운물로 샤워나 목욕을 하면 수증기가 올라와 거울에 김이 서립니다.
김서림 방지로 샴푸를 칠하면 김이 안생기는데 어떠한 원리에서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샴푸보다는 린스가 더좋기는 한데요,
린스의 기름성분이나 샴푸의 계면활성 성분이 습기가 달라붙지못하게 막아주는 역할을 하기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샴푸에 포함된 계면활성제 성분 때문입니다. 삼푸보다 식기 세제의 효과가 더 좋은편입니다. 안경 김서림에도 사용되죠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샴푸에 포함된 계면활성제로 김서림의 원인인 물의 표면장력을 줄여 뭉치지 못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표면장력은 액체가 서로 뭉치며 표면이 되도록 작게 되도록 하는 힘인데요, 그 때문에 거울에서는 물이 서로 붙으며 물방울로 맺히게 됩니다.
따라서 물방울이 되지 못하도록 거울 표면에 넓게 퍼지도록 만드는 것이 삼푸로 김서림을 방지하는 원리입니다.
실제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 거울 사용에 문제가 없도록 만드는 것이죠.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추운 곳에서 갑자기 더운 곳으로.반대의 경우에도 옮겨을때 갑자기 김이 서려 얼굴을 가까이 할때 안경에 김이 서립니다
모두 알고 있듯이 급격한 원도 차이에 의해서 렌즈 표면에 무수히 작은 물방울이 맺히는 수증기 입니다
공기중에있는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만, 그 양은 기온의 고저에 따라 다르며.여름처럼 온도가 높을수록 수증기를 많이 포함합니다
찬공기아 더운공기 만나는 김이 생기는것인데 과학적으로는 이렇다고 합니다
김이 서리는 이유 는 원래는 빛이 안경렌즈를 통해 직진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무수히 작은 물방울때문에
빛이 직진하지 못하고 난반사 해 버리기 때문입니다.
추운 곳에서 갑자기 더운 곳으로.반대의 경우에도 옮겨을때 갑자기 김이 서려 얼굴을 가까이 할때 안경에 김이 서립니다
모두 알고 있듯이 급격한 원도 차이에 의해서 렌즈 표면에 무수히 작은 물방울이 맺히는 수증기 입니다
공기중에있는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만, 그 양은 기온의 고저에 따라 다르며.여름처럼 온도가 높을수록 수증기를 많이 포함합니다
찬공기아 더운공기 만나는 김이 생기는것인데 과학적으로는 이렇다고 합니다
김이 서리는 이유 는 원래는 빛이 안경렌즈를 통해 직진으로 들어와야 하는데 무수히 작은 물방울때문에
빛이 직진하지 못하고 난반사 해 버리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샴푸의 성분인 계면활성제 때문이랍니다. 계면활성제는 물과 반대의 성질인 수소성을 띄고 있습니다. 그래서 수증기가 쉽게 맺히기 어렵고 떨어지는 것이죠. 기름과 물처럼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샴푸에 있는 계면활성제 때문에 그렇습니다.
계면활성제는 표면장력을 약하게 하여 물분자인 수증기가 거울에 붙지 못하게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김이 서리는 것은 수증기가 맺히는 것입니다
샴푸를 바르면 계면활성제가 있어 김서리는 것을 막아줍니다
김이라는 것은 수증기가 물이 되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샴푸에는 계면활성제로서 친수성과 친유성이 같이 있는 성분인데,
아무것도 없는 거울보다는 계면활성제가 있는 거울에 물이 더 섞이기 힘듭니다.
따라서 김이 서리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