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예금·적금

나혼자산낙지
나혼자산낙지

퇴직 연금을 꺠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잇는데 이유가 뭔가요?

최근 회생 및 파산을 사유로 퇴직 연금을 깨는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합니다. 40대 이하 청년 들의 비중이 높은것으로 알고있는데요 퇴직연금을 꺠는 청년들의 심리는 무엇일까요 ?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퇴직 연금을 깨는 청년들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무래도 최근 돈 벌이도 어렵게 되기에

    퇴직 연금을 기다리지 못하고

    중간에 해지해서 사용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높은 물가와 부채 부담, 생활비 압박으로 퇴직연금을 조기 인출하는 청년이 늘고 있습니다. 단기 생계 유지에는 도움이 되지만 노후 자산 축적이 어렵다는 점이 문제입니다. 근본적으로는 소득 불안정과 금융 교육 부족이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말그래도 회생이나 파산으로 인하여 연금을 깨는 청년들은 과도한 빚으로 인하여 어쩔 수 없이

      해지를 하는 것입니다

    • 이중에는 과도한 빚을 빌리고 못갚는 것도 있지만 대다수는 전세사기를 당해서 당장의 자금이

      필요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습니다.

    • 따라서 현재 청년들은 연금까지 기다리기 보다는 지금 당장의 현금을 당기려는 니즈가 생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퇴직연금의 경우 장기적으로 납입을 해야하는것이고 이를 대체할수 있는 상품들이 다양합니다. 배당주를 통한 수익을 모아가는 방법등이 있어 이러한 방법을 청년들이 활요합니다. 미국주식시장은 신이다 라는말로 대변되기도 합니다. 다앵한 투자방법을 활요하는걱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최근에 실질소득은 사실상 늘지 않고 있고 전체 평균적으로 보면 실질소득은 그대로 인데 오히려 코로나 이후 생활물가는 급격하게 오르면서 사실상 일반 전체 물가가 아니라 생활물가와 비교시 실질소득은 오히려 감소된 상황으로 볼 수 있고 거기다가 고금리 환경과 치솟는 주거비로 인하여 가처분 소득이 급격하게 감소한게 문제가 된것입니다.

    거기다가 일부는 이러 환경으로 국내의 주식이 올해가 아닌 21년도부터 24년도까지 하락 횡보를 하였고 코인도 알트코인은 큰 변동성을 보이면서 상당수는 투자로 인한 손실까지 발생한것도 어느정도 요인이 된것입니다.

    즉 이런 고정비용의 상승과 전반적인 생활비용의 상승과 소득은 거의 늘지 않는 추세로 인하여 퇴직연금을 깨면서 사실상 재정관리의 어려움이 원인이 된것으로 보이며 거기다가 또한 상대적으로 한국의 미래에 대해서 불확실이 크고 미래가 없다는 불투명으로 인하여 저축보다는 즉각적인 현금인출로 인한 보상을 선호하는 현재평향이 강해진것도 요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퇴직연금 깨는 청년들 많아진이유는 생계 때문인 경우가 대부분으로 금리가 오르고 물가가 계속 올라가면서 대출 이자 감당이 안 되거나 카드빚이 쌓인 경우라고 합니다.사실 퇴직연금은 노후 자금이라 손대면 안 되지만 회생이나 파산 절차 들어가면 어차피 압류될 수도 있어서 차라리 본인이 먼저 찾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주택 구입 등 다른 사유보다 '생계유지'와 관련된 경제적 어려움이 커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특히 연구개발 분야 괗기술인 등 특정 직군에게 40대 이하의 중도 인출이 눈에 띄게 늘어 재정적 어려움이 심화되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경기 침체, 고금리, 물가 상승 등으로 인해 가계 경제가 악화되고, 대출 상환 부담이나 생활비 마련을 위한 '마지막 수단'으로 퇴직연금에 손을 대는 것입니다. 청년들이 퇴직연금을 깨는 심리는 '현재의 생존'을 '미래의 안정'보다 우선시해야 하는 절박함입니다. 당장의 빚이나 생활고를 해결하지 못하면 미래를 기약할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연금이나 적금 및 보험을 깨는 이유는 미래 보다는 당장 지금의 생활비, 교육비 또는 의료비가 급하기 때문입니다. 이는 청년들만의 문제는 아니고 경기가 좋지 못한 현상황에서 많은 이들이 이처럼 미래를 위한 대비 보다는 당장에 닥친 현금 부족에 대응해야 할 상황이 더 많다는 방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