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13

라면을 끓일때 스프와 후레이크를 먼저 넣으면 끓는점이 상승하여 더 맛있어 진다고하는데 무슨 원리인가요?

라면을 끓일때 스프와 후레이크를 먼저 넣고 끓이면, 끓는점이 상승하여 더 맛있어 진다고하는데 끓는점이 상승한다는게 무슨 과학적 원리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05.14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취향에 따라 다른데요

    스프를 먼저 넣으면 물의 끓는 점이 올라가 조금 더 높은 온도에서 면을 익혀먹어 그렇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소금은 물에 녹아 이온이 되며, 소금 이온들은 물이 기화하는 것을 방해합니다. 같은 온도라면 물에 비해 수증기가 되는 양이 적어 기포 안의 기압이 작아지게 되고, 기포 안의 기압이 대기압과 같아지기 위해서는 온도가 더 높아져야 하므로 소금물의 끓는점이 높아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면은 끓는 물에서 익혀지게 되는데,모든 물질의 끓는 온도,

    즉 끓는 점은 물질에 따라 고유합니다.우리가 라면을 끓이는 순수한 물의 경우, 외부 압력이 1기압 일 때 100℃에서 끓어 기화합니다.

    하지만 끓는 점은 여러 요소에 따라 변하기도 하는데요.

    예를 들어, 기압이 1기압 이하일 경우 물의 끓는 점은 100℃보다 낮아지게 됩니다.끓는 점은 열에너지를 받은 물질이 기화하면서 발생하는 압력이 주변의 대기압을 넘어서는 순간과 직결되기 때문입니다.고산지대에서 밥을 지으면 밥이 설익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고산지대는 주변 기압이 낮아, 물이 빨리 끓기 때문이죠.

    그리고 끓는 점이 높아지는 경우도 있는데요.

    같은 대기압에서 불순물이 용해되어 있을 경우 물의 끓는 점이 상승하게 됩니다.따라서 물에 다른 물질이 많이 녹아 있을수록 더 높은 온도에서 끓고,이때 면을 넣으면 빨리 익게 됩니다.

    그러므로 스프를 먼저 넣으면 녹은 양에 비례해 끓는 점을 올릴 수 있고,이때 면을 넣으면 불기 전에 조금이라도 먼저 익힐 수 있어 맛있게 요리할 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분자간의 인력에 의해사 소금분자가 물분자의 기화를 방해하여 끓는점이 상승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반대로 말씀하시는것 같습니다. 끓는점이 낮아집니다. 그래서 소금이나 무엇가를 넣어서 빨리 물을 끓게하여 음식을 빨리 조리하여 더 맛있게 하는 원리는 있는데

    무조건 맛있다는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정확히는 후레이크와는 연관이없고 라면 스프의 염분 등에 의하여 물의 끓는점이 100도보다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조금 더 높아진 끓는점에 의하여 면의 삶은 정도가 변하게 되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