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무역수지가 이제 소폭이지만 흑자로 돌아 선 것으로 보았습니다.
우리나라 무역수지가 이제 소폭이지만 흑자로 돌아 선 것으로 보았습니다.
이 기조는 계속 될 것인지 아니면 일시적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의 흑자는 우리나라의 무역이 개선되었다기 보다는
불황형 흑자이며 이 기조는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무역수지 적자의 상황은 유가증가, 수입원재료물가 상승, 반도체 수출의 부진 등 여러가지 복합적인 사정에 따른 부분이 있습니다만, 점점 더 나아지는 분위기입니다. 최근 유가의 상승으로 인한 분위기와 중국의 경제부진 등의 여파가 우리나라에 꽤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겠습니다만, 우리나라는 수출주도형 국가로서 국가로서도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만큼 무역수지가 점차 개선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수입 비중이 큰 원유의 감소세가 주춤하면서 3개월 연속 흑자를 기록하던 무역수지가 타격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미국의 인플레이션율이 다시금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면서 추가 금리인상에 대한 불안감이 크고 여전히 고금리 시장기조가 유지되고 있기에 세계 경제가 침체에 빠질 가능성이 높아서 무역수지의 경우에는 수입의 감소로 인한 흑자인 만큼 지속되기는 힘들 것으로 보여져요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정부에 외교적으로 하는 게 없어서 아니, 준비하는 게 없어서 별로 뭐가 어떻게 될거라는 것은
없어보이고 결국 외국들에 의해 , 외국들이 하는 것에 따라 달라질겁니다
우리는 그냥 외국에 줄만 서면 됩니다 지금처럼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환율상승이 지속된다면 원자재가격인상 비용증가로 수출에 타격을 입지않을까 생각합니다.임시흑자는 조사된 지난기간에서의 수치이고 현재는 아닌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