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우유와 식초를 섞으면 흰색 덩어리가 생기는데 왜 그런 현상이 나타나죠?

아이와 집에서 식사를 하는데 우유에 실수로 식초를 섞었더니 흰색 덩어리가 생기더라구요. 아이가 왜 이렇게 된 거냐고 물어보니 어떻게 설명을 해줘야 할지 모르곘더라구요. 뭐라고 설명을 해줘야 하나요??간단하지만 핵심을 잡아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호성 보육교사입니다.

    쉽게 말해 우유랑 식초가 반응하여 단백질이 되는 것인데요. 보통 우유에 레몬즙이나 식초를 넣으면 되는 현상으로 그 원리를 이용하여 단백질은 단단하게 만들고 유청을 분리하여 치즈가 되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우유와 식초를 섞게 되면 흰색 덩어리가 생기는 이유는

    우유가 응고 되어서 입니다.

    우유와 식초가 엉켜붙어서 덩어리처럼 물컹 거리게 되는 것입니다.

    우유는 단백질인 카제인이 산성 이라는 식초와 만나게 되면서 서로 엉키게 되어 흰생 덩어리를 만들어내는

    것입니다.

  • 우유와 식초를 섞으면 흰색 덩어리가 생기는 이유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단백질의 응고 반응 때문에 그렇습니다.

    우유에 있는 카세인이라는 단백질은 칼슘과 결합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분산되어 있다가 산도 변화로 인해 결합이 끊어지고 응고되면서 덩어리를 형성하게 됩니다.

    이 현상은

    치즈 만들기, 접착제나 페인트 원료 등에 활용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우유 속에는 카세인이라는 단백질이 있고,

    식초의 산 성분이 서로 만나게 되면 단백질이 굳게 되어 하얀 덩어리가 생기게 됩니다.

    비슷한 예로 치즈나 두부가 만들어 진다고 설명해 주면 좋을 거 같네요.

  • 안녕하세요.

    우유에는 단백질이 들어 있는데, 식초처럼 신맛이 강한 걸 넣으면 단백질이 응고되어 덩어리가 생깁니다. 이것을 응고라고 부르는데, 치즈를 만들 때에도 비슷한 원리를 이용합니다. 아이에게는 우유 속의 단백질이 신맛 때문에 뭉쳐서 생긴 거라고 말해주면 돼요.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우유에는 카제인이라는 단백질이 들어있습니다 .식초처럼 신맛이 강한 산이 들어가면 이 단백질이 응고되면서 덩어리가 생겨요. 이걸 응고라고 하는데 치즈 만들때도 비슷한 원리가 사용된다고 아이에게 설명을 해주면 될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