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다부진카멜레온271
다부진카멜레온27121.07.18

발가락 골절 확인 방법과 응급처치를 알려주세요

새끼발가락에 무겁고 단단한 물체를 1m쯤에서 떨어뜨렸어요

통증이 계속 있어서 진통제 먹고 나니 통증은 많이 없어졌고 부어오름, 열감이 있어 냉찜질 했습니다

저번에도 비슷한 상황에서 엑스레이를 찍어봤는데 뼈에 아무 이상이 없다고 해서 혹시 자가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상하좌우로 까딱거릴 수 있고 그때 통증은 없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미세골절이든 골절이든 자가로 진단할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 압통의 경우에는 골절의 경우에 당연히 통증이 더 심하겠지만 그 정도로 골절인지 아닌지 판단할 수 있는 객관적인 방법은 없습니다. 다만 골절이 아닌 경우에는 통증이 심하지 않고, 붓기가 심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미세 골절의 경우에는 응급진료를 볼 필요는 없지만 골절여부를 확인하고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부상을 입으신 경우 찜질은 첫날은 얼음찔질을 하고, 이튿날 부터는 온 찜질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우선은 휴식이 가장 중요하겠습니다.

    소염제를 같이 복용 해 주시고 붓지 않도록 압박 해 주거나 거상을 해 주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신체검사상 관절을 움직일 때 염발음(Crepitus)가 들린다면 진단에 도움이 되며 통증의 정도가 심할 경우에 도움을 받을 수는 있으나 결국은 엑스선 검사를 하지 않고는 골절에 대한 배제는 불가합니다.

    보통 급성 외상이나 운동시 부상을 입는 경우 RICE 치료 원칙에 따르게 됩니다.

    R esting: 안정을 취하여, 통증을 감소시키고, 더 이상의 손상을 막는 것을 말합니다.

    ​I ce: 얼음을 말하여, 냉치료 요법을 말합니다.

    ​C ompression : 압박. 냉치료 요법과 압박은 부종과 통증을 감소

    ​E levation : 부상 부위를 들어 올려 출혈을 줄이고 부종을 감소시킵니다.

    냉찜질을 하시고 가능 하다면 거즈 등으로 압박을 해 주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발가락을 삐끗한 직후에는 냉찜질을 하는 게 좋구요 초기에는 손상된 근육이 붓고 열이 나므로 냉찜질을 해 혈관을 수축시키고 붓기를 가라앉혀야 합니다.

    또 손상 부위의 온도가 내려가면 몸은 온도를 높이기 위해 손상 부위의 혈류량을 늘리는데요 이로 인해 혈액 순환이 잘 되면서 손상된 조직이 빠르게 회복될 수 있습니다.

    온찜질은 다친 2~3일 후에 부종이 가라앉해야해요.

    염좌가 생겼을 땐 충분한 휴식을 취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X-ray로 진단해 보지 않으면 골절 여부를 진찰로 확인하기는 어렵답니다. 특히 미세한 골절의 경우에는 X-ray에서도 보이지 않을 수가 있지요. 상황이 비슷했다고 해도 확인을 해보시는 것이 필요할 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절이 있으면 통증이 심하게 느껴집니다.

    현재 통증이 없으셔서 큰 문제는 없어보이나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 /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붓기와 통증이 심하다면 골절을 의심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외양만으로는 골절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빠른 시일내 정형외과 내원하셔서 검사 포함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얼음 찜질, 심장보다 높이 올려주기, 움직이지 말기, 부목대기 등이 있습니다.

    엑스레이 촬영해보시기 바랍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진단/검사

    - 진단
    단순 방사선 영상 검사를 통해 골절을 진단한다. 불완전 골절 등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초기 검사에서 발견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1~2주뒤 반복 촬영해서 확인해보는 것이 좋다. 신체검진에서도 해당부위의 뚜렷한 압통이 지속된다면 골절을 의심하게 된다.

    - 검사
    신체검진이나 단순 방사선 영상 검사 외에 추가적인 검사가 반드시 필요한 경우는 흔치 않다. 그러나 드물게 증상이 전형적인 족지 골절의 양상이 아니거나 적절한 치료에도 증상 호전이 없는 경우, 다른 질환과의 감별 진단을 위하여 정밀 검사(CT, MRI) 등을 시행하는 경우도 있다.

    치료

    (1) 보존적 치료
    전위가 별로 없는 단순 골절의 경우에는 고정해주는 방법만으로도 치료를 해볼 수 있다. 사실 소족지의 경우에는 겉으로 봐서 발가락의 위치가 어긋나지 않았으면 어느 정도의 전위가 있어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는다.
    가장 간단한 고정의 형태는 인접 발가락을 부목으로 삼아 테이핑(Buddy taping)하되 발가락 사이에는 거즈 등을 끼워주는 것이다. 이외에도 바닥이 딱딱해서 구부러지지 않는 신발(Postop shoe 등)을 신고 걷는 것을 허용하거나 발허리뼈바(Metatarsal bar), 설압자, 알루미늄 부목 등을 덧대주기도 한다.

    (2) 수술적 치료
    전위가 심한 골절, 특히 관절을 침범한 골절은 도수 정복이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하게 된다. 수술은 관혈적 혹은 비관혈적 정복 및 핀 고정을 시행한다.

    그림 3. 버디 테이핑, 수술 후 신발

    그림 3. 버디 테이핑, 수술 후 신발

    그림 3. 버디 테이핑, 수술 후 신발

    그림 3. 버디 테이핑, 수술 후 신발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엑스레이에서 특별한 이상이 없었다면 눈에 띄는 골절은 아닙니다. 더 정밀한 검사를 희망하시면 CT 검사를 받아보실 수 있겠습니다. 이학적 검사에서 골절 유무를 확실히 알 수는 없습니다. 다만 움직임 시 통증이 없다면 골절 가능성은 높지 않으며 엑스레이에서 보이지 않는 미세골절은 특별히 치료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