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정책

Fravend
Fravend

저출산이 가져올 10년뒤의 문제점은 뭘까요?

저출산에 대한 획기적인 정책도

안나오는 상황이어서 계속해서

저출산은 이어질걸로 보여지는데요

저출산으로 인구가 많이 줄어들면

10년 뒤에 어떤 문제점들이 나타날까요

대한민국이 망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 닥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지금과같은 저출산이 가져올 문제점은 경제활동을 해나가는 세대의 경제부담율이 높아지고, 연금보험 방식의 경제활동 세대가 부담이 크게되며, 노동력이 적어져경제발전 및 국가의 발전이 저해됩니다.

  • 집앞에 있는 편의점이 3개면 인구감소로 매출이 감소되는 곳이 있겠죠

    그러면 폐업을 하게 되고 알바생이 일자리를 잃고, 사장도 일자리를 잃습니다

    실업률이 증가할수록 세금은 덜 걷히고, 어려움에 처할수록 도둑 강도 사기등의 범죄율은 증가합니다

    우리나라는 망하지않습니다 우리나라를 먹여살리는 것은 대기업들입니다. 막대한 세금을 내고 있죠

    그들만 살아도 됩니다. 값싼 노동자들 최저시급만 줘도 공장은 돌아갑니다 외노자들이 커버해줄꺼라보고요

  • 질문해주신 저출산이 가져올 10년 뒤의 문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략 10년 뒤가 되면 2014년에 태어난 아이들이 대학을 가게 될 것인데

    대학 정원부터 채우지 못하는 학교들이 속출할 것입니다.

    이런 아이들 관련 산업, 사업 들부터 문제가 시작될 것으로 보입니다.

  • 저출산으로 인구가 많이 줄어들면 10년 뒤에 여러 문제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먼저 일할 사람이 줄어 경제 성장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고령 인구가 늘어나서 연금과 의료비 부담이 커집니다. 한국이 망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은 아니지만 경제와 사회에 큰 혼란이 예상됩니다.

  • ✅️ 저출산으로 인해 유소년 인구가 줄어들게 되면 국가 전체의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경제 활력이 저하되게 됩니다. 다만 대한민국이 소위 망할 정도가 되지는 않겠으며 문제점만 나타나지는 않을 것이고, 상대적으로 생산가능인구가 줄어듦에 따라 근로자들이 제대로된 임금을 받고 일할 수 있게 된다는 점은 장점이 될 것입니다.

  • 가장 직접적인 영향은 인구 감소입니다. 인구 감소는 곧 노동력 감소를 불러와서 경제성장을 저해합니다

    또한 인구가 전반적으로 고령화되어 생산 가능 인구가 줄어들고 의료와 연금 부분에서 상당한 부담이 됩니다. 세금 징수를 많이 해야만 유지될 수 있어요

    젊은 인구는 줄어들고 고령 인구가 많이 늘어나서 사회 전반적으로 활동성이라든지 혁신성 등이 떨어지는 침체된 사회 분위기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 인구노령화 및 감소로 노동인구가 부족해지는 상황에 직면하고 소비시장 위축으로 기업의 매출감소가 발생합니다. 또한 노동인구가 적으니 국민연금 등 사회안전망도 부실해지는 사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저출산의 가장 큰 문제는 경제성장률을 뒷받침하는 경제활동잉구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것입니다.

    노인의 부양 역시 출생율이 뒷받침되어야 지속적인 정책 등을 펼칠 수 있으나, 현재 속도대로라면 노동력 수급의 불균형이 커지게 됩니다.

    뿐만 아니러 고령화 인구의 증가로 세수 감소 문제 등의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