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미크론 다음변이는 언제쯤일까요?
오미크론 다음 변이는 언제쯤일까요?
정말 궁금합니다.변이를 이르킬때아다 치명률은 약해진다는데 사실인가요?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창윤 소아과의사입니다.
변이는 언제든 지속적으로 나타납니다.
다만 그 중에서 의미있는 변이가 나타나는 경우가 흔치 않고, 의미있게 변화할 때는 특정 변이로 이름이 붙지요.
그런변이가 언제 나타날지는 그 누구도 모릅니다.
변이를 일으킬때마다 치명율이 약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사람도 같은 사람이지만 아버지와 아들이 다르듯 바이러스도 매년 변이를하고 독감 백신이 개발된지 수십년이 되었지만 매번 독감을 앓는 이유도 매년 독감의 변이를 예측할 수 없기 떄문입니다. 시기를 특정할수는 없지만 다음변이가 이어질것은 자연스러운 결과로 사료됩니다.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알 수 없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자연적으로 계속해서 유전자 돌연변이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돌연변이에 맞춰서 백신도 계속해서 개발되어야하는 상황입니다.
백신을 맞더라도
마스크와 더불어 사회적거리두기를 계속해서 지켜주셔야 하는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
다음 변이가 언제인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변이를 거듭하면서 숙주에 적응하기때문에 전염력은 높아지고 치명률은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감염력이 높아질수록 치명률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치명율이 높아지면 감염자가 다른 개체를 감염 시킬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이에요.
감염력이 높아져서 치명률이 낮아지다기보다 치명률이 낮기 때문에 더 많이 감염을 시킬수 있게됩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코로나로 인해서 계속해서 변이 바이러스가 생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RNA 유전자를 가지고 있어 불안정하기에 분열하고 증식하는 과정에서 변이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다음 변이가 언제 일어날지는 알 수 없습니다.
일부 국가에서 델타크론 변이가 나왔다는 소식도 있습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용호 약사입니다.
아무래도 지금은 아무도 경험하지 못한 것을 다 같이 겪고 있는 단계이기 때문에 확실한 대답은 드리지 못합니다.
화이자 임상 결과에 따르면 백신의 효과는 최대 6개월까지라고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변이바이러스를 염두하면 3개월에서 1년 마다 접종을 받아야 코로나에 대한 예방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답변 내용이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를 포함하여 모든 바이러스의 변이는 말 그대로 돌연변이이기 때문에 특정한 규칙성 같은 것이 없어 언제 어떻게 발생하게 될지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오미크론 다음의 변이는 언제쯤이 될지 알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민혜 약사입니다.
조금 어려운 내용일 수 있지만
코로나 변이가 생기는 이유는 코로나 바이러스는
ssRNA 바이러스로 단일가닥 RNA입니다
RNA 복제 과정에서 단일 가닥은 돌연변이가
일어나더라도 다시 repair(복구)하는 기작이
랜덤하기 때문에 돌연변이를 되돌릴 수 없습니다
이 과정에서 우연히 치명적이고 전파력이
높은 바이러스 변이가 우세하게 되면
우리가 알고 있던 델타, 오미크론 등등으로
바뀔 수 있게 되는 겁니다
따라서 돌파감염도 이와 같은 변이 때문에
발생할 수 있어요
제 답변이 도움 되셨길 바라며 항상 건강하세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언제 생길지 모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도 바이러스 자체의 생존을 위해서 돌연변이를 일으킵니다. 현재 유행중인 변이는 인도발 델타형이고 최근 람다, 뮤, 오미크론 변이까지 알려져 있습니다. 백신의 효과가 점차 떨어질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무조건 전염력이 강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어떤경우에는 치명률이 강해져서 사망률이 올라갈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승우 약사입니다.
바이러스 같은 경우에는 숙주세포에 들어가 복제를 통해 증식을 하게 됩니다.
이 복제과정에서 동일하게 복제되는게 아닌 조금씩 변이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 과정에서 나타나는게 변이 바이러스입니다.
다음 변이가 언제 나타나게 될지는 아무도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현재 프랑스에서 새로운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인 IHU가 발견되었습니다.
최근에 발견되어서 정확한 연구결과는 없으나, 스파이크 단백질에 52개 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존의 오미크론 변이는 스파이크 단백질에 32개 변이를 가지고 있었는데, 오미크론보다 변이가 심하게 일어났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RNA바이러스로 변이가 쉽게 일어나 현재 많은 변이바이러스가 발견되었습니다. 알려진 것은 알파, 베타, 감마, 델타, 람다, 뮤 와 같은 변이이며 이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으나 이것이 대표적입니다.
그중 델타변이가 전파력이 높아져서 문제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주로 발견되고 있는 변이는 델타 변이 이며 전파력이 높고 백신접종자의 경우도 돌파감염이 가능하기에 코로나로 부터 자유롭기에 어려움을 주는 변이 형태입니다.
오미크론 변이에 대해서는 최근에 밝혀진 만큼치명률이나 전파력에대해서는 아직까지는 명확한 자료가 있지는 않으나 최근 변이중에 전파력이 쎄다고 알려져 있으며 기존 백신의 효과가 변이 바이러스에는 적습니다.추가적인 변이 바이러스 가능성을 배제가 어려우며 어떠한형태의 변이가 나타날 지 예측도 어렵습니다.
감사합니다.^^안녕하세요. 이상민 약사입니다.
보통 바이러스는 전염력이 강하면 치명률이 낮고, 전염력이 약하면 치명률이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치명률이 높다면 사람이 금방 죽기 때문에 바이러스 입장에서는 숙주에게 큰 피해를 주지 않으면서 전염을 계속 시키고 싶어합니다.
따라서 많은 전문가들은 오미크론의 높은 전염력과 낮은 치명률이 점점 코로나 종식으로 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도 있기 때문에 오미크론의 중증 환자 수를 유의깊게 볼 필요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변이가 생길 때마다 치명률이 약해지는 것이 정해진 것은 아니랍니다. 다시 치명적인 변이가 나올 수도 있는 것이구요. 다음 변이가 언제쯤 생길지는 알 수 없어서 답변을 드리기 어렵네요.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RNA 바이러스로 RNA 바이러스는 변이가 잦습니다 . 대표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여기에 속하며 독감주사를 매년 맞는 이유이기도합니다
이에반해 간염, 천연두와 같은 DNA 바이러스는 변이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변이에따라 치명율은 달라질수 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