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에서 이단의 기준이 무엇인까요,
엊그제 어떤 유튜브를 보게되었는데요.
내용은 이단을 믿는 연예인들이었습니다.
이름을 들어본 전국구교회나 지역교회가 포함되었는데요.
기준이 무엇이고 이단을 믿는게 문제가 있다고 봐야되나요?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이단에 대한 기준은 기독교 내에서 교단이나 신학적 해석에 따라 조금씩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단은 정통 기독교의 교리에서 벗어난 믿음이나 교리를 가진 집단을 의미합니다. 정통 기독교는 니케아 신경(기독교의 기본적인 신앙 고백)과 같은 주요 신앙 고백에 따라 삼위일체,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구원의 방법 등 핵심 교리를 믿습니다.
이단을 구분하는 일반적인 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예수 그리스도의 신성과 인성 부인: 예수를 단지 인간 예언자로 보는 등 그 신성을 부인하거나 왜곡하는 교리는 이단으로 간주됩니다.
성경 해석의 비정통성: 성경의 교리나 내용을 왜곡해서 다른 의도로 해석하거나 정통 기독교 교리와 일치하지 않는 해석을 고수하는 경우.
구원의 방법을 변경: 예수를 믿는 것 외에 다른 구원 방법을 주장하거나, 구원에 대한 교리가 교단의 전통과 상반되는 경우.
삼위일체 부정: 하나님, 예수, 성령을 삼위일체로 보는 정통 기독교의 교리를 부정하거나 왜곡하는 경우.
교회 내 권위의 남용: 교회 지도자가 무소불위의 권력을 행사하거나, 신도들이 특정 지도자에게 지나치게 의존하게 만드는 경우.
교리적 혼란과 위험: 이단의 교리는 신앙의 핵심 교리에서 벗어날 수 있어, 신자들이 기독교의 본래 신앙을 왜곡된 형태로 이해하고 믿게 될 위험이 있습니다. 이는 신앙의 혼란을 일으키고, 결국 구원의 길에서 벗어날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사회적 영향: 종교적 교리가 사회적, 개인적인 삶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이단적 교리를 믿는 것이 사람들의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일부 이단은 지나치게 폐쇄적이거나 교리적 강요를 하기도 하여 개인의 자유를 제한할 수 있습니다.
정통 교회와의 분리: 이단은 종종 기존의 교회나 신앙 공동체와 갈등을 일으키고, 신자들 간의 분열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교회 공동체의 일치를 해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단을 믿는 것이 문제가 된다고 할 수 있는 이유는, 이단적 교리가 신앙의 본질을 왜곡하고, 신자들의 구원과 삶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각 교단이나 교회의 입장에 따라 "이단"이라고 간주되는 그룹은 다를 수 있으므로, 어떤 교회가 이단인지 여부는 신학적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참고하세용!!
기독교는 기본적으로 예수를 믿습니다. 예수그리스도를 믿죠.
그런데, 이단은 아버지를 믿습니다. 그것은 곧 그 종교(이단)의 창시자를 말합니다.
신천지는 이만희를 믿고,
JMS는 정명석을 믿는것입니다.
다른 분들이 답변을 잘 해 주셨습니다만 개인적으로 몇 군데 교회를 다녀 봤고 서로가 이단이라고 하는 거 같습니다 파주에도 제 친구가 다니는 곳이 있고 친형이 다니는 곳이 있습니다 제 친구한테 우리 형이 이곳에 다닌다고 하니까 이단인지 아닌지 조심하라고 하더군요 그러니까 결국은 자기네들만 정통이다라고 합니다
기독교에서 이단이라는 것은 성경의 해석을 자의적으로해석을 하여, 정통 교리에 어긋나는 것입니다.
이단 (異端) 즉 한자로 풀이하면 끝이 즉, 해석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요즘 목사라는 사람들이 정치에 관여하고 "하나님이 친구니까 까불면 죽여버린다" 이런 말을 지껄이며, 청중의 인기를 모으로 선동하는 사람도 목사라기보다는 그릇된 이단의 한 예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