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성숙한게논148
성숙한게논148

지하철 공사 요즘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

오래전에 지하철 공사 하는것을 봤을때는

공사하는 과정이 눈에띄게 보이는데,

요즘은 우리나라 기술이 좋와서 지하철 공사를

해도 공사를 하는지 안하는지 할 정도로 모를정도로 역 주변 공사외엔 모를 정도네요~

공사하는 흙은 어디로 운반되는지 궁금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연한악어244
      유연한악어244

      삼성물산 건설부문 공식 블로그를 참고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페이지를 방문해 주세요.

      1. 개착공법

      - 지표에서 부터 파내려가는 방법입니다. 지표에서부터 원하는 깊이만큼 판 후 구조물을 세우고 흙을 다시 덮습니다.

      2. 터널공법

      - 필요한 만큼만 터널을 뚫고 공사하는 방법입니다. 파낸 흙은 터널을 보강하는데 쓰이고, 남는 흙은 입구로 보내집니다.

      1) 재래식 ASSM (Automatic Segment Space Management) 공법

      터널 내부를 강철로 된 지보재(Steel Rib)로 지지하고 라이닝 콘크리트를 타설을 통해 만드는 방식. 말 그대로 재래식이기에 안전성과 시공성. 경제성 면을 고려해 근래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2) NATM (New Austrian Tunneling Method) 공법

      발파(폭약의 폭발을 이용해서 바위, 암반 등을 파괴하는 작업)를 통해 터널을 만듭니다. 이 후 안쪽 천장과 터널 벽면에 2~3m 길이의 고정봉(락볼트)을 일정 간격으로 박고, 그 위에 콘크리트를 입히는 방식으로 암반의 붕괴를 방지하면서 터널을 만들어 나갑니다. 화약 발파를 하기 때문에 낙반사고의 위험이 있고, 발파 진동 및 소음으로 인한 주변 피해와 민원발생 가능성이 있으며 공정이 다소 복잡합니다.

      3) TBM (Tunnel Boring Machine Method) + 쉴드 (Shield Method) 공법 

      TBM(Tunnel Boring Machine)이라는 기계로 터널을 만듭니다. 앞부분의 커터헤드가 회전하면서 지반을 뚫음과 동시에, 원통형의 쉴드(SHIELD)를 전진시키며 후방의 굴착공간에 미리 제작된 콘크리트 세그먼트(*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해 설치한 원통 모양의 방호재)를 조립해 나가는 방법입니다. 도심지 지하철 건설 특성상 일반적인 개착공법 또는 NATM 터널 공법을 적용하기 곤란한 구간에서 사용하는데요. (ex.지하수위 불안정, 연약지반, 중요시설 하부/근접 통과구간 등) 커다란 침하를 초래하지 않고 소음, 진동, 민원에 대해 환경 친화적으로 공사를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TBM은 터널의 특성에 맞추어 맞춤제작을 합니다. 그래서 초기비용이 많이 듭니다.

      9호선 중 송파구 삼전동에서 8호선 석촌역까지 연결하는 1,560m 구간이 쉴드TBM공법으로 건설되었습니다.

      참고

      https://samsungblueprint.tistory.com/1081

      https://samsungblueprint.tistory.com/2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